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n| )*\{\{ *대한민국 현대사 *\}\}(\n| )* +\n\n))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좌우이동
{{좌우이동
|왼쪽= 제5공화국
|왼쪽= 제5공화국
|가운데= 제6공화국
|오른쪽 =  
|오른쪽 =  
|가운데= 제6공화국
}}
}}


제6공화국은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확립한 [[노태우]]가 국민의 직접선거로 당선된 후, [[1988년]] 제13대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CURRENTYEAR}}년 {{CURRENTMONTHNAME}} 현재까지 유지되고있는 대한민국의 6번째 헌정통치체제이다. 제6공화국 체제 하에서 7번째 정권<ref>[[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ref>이 유지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제6공화국]]은 [[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확립한 [[노태우]]가 [[국민]]의 [[직접선거]]로 당선된 후, [[1988년]] 제13대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CURRENTYEAR}}년 {{CURRENTMONTHNAME}} 현재까지 유지되고있는 대한민국의 6번째 [[헌정통치체제]]이다. [[제6공화국]] 체제 하에서 8번째 정권<ref>[[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ref>이 유지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개요 ==
== 상세 ==
[[1987년]], [[전두환]]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전 국민적 개헌요구를 수용하는 듯 하다가 [[4.13 호헌담화]]를 통해 자신의 임기 중에 개헌논의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뒤통수를 때린다. 이로 인해 촉발된 [[6월 항쟁]]으로 제5공화국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고, 여당인 [[민주정의당]] 총재이자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인 [[노태우]]는 [[6.29 선언]]을 통해 전격적으로 대통령 직선제 수용, [[김대중]] 사면복권 등을 골자로 하는 담화를 발표한다.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전두환은 결국 6.29 선언을 수용하고, 그해 국회에서 여야합의로 개헌이 이뤄져 제4공화국 이후 잃어버렸던 국민의 대통령 직선제라는 큰 민주적 성과를 포함하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선거]]가 [[12월 16일]] 진행되었다. 선거결과 [[김영삼]], [[김대중]] 두 거물급 야권 인사의 단일화 실패로, 어부지리 격으로 [[노태우]] 후보가 제13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제6공화국이 시작되었다.
[[1987년]], [[전두환]]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전 국민적 개헌요구를 수용하는 듯 하다가 [[4.13 호헌담화]]를 통해 자신의 임기 중에 개헌논의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뒤통수를 때린다. 이로 인해 촉발된 [[6월 항쟁]]으로 [[제5공화국]]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고, 여당인 [[민주정의당]] 총재이자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인 [[노태우]]는 [[6.29 선언]]을 통해 전격적으로 [[대통령 직선제]] 수용, [[김대중]] [[사면복권]] 등을 골자로 하는 [[담화]]를 발표한다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데다 6월 항쟁으로 인하여 몰락한 [[전두환]]은 결국 [[6.29 선언]]을 수용하였고, 그 후 제5공화국은 몰락하였다. 그해 [[국회]]에서 [[여야합의]]로 [[개헌]]이 이뤄져 [[제4공화국]] 이후 잃어버렸던 국민의 [[대통령 직선제]]라는 큰 민주적 성과를 포함하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선거]]가 [[12월 16일]] 진행되었다. 선거결과 [[김영삼]], [[김대중]] 두 거물급 [[야권]] 인사의 [[단일화]] 실패로, 어부지리 격으로 [[노태우]] 후보가 제13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제6공화국]]이 시작되었다.


==제6공화국 역대 정권==
==제6공화국 역대 정권==
=== [[노태우 정부]] ===
=== [[노태우 정부]] ===
* 기간 :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 기간: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 대통령 : 제13대 [[노태우]]
* 대통령: 제13대 [[노태우]]
* 여당 : [[민주자유당]]


=== [[김영삼 정부|문민정부]] ===
=== [[김영삼 정부|문민정부]] ===
* 기간 :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 기간: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 대통령 : 제14대 [[김영삼]]
* 대통령: 제14대 [[김영삼]]
* 여당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
===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
* 기간 : [[1998년]] ~ [[2003년]]
* 기간: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 대통령 : 제15대 [[김대중]]
* 대통령: 제15대 [[김대중]]
* 여당: [[새정치국민회의]]


=== [[노무현 정부|참여정부]] ===
=== [[노무현 정부|참여정부]] ===
* 기간 : [[2003년]] ~ [[2008년]]
* 기간: [[2003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4일]]
* 대통령 : 제16대 [[노무현]]
* 대통령: 제16대 [[노무현]]
* 여당: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 [[이명박 정부]] ===
=== [[이명박 정부]]<ref>정권 출범 이전 정권의 별칭으로 '''실용 정부'''가 떠오른 적이 있었고, 언론에서도 이를 보도하였지만 이 별칭이 정식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공식적인 별칭은 없이 대통령의 이름을 딴 이명박 정부였으며, 언론에 따라서는 이명박의 이니셜을 딴 '''MB 정권'''이라 부르기도 했다.</ref> ===
* 기간 : [[2008년]] ~ [[2013년]]
* 기간: [[2008년]] [[2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 대통령 : 제17대 [[이명박]]
* 대통령: 제17대 [[이명박]]
* 여당: [[한나라당]] → [[새누리당]]


