TYPE-MOON: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미소녀 게임 브랜드
{{브랜드 정보
|제목 =타입문
|이름    = TYPE-MOON
|원제목 = TYPE-MOON
|원어이름 = タイプムーン
|로고 = Type-moon.png
|로고     = [[파일:Type-moon.png|150px]]
|설명 = 로고
|그림    =
|장르 =[[어덜트 게임]]<ref>에로게는 《[[Fate/hollow ataraxia]]》를 끝으로 사실상 접은 상태.</ref> <br/> [[갸루게|전연령 미소녀 게임]]
|그림설명 =
|모회사=[[노츠]]
|표어    =  
|대표자 = [[타케우치 타카시]]
|종류    = [[어덜트 게임]]<ref>에로게는 《[[Fate/hollow ataraxia]]》를 끝으로 사실상 접은 상태.</ref><br />[[갸루게|전연령 미소녀 게임]]
|주요인물 = [[나스 키노코]]<br/>[[타케우치 타카시]]<br/>[[코야마 히로카즈]]
|소유    = 노츠
|상세 = 유한회사 노츠의 PC 게임 브랜드
|시작    = [[2004년]] [[1월 30일]]
|데뷔작 = [[Fate/stay night]]
|종료    =  
|데뷔작 발매일 = {{날짜/출력|2004-1-30}}
|웹사이트 = {{URL|http://www.typemoon.com/}}
|최신작 = [[월희 -A piece of blue glass moon-]]
|비고    =  
|최신작 발매일 = 2021년 여름 예정.
|URL = http://www.typemoon.com/
|사이트 이름 = 공식 홈페이지
|관련 브랜드 1 = TYPE-MOON (동인 서클)
|장르 2 =
|데뷔작 2 = [[월희]]
|데뷔작 발매일 2 = {{날짜/출력|2000-12-29}}
|최종작 2 = 월상 <ref>월상을 끝으로 동인 서클로서 타입문 활동은 정지했으니 최종작으로 표기했음을 밝힘.</ref>
|최종작 발매일 2 = {{날짜/출력|2003-4-29}}
|URL 2= http://www.typemoon.org/
|사이트 이름 2= 동인 서클 공식 사이트
}}
}}


'''TYPE-MOON'''(타입문)은 [[일본]]의 게임 개발사 유한회사 노츠의 게임 브랜드다. 초기에는 [[동인 서클]]이었으나 훗날 상업 회사로 발전했다. 별명은 '''카타츠키'''(型月) 또는 '''형월''', 아니면 그냥 '''달사'''라고도 부른다.
'''TYPE-MOON'''(타입문)은 [[일본]]의 게임 개발사 유한회사 노츠의 게임 브랜드다. [[동인 서클]]로 시작했었으나,《[[Fate/stay night]]》 제작 및 발매를 기점으로 상업 회사로 발전했다. 별명은 '''카타츠키'''(型月) 또는 '''형월''', 아니면 그냥 '''달사'''라고도 부른다.


동인 및 상업 초창기 시절에는 [[비주얼 노벨]] [[어덜트 게임]]을 만들었으나 에로게 시장이 쇠퇴함으로써 현재는 에로게 개발에 손을 떼고 전연령 작품 중심의 종합 컨텐츠 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돌린 상태다. 단독 게임 개발도 《[[마법사의 밤]]》이 끝으로, 그 뒤 나온 게임들은 타 게임 개발사와 협력 개발을 맡은 것이 전부다.
동인 및 상업 초창기 시절에는 [[에로게]] [[비주얼 노벨]]을 만들었으나, 이쪽 시장이 쇠퇴할 조짐을 보이는데다 미디어 믹스화를 통한 추가수익 창출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2007년 발매한 《[[Fate/stay night [Réalta Nua]|Fate/stay night <nowiki>[Réalta Nua]</nowiki>]]》를 기점으로 에로게 개발에 완전히 손을 떼고 전연령 작품 중심의 종합 컨텐츠 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돌린 상태다.


== 역사 ==
== 역사 ==
=== 동인 시절 ===
=== 동인 시절 ===
1999년 [[타케우치 타카시]]는 동인 활동을 한 경험으로 [[나스 키노코]]를 끌여들여 『타케보키』라는 동인 서클을 설립했었다. TYPE-MOON은 정확히는 이 타케보키의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탄생한 일회성 서클로 《월희》 활동이 끝나면 해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월희》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타케우치와 나스도 게임 개발에 재미를 느끼면서 TYPE-MOON을 존속시키기로 결정한다.
1999년 [[타케우치 타카시]]는 [[컴파일 (기업)|컴파일]]에서 일하며 동인 활동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절친 [[나스 키노코]]를 끌여들여 『타케보키』라는 동인 서클을 설립했었다. TYPE-MOON은 정확히는 이 타케보키의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탄생한 일회성 서클로 《[[월희]]》의 개발이 끝나면 해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월희》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타케우치와 나스도 게임 개발에 본격적으로 재미를 느끼면서 TYPE-MOON을 존속시키기로 결정한다.


