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big> 冠岳驛 / Gwanak Station / 冠岳 / クァナク</big> {{정보상자 |이름=철도역 정보 |전체모양 = width:285px;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4명의 중간 판 7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 冠岳驛 / Gwanak Station / 冠岳 / クァナク</big>
{{새 철도역 정보
{{정보상자
|이름     = 관악
|이름=철도역 정보
|원어이름 =  
|전체모양 = width:285px;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글자색  = white
|항목모양=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그림    =  
|항목1=운영주체
|그림설명 =
|내용1=[[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td></tr>
|그림alt  =  
<tr><td colspan="2" style="margin: 0; padding:0;">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산업도로|경수대로1273번길]] 46
{{정보상자
|번호    = {{역번호/한국|P146|수도권|1|ls=-0.05}}
|정보상자아님=
|노선    = [[경부선]] <small>21.5 km</small>
|전체속성 = collapsible collapsed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subbox = yes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작은제목= 세부 정보
|폐지일  =  
|작은제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코드    = 827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승강장  = 2면 4선
|항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text-align:left;
|관련역  =  
|항목3=개업일
|참고    =  
|내용3= 1974년 8월 15일
|비고    =  
|항목4=등급
|하위 틀  =  
|내용4= [[무배치간이역]] (안양역 관리)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 '''[[경부선]]'''
|-
| style="width: 170px;" |<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br/>'''[[석수역|석 수]]'''
| style="width: 30px;" | <small>1.9<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관 악'''</big>
| style="width: 30px;"| <small>2.4<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br/>'''[[안양역|안 양]]'''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1}};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1호선|<span style="color: white;">수도권 전철 1호선</span>]]'''
|-
| style="width: 170px;" |<small>[[소요산역|소요산]] 방면</small><br/>'''[[석수역|석 수]]'''<br/><small>P145</small>
| style="width: 30px;" | <small>1.9<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관 악'''</big><br/><small>(안양예술공원)</small><br/><small>P146</small>
| style="width: 30px;"| <small>2.4<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서동탄역|서동탄]] · [[신창역|신창]] 방면</small><br/>'''[[안양역|안 양]]'''<br/><small>P147</small>
|}


== 개요 ==
[[관악구]]가 아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있는 전철역으로, 역명 자체는 사실 [[관악산]]에서 따온 것이다. 여러모로 사람 낚기 좋은 역이지만, 그래도 관악구 자체가 [[신림동]], [[봉천동]] 등이 워낙 넓고 대표적인 지명이었던 탓에 그나마 살아남은 케이스에 가깝다. 부역명은 구 안양유원지였던 '''[[안양예술공원]]'''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안양예술공원까지의 거리는 1 km가 넘으며, 대중교통의 경우도 [[안양역]]쪽이 이용이 편리하다는 점에서 별 의미는 없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1273번길 46번 (舊 석수1동 110-21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역사에 직계역으로 반영되어 있진 않지만 [[1930년대]]와 [[1960년대]] [[안양역]]과 [[금천구청역|시흥역]] 사이에 있던 [[안양풀장역]]이 그 시초에 가까우며,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북쪽으로 약 0.4 km 올라간 자리에 설치되었다.
 
== 시설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 있는 역이다. 하지만 내선 승강장은 어떤 열차도 정차하지 않으므로 항상 쇠사슬 등으로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며, 승강장 번호나 안내기 역시 설비되어 있지 않다. 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름은 [[관악산]]에서, 부기역명은 안양예술공원에서 따왔다.<del>관악구에 있지 않다</del>
역사 자체는 안양 방향 끝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칭형 구조의 선상역사다. 직접 경수대로에 닿아있는 건 아니고, 경수대로에서 갈라진 골목길에 접해있다.


=== 주요 계통 ===
{{철도승강장|구조=
{{인접정차역/열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1호선'''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인접정차역
}}
|노선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부선]] [[안양역|안양]]
|종별 = 광운대-병점·서동탄 완행
}}
|전역 = [[석수역|석 수]]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후역 = [[안양역|안 양]]
}}
|전방면 = 광운대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후방면 = 병점·서동탄 방면
}}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1}}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부선]] [[석수역|석수]]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1}}
}}
}}
{{인접정차역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구로역|구로]] · [[청량리역|청량리]]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노선 =  
|종별 = 광운대-천안·신창 완행
|전역 = [[석수역|석 수]]
|후역 = [[안양역|안 양]]
|전방면 = 청량리·광운대 방면
|후방면 = 천안·신창 방면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1}}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S|1}}
}}
}}
{{인접정차역/닫기
|설명 =
}}
}}