=== [[박근혜 정부]] ===
=== [[박근혜 정부]] ===
* 기간 : [[2013년]] ~ [[2017년]]
* 기간: [[2013년]] [[2월 25일]] ~ [[2017년]] [[3월 10일]]<ref>헌법재판소에서 탄핵소추안이 인용되면서 대통령 직에서 파면되었다.</ref>
* 대통령 : 제18대 [[박근혜]]
* 대통령: 제18대 [[박근혜]]
* 여당: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문재인 정부]] ===
=== [[문재인 정부]] ===
* 기간 : [[2017년]] ~  
* 기간: [[2017년]] [[5월 10일]] ~ [[2022년]] [[5월 9일]]
* 대통령 : 제19대 [[문재인]]
* 대통령: 제19대 [[문재인]]
* 여당: [[더불어민주당]]
 
=== [[윤석열 정부]] ===
* 기간: [[2022년]] [[5월 10일]] ~ [[2027년]] [[5월 9일]]
* 대통령: 제20대 [[윤석열]]
* 여당: [[국민의힘]]


==사건/사고==
==사건/사고==
54번째 줄: 66번째 줄:
* [[추격자]] - 영화, [[나홍진]] 감독, 2008년 2월 14일 개봉
* [[추격자]] - 영화, [[나홍진]] 감독, 2008년 2월 14일 개봉
* [[도가니]] - 영화, [[황동혁]] 감독, 2011년 9월 22일 개봉
* [[도가니]] - 영화, [[황동혁]] 감독, 2011년 9월 22일 개봉
* [[범죄와의 전쟁 : 나쁜놈들 전성시대]] - 영화, [[윤종빈]] 감독, 2012년 2월 2일 개봉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 영화, [[윤종빈]] 감독, 2012년 2월 2일 개봉
* [[응답하라 1997]] - 드라마, tvN, 2012년 7월 24일 ~ 2012년 9월 18일, 16부작
* [[응답하라 1997]] - 드라마, tvN, 2012년 7월 24일 ~ 2012년 9월 18일, 16부작
* [[모래가 흐르는 강]] - 다큐멘터리 영화, [[지율]] 감독, 2013년 3월 28일 개봉
* [[모래가 흐르는 강]] - 다큐멘터리 영화, [[지율]] 감독, 2013년 3월 28일 개봉
70번째 줄: 82번째 줄:


{{각주}}
{{각주}}
{{대한민국 현대사}}
 
[[분류:제6공화국| ]]
[[분류:제6공화국| ]]

2023년 9월 5일 (화) 21:40 기준 최신판

제6공화국

제6공화국6.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확립한 노태우국민직접선거로 당선된 후, 1988년 제13대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2024년 6월 현재까지 유지되고있는 대한민국의 6번째 헌정통치체제이다. 제6공화국 체제 하에서 8번째 정권[1]이 유지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상세[편집 | 원본 편집]

1987년, 전두환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전 국민적 개헌요구를 수용하는 듯 하다가 4.13 호헌담화를 통해 자신의 임기 중에 개헌논의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뒤통수를 때린다. 이로 인해 촉발된 6월 항쟁으로 제5공화국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고, 여당인 민주정의당 총재이자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인 노태우6.29 선언을 통해 전격적으로 대통령 직선제 수용, 김대중 사면복권 등을 골자로 하는 담화를 발표한다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데다 6월 항쟁으로 인하여 몰락한 전두환은 결국 6.29 선언을 수용하였고, 그 후 제5공화국은 몰락하였다. 그해 국회에서 여야합의개헌이 이뤄져 제4공화국 이후 잃어버렸던 국민의 대통령 직선제라는 큰 민주적 성과를 포함하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선거12월 16일 진행되었다. 선거결과 김영삼, 김대중 두 거물급 야권 인사의 단일화 실패로, 어부지리 격으로 노태우 후보가 제13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제6공화국이 시작되었다.

제6공화국 역대 정권[편집 | 원본 편집]

노태우 정부[편집 | 원본 편집]

문민정부[편집 | 원본 편집]

국민의 정부[편집 | 원본 편집]

참여정부[편집 | 원본 편집]

이명박 정부[2][편집 | 원본 편집]

박근혜 정부[편집 | 원본 편집]

문재인 정부[편집 | 원본 편집]

윤석열 정부[편집 | 원본 편집]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 제6공화국 역대 정권 각 항목 참고.

이 시기를 다룬 대중매체[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2. 정권 출범 이전 정권의 별칭으로 실용 정부가 떠오른 적이 있었고, 언론에서도 이를 보도하였지만 이 별칭이 정식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공식적인 별칭은 없이 대통령의 이름을 딴 이명박 정부였으며, 언론에 따라서는 이명박의 이니셜을 딴 MB 정권이라 부르기도 했다.
  3.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소추안이 인용되면서 대통령 직에서 파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