그 뒤 TYPE-MOON은 2003년 4월 29일에 개최된 코믹 레볼루션에서 합본인 《월상》을 끝으로 동인 서클로서 TYPE-MOON은 활동을 종료. 상업 회사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 뒤 TYPE-MOON은 2003년 4월 29일에 개최된 코믹 레볼루션에서 합본인 《[[월상]]》을 끝으로 동인 서클로서 활동을 종료하고, 상업 회사로 전환했다.


=== 상업으로 전환 ===
=== 상업활동 이후 ===
2003년에 유한회사 노츠를 설립해 TYPE-MOON을 브랜드로 만든 뒤 활동을 재개. 첫 작품은 바로 《[[Fate/stay night]]》로, 이는 누계 판매량 14만 장을 달성하며 에로게 역사에 한획을 그었다. 그 뒤에 나온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도 상업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고 [[Fate 시리즈]]를 중심으로 전연령 업계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에로게 시장이 수익성 및 트렌드 변화로 쇠퇴함과 동시에 《Fate/stay night》와 《Fate/hollow ataraxia》가 에로게 유저들에게 비판받을 정도로 나스랑 타케우치 둘 다 성적 묘사를 너무 못해서인지 몰라도 에로게 개발에는 완전히 손을 뗐다.
2003년에 유한회사 노츠를 설립해 TYPE-MOON을 브랜드로 만든 뒤 활동을 재개한다. 그리고 2004년,  나스 키노코가 고등학교 시절 플룻을 만든 작품을 바탕으로 제작한 《[[Fate/stay night]]》(이하 F/sn)를 출시했는데, 누계 판매량 100,000만 장을 달성하며 에로게 역사에 한획을 그은 전설의 작품이 되었다. 2005년에 나온 F/sn의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도 상업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2007년 F/sn의 콘솔 이식작 《[[Fate/stay night [Réalta Nua]|Fate/stay night [Réalta Nua]]]》 발매를 기점으로 에로게 제작에선 완전히 철수하고 전연령 업계에 올인하기 시작한다. 에로게 시장이 수익성 및 트렌드 변화로 쇠퇴함과 동시에 나스랑 타케우치 둘 다 성적 묘사를 너무 못하는 점도 있어서 그런 듯.
 
2010년 [[Fate/EX 시리즈]], 2012년 《[[마법사의 밤]]》을 신작으로 내놓으며 전연령작 상업 게임을 출시함과 동시에 [[Fate 시리즈]]를 필두로 TYPE-MOON 작품들의 본격적인 미디어 믹스 전개를 시작한다. 그리고 2015년에 발매한 모바일 게임 《[[Fate/Grand Order]]》가 초대박을 쳐서 어마어마한 규모로 프랜차이즈가 성장한다.


== 작품 목록 ==
== 작품 목록 ==
42번째 줄: 35번째 줄:
* 월희 시리즈
* 월희 시리즈
** [[월희]]
** [[월희]]
** [[한화월희]]
** [[월희 PLUS-DISC]]
** [[가월십야]]
** [[가월십야]]
**  [[진월담 월희]]
** [[월희 -A piece of blue glass moon-]]<ref>앞서 나온 월희의 리메이크 작품.</ref>
** [[월희 -A piece of blue glass moon-]]


* [[Fate 시리즈]]
* [[Fate 시리즈]]
** [[Fate/stay night]]
** [[Fate/stay night]]
** [[Fate/hollow ataraxia]]
** [[Fate/hollow ataraxia]]
** [[Fate/stay night Réalta Nua]]
** [[Fate/stay night [Réalta Nua]|Fate/stay night [Réalta Nua]]]<ref>앞서 나온 Fate/stay night의 전연령판 버전</ref>
** [[Fate/Zero]]
** [[Fate/Zero]]
** [[Fate/Prototype]]
** [[Fate/Prototype]]
81번째 줄: 73번째 줄: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니트로플러스]]와 다르게 TYPE-MOON은 《Fate/hollow ataraxia》 이후로 완전히 에로게 개발에 손을 뗀 상태다. 문제는 에로게 시절 과거까지 세탁하고 있어서 고전 달빠들이 까고 있다. 단, 《Fate/stay night》와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는 이벤트 CG부터 묘사까지 타케우치 타카시와 나스 키노코 콤비가 정말 에로틱한 장면을 못 쓰는 바람에, 정말 야한 걸 원하는 에로게이머들에게 욕먹은 적이 있었다. 정작 모바일 게임 《Fate/Grand Order》로는 12세 이용가에 맞지 않는 지나친 섹드립부터 시작해 에로게에 나올 법한 에로틱한 캐릭터들을 뽑아내고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 [[니트로플러스]]와 다르게 TYPE-MOON은 《Fate/hollow ataraxia》 이후로 완전히 에로게 개발에 손을 뗀 상태다. 단, 《Fate/stay night》와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는 이벤트 CG부터 묘사까지 타케우치 타카시와 나스 키노코 콤비가 정말 에로틱한 장면을 못 쓰는 바람에, 정말 야한 걸 원하는 골수 게이머들에게 욕먹은 적이 있었다. 정작 모바일 게임 《Fate/Grand Order》로는 12세 이용가에 맞지 않는 지나친 섹드립부터 시작해 에로게에 나올 법한 야한 캐릭터들을 뽑아내고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 문제는 이 에로게 시절 과거마저 세탁하는 바람에 일부 캐릭터들(에로게판 《Fate/stay night》 등)은 캐릭터성이 바뀌거나 개연성에 문제가 생기고 있는 상태. 《Fate/Grand Order》도 직접적인  H신이 없는 것이지 일부 장면과 묘사를 검열한 간접적인 H신은 나오고 있다.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2023년 3월 20일 (월) 09:56 기준 최신판