== 역사 ==
== 주변 정보 ==
[[1973년]] [[11월 16일]] : 역사 신축 착공
일대는 안양시 북부 석수2동의 주거지구로, 밀도는 아주 높은 편은 아니지만 아파트 단지 여러 개가 있다. [[광명역]]에서 가장 가까운 역으로, 코레일에서 직접 셔틀버스를 굴리던 시절도 있었다. 이 때는 [[KTX]] 이용 시에 셔틀 비용을 할인해주거나 했었고, 마을버스가 MS권으로도 발권이 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광명 셔틀 운행 이후 [[광명 마을버스 1-1|마을버스 1-1번]]으로 전환되었다.
[[1974년]] [[7월 5일]] : 역사 신축 준공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개통과 동시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
[[1983년]] [[8월 6일]] : 운전간이역으로 변경
[[1998년]] [[1월 1일]] : 무배치간이역(을종위탁발매소)로 변경
[[2005년]] [[6월 10일]] : 관악역~광명역간 직통 셔틀버스 운행 개시
[[2009년]]: 역사 리모델링
[[2009년]] [[7월 1일]] : 부역명(안양예술공원) 제정
[[2012년]] [[6월 30일]] : 관악역~광명역간 직통 셔틀버스 운행 종료


== 특징 ==
=== 버스 ===
부기역명인 안양예술공원은 직선거리 1.7km정도로 좀 멀다.
[[경수산업도로|경수대로]] 노면 정류장이 있다. 경수대로와 이어지는 [[시흥대로]] 방면의 버스들이 다수 발착하며, 일부 버스는 삼막로 방면 경인교대 방면으로 향한다. 경인교대에서 버스를 갈아타면 관악구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이 역과 안양역 사이에 [[안양풀장역]]이라는 임시역사가 있었다.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2 [[경부선]]|노선거리=21.5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석수역|석수]]|전거리=1.9 km
|당역='''관악'''
|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안양역|안양]]|후거리=2.4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전방면=[[광운대역|광운대]] 방면|전역={{역번호/한국|P145|수도권|1|ls=-0.05}} [[석수역|석수]]|전거리=1.9 km
|당역={{역번호/한국|P146|수도권|1|ls=-0.05}} '''관악'''|등급=완행
|후방면=[[서동탄역|서동탄]]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47|수도권|1|ls=-0.05}} [[안양역|안양]]|후거리=2.4 km}}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경부선]]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7.41872478639414|126.90914869308472|14|관악역}}

2023년 10월 26일 (목) 17:28 기준 최신판

관악
주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경수대로1273번길 46
번호  P146 
노선 경부선 21.5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코드 827
승강장 2면 4선

관악구가 아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있는 전철역으로, 역명 자체는 사실 관악산에서 따온 것이다. 여러모로 사람 낚기 좋은 역이지만, 그래도 관악구 자체가 신림동, 봉천동 등이 워낙 넓고 대표적인 지명이었던 탓에 그나마 살아남은 케이스에 가깝다. 부역명은 구 안양유원지였던 안양예술공원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안양예술공원까지의 거리는 1 km가 넘으며, 대중교통의 경우도 안양역쪽이 이용이 편리하다는 점에서 별 의미는 없다.

역사에 직계역으로 반영되어 있진 않지만 1930년대1960년대 안양역시흥역 사이에 있던 안양풀장역이 그 시초에 가까우며,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북쪽으로 약 0.4 km 올라간 자리에 설치되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 있는 역이다. 하지만 내선 승강장은 어떤 열차도 정차하지 않으므로 항상 쇠사슬 등으로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며, 승강장 번호나 안내기 역시 설비되어 있지 않다. 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 자체는 안양 방향 끝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칭형 구조의 선상역사다. 직접 경수대로에 닿아있는 건 아니고, 경수대로에서 갈라진 골목길에 접해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일대는 안양시 북부 석수2동의 주거지구로, 밀도는 아주 높은 편은 아니지만 아파트 단지 여러 개가 있다. 광명역에서 가장 가까운 역으로, 코레일에서 직접 셔틀버스를 굴리던 시절도 있었다. 이 때는 KTX 이용 시에 셔틀 비용을 할인해주거나 했었고, 마을버스가 MS권으로도 발권이 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광명 셔틀 운행 이후 마을버스 1-1번으로 전환되었다.

버스[편집 | 원본 편집]

경수대로 노면 정류장이 있다. 경수대로와 이어지는 시흥대로 방면의 버스들이 다수 발착하며, 일부 버스는 삼막로 방면 경인교대 방면으로 향한다. 경인교대에서 버스를 갈아타면 관악구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석수 1.9 km
관악 부산 방면
안양 2.4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광운대 방면
 P145  석수
 P146  관악
완행
서동탄 · 신창 방면
 P147  안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