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디뮴: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한국어 || 네오디뮴 |- | 영어 || Neodymium |- | 원자 번호 || 60 |- | 원소 기호 || '''Nd''' |- | 평균 원자량 || 144.242u |} ==...)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원소 정보))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ortable"
{{원소 정보
|-
|이름    = 네오디뮴
| 한국어 || 네오디뮴
|그림    =
|-
|그림설명 =
| 영어 || Neodymium
|기호    = Nd
|-
|번호    = 60
| 원자 번호 || 60
|족      =
|-
|주기    =
| 원소 기호 || '''Nd'''
|계열    =
|-
|구역    =
| 평균 원자량 || 144.242u
|전자배치 =
|}
|전자 수  = 2, 8, 18, 22, 8, 2
|질량    = 144.242 Da
|반지름  = 206 pm
|공유    =
|판데르발스=
|산화수  =
|음성도  = 1.14
|이온화1  =
|이온화2  =
|이온화3  =
|동위원소 =
|상태    = [[고체]]
|밀도    = 7.01 g/cm<sup>3</sup>
|결정구조 = [[육방정계]]
|녹는점  = 1024 °C
|끓는점  = 3074 °C
|융해열  = 7.14 kJ/mol
|기화열  = 289 kJ/mol
|몰열용량 =
|증기압력 =
|음속    =
|도전율  =
|열전도율 =
|비고    =
}}


==개요==
주기율표 [[6주기 원소|6주기]]에 속하는 [[란타넘족]] 원소로, 원소기호 Nd 원자번호는 60이다. [[1885년]]에 그전까지 한 원소라고 생각했던 [[디디뮴]](다이디뮴)이 사실 두 금속의 혼합물이라는 것이 밝혀져 새로운 디디뮴이라는 뜻으로 이름이 붙었다.
주기율표 [[6주기 원소|6주기]]에 속하는 [[란타넘족]] 원소로, 원소기호 Nd 원자번호는 60이다.


==제조법==
==제조법==
20번째 줄: 43번째 줄:


==용도==
==용도==
*아주 강력한 [[자석]]을 만드는 데에 필요하다. [[프라세오디뮴]]을 분리하지 않은 혼합물을 특수 유리에 사용하기도 한다.


{{주기율표}}
{{주기율표}}
[[분류:란타넘족]][[분류:원소]]
[[분류:란타넘족]][[분류:원소]]

2022년 6월 13일 (월) 00:49 기준 최신판

네오디뮴
원소 정보
기호 Nd
원자 번호 60
전자 수 2, 8, 18, 22, 8, 2 (준위별)
원자의 성질
원자 질량 144.242 Da
반지름 원자 206 pm
전기 음성도 1.14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
1차
물리적 성질
상태 (STP) 고체
밀도 7.01 g/cm3
결정 구조 육방정계
녹는점 1024 °C
끓는점 3074 °C
융해열 7.14 kJ/mol
기화열 289 kJ/mol

주기율표 6주기에 속하는 란타넘족 원소로, 원소기호 Nd 원자번호는 60이다. 1885년에 그전까지 한 원소라고 생각했던 디디뮴(다이디뮴)이 사실 두 금속의 혼합물이라는 것이 밝혀져 새로운 디디뮴이라는 뜻으로 이름이 붙었다.

제조법[편집 | 원본 편집]

성질[편집 | 원본 편집]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아주 강력한 자석을 만드는 데에 필요하다. 프라세오디뮴을 분리하지 않은 혼합물을 특수 유리에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