TYPE-MOON
タイプムーン
Type-moon.png
브랜드 정보
종류 어덜트 게임[1]
전연령 미소녀 게임
소유 노츠
시작 2004년 1월 30일
웹사이트 www.typemoon.com

TYPE-MOON(타입문)은 일본의 게임 개발사 유한회사 노츠의 게임 브랜드다. 동인 서클로 시작했었으나,《Fate/stay night》 제작 및 발매를 기점으로 상업 회사로 발전했다. 별명은 카타츠키(型月) 또는 형월, 아니면 그냥 달사라고도 부른다.

동인 및 상업 초창기 시절에는 에로게 비주얼 노벨을 만들었으나, 이쪽 시장이 쇠퇴할 조짐을 보이는데다 미디어 믹스화를 통한 추가수익 창출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2007년 발매한 《Fate/stay night [Réalta Nua]》를 기점으로 에로게 개발에 완전히 손을 떼고 전연령 작품 중심의 종합 컨텐츠 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돌린 상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동인 시절[편집 | 원본 편집]

1999년 타케우치 타카시컴파일에서 일하며 동인 활동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절친 나스 키노코를 끌여들여 『타케보키』라는 동인 서클을 설립했었다. TYPE-MOON은 정확히는 이 타케보키의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탄생한 일회성 서클로 《월희》의 개발이 끝나면 해체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월희》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타케우치와 나스도 게임 개발에 본격적으로 재미를 느끼면서 TYPE-MOON을 존속시키기로 결정한다.

그 뒤 TYPE-MOON은 2003년 4월 29일에 개최된 코믹 레볼루션에서 합본인 《월상》을 끝으로 동인 서클로서 활동을 종료하고, 상업 회사로 전환했다.

상업활동 이후[편집 | 원본 편집]

2003년에 유한회사 노츠를 설립해 TYPE-MOON을 브랜드로 만든 뒤 활동을 재개한다. 그리고 2004년, 나스 키노코가 고등학교 시절 플룻을 만든 작품을 바탕으로 제작한 《Fate/stay night》(이하 F/sn)를 출시했는데, 누계 판매량 100,000만 장을 달성하며 에로게 역사에 한획을 그은 전설의 작품이 되었다. 2005년에 나온 F/sn의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도 상업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2007년 F/sn의 콘솔 이식작 《Fate/stay night [Réalta Nua]》 발매를 기점으로 에로게 제작에선 완전히 철수하고 전연령 업계에 올인하기 시작한다. 에로게 시장이 수익성 및 트렌드 변화로 쇠퇴함과 동시에 나스랑 타케우치 둘 다 성적 묘사를 너무 못하는 점도 있어서 그런 듯.

2010년 Fate/EX 시리즈, 2012년 《마법사의 밤》을 신작으로 내놓으며 전연령작 상업 게임을 출시함과 동시에 Fate 시리즈를 필두로 TYPE-MOON 작품들의 본격적인 미디어 믹스 전개를 시작한다. 그리고 2015년에 발매한 모바일 게임 《Fate/Grand Order》가 초대박을 쳐서 어마어마한 규모로 프랜차이즈가 성장한다.

작품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자체 개발[편집 | 원본 편집]

협력 개발[편집 | 원본 편집]

하위 브랜드[편집 | 원본 편집]

소속 인물[편집 | 원본 편집]

트리비아[편집 | 원본 편집]

  • 니트로플러스와 다르게 TYPE-MOON은 《Fate/hollow ataraxia》 이후로 완전히 에로게 개발에 손을 뗀 상태다. 단, 《Fate/stay night》와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는 이벤트 CG부터 묘사까지 타케우치 타카시와 나스 키노코 콤비가 정말 에로틱한 장면을 못 쓰는 바람에, 정말 야한 걸 원하는 골수 게이머들에게 욕먹은 적이 있었다. 정작 모바일 게임 《Fate/Grand Order》로는 12세 이용가에 맞지 않는 지나친 섹드립부터 시작해 에로게에 나올 법한 야한 캐릭터들을 뽑아내고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협력 회사/브랜드
팬덤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에로게는 《Fate/hollow ataraxia》를 끝으로 사실상 접은 상태.
  2. 앞서 나온 월희의 리메이크 작품.
  3. 앞서 나온 Fate/stay night의 전연령판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