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성북구'''는 [[서울특별시]]의 자치구이다.
'''성북구'''(城北區)는 [[서울특별시]]의 자치구이다.


== 역사 ==
== 역사 ==
원래 서울의 일부([[성저십리]])였지만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때 고양군에 편입되어 숭인면으로 통합되었다. 1936년에 일부 지역이 서울에 편입되었고({{ㅊ|이때 고려대학교가 2년만에 다시 [[인서울 대학교]]가 됐다}}) 1949년에 숭인면을 편입하여 성북구를 분구하였다. 이후 도봉구,노원구에 해당하는 노해면을 편입했다가 1973년에 [[도봉구]]로 옛 노해면 전부와 1949년에 편입한 지역 일부를 넘겼다. 1975년에 미아동 일부를 돌려받아 길음동을 설치하였고, 보문동을 편입하였다.
원래 서울의 일부([[성저십리]])였지만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때 고양군에 편입되어 숭인면으로 통합되었다. [[1936년]]에 일부 지역이 서울에 편입되었고({{ㅊ|이때 고려대학교가 2년 만에 다시 [[인서울 대학교]]가 됐다}}) [[1949년]]에 숭인면을 편입하여 성북구를 분구하였다. 이후 도봉구,노원구에 해당하는 노해면을 편입했다가 [[1973년]]에 [[도봉구]]로 옛 노해면 전부와 [[1949년]]에 편입한 지역 일부를 넘겼다. [[1975년]]에 미아동 일부를 돌려받아 길음동을 설치하였고, 보문동을 편입하였다.
== 대학도시 ==
== 대학도시 ==
대학이 아주 많은 구이다.
대학이 아주 많은 구이다.
== 교통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보문역]], [[안암역]], [[고려대역]], [[월곡역]], [[상월곡역]], [[돌곶이역]], [[석계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우이}} [[우이신설선]]
*: [[북한산보국문역]], [[정릉역]],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


== 각주 ==
== 각주 ==
{{각주}}
{{각주}}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분류: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분류:성북구| ]]
{{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2023년 9월 18일 (월) 13:06 기준 최신판

성북구(城北區)는 서울특별시의 자치구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원래 서울의 일부(성저십리)였지만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때 고양군에 편입되어 숭인면으로 통합되었다. 1936년에 일부 지역이 서울에 편입되었고(이때 고려대학교가 2년 만에 다시 인서울 대학교가 됐다) 1949년에 숭인면을 편입하여 성북구를 분구하였다. 이후 도봉구,노원구에 해당하는 노해면을 편입했다가 1973년도봉구로 옛 노해면 전부와 1949년에 편입한 지역 일부를 넘겼다. 1975년에 미아동 일부를 돌려받아 길음동을 설치하였고, 보문동을 편입하였다.

대학도시[편집 | 원본 편집]

대학이 아주 많은 구이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