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 미국의 [[아폴로 13호]]는 달착륙에 실패했다. 11호~17호 중 실패한 케이스.
* 미국의 [[아폴로 13호]]는 달착륙에 실패했다. 11호~17호 중 실패한 케이스.
== 기타 ==
== 기타 ==
{{다른 뜻|1913년||'13년}}
* 13은 [[위키백과:이스가리옷 유다|이스가리옷 유다]]를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하다. 이외에 12+1의 수로 서양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불길함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13일의 금요일'''.  
* 13은 [[위키백과:이스가리옷 유다|이스가리옷 유다]]를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하다. 이외에 12+1의 수로 서양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불길함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13일의 금요일'''.
** [[13 공포증]]
* 보통 케이블 사업자나 위성 사업자들은 13번 채널에 [[EBS]]를 배정하는 경우가 많다.
* 보통 케이블 사업자나 위성 사업자들은 13번 채널에 [[EBS]]를 배정하는 경우가 많다.
* 영어에서 12까지의 철자법과 13부터의 철자법이 상이하다. 11은 eleven, 12는 twelve, 13은 thirteen. 이러한 특성 때문에 13살부터의 10대들을 teenager라는 말이 나왔다.
* 영어에서 12까지의 철자법과 13부터의 철자법이 상이하다. 11은 eleven, 12는 twelve, 13은 thirteen. 이러한 특성 때문에 13살부터의 10대들을 teenager라는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음악가 [[리하르트 바그너]]와 관련된 이야기거리가 몇 개 있다. 우선 그의 이름(Richard Wagner)는 13자의 알파벳으로 표현 가능하며, 서기18'''13'''년생인데 자릿수를 모두 더하면 13이 나온다. [https://ko.m.wikisource.org/wiki/%EB%B0%94%EA%B7%B8%EB%84%88%EC%99%80_13%EC%9D%98_%EC%88%98 홍난파의 《바그너와 13의 수》참조.]


=== 13대 국왕/국가원수 목록 ===
* [[고려]] [[문종 (고려)]]
* [[조선]] [[명종]]
* [[대한민국]] [[노태우]] 대통령
=== 등번호 13번을 사용한 프로선수 ===
* [[알레산드로 네스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역번호 13번이 붙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산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광진구청)
*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ref>일산선 개통 초기에는 [[녹번역]]. 이후 파주 연장을 감안헤서 10씩 숫자가 위로 올라갔다. [[원흥역]] 개통으로 [[원당역]] 이북 구간에는 다 1씩 숫자가 작아졌다. </ref>
*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송정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독바위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평화의 문)
* [[서울 지하철 9호선]] [[당산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강남구청역]](K213)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임학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연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덕천역]]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고촌역 (부산)|고촌역]]


{{각주}}
{{각주}}


[[분류:수]]
[[분류:수]]

2022년 2월 17일 (목) 00:04 기준 최신판

자연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자연수 · 정수 · 실수(유리수 · 무리수) · 복소수
51-100

13(십삼, 十三), thirteen

13번째 자연수로서 12보다 크고 14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수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7번째 홀수이자 6번째 소수이다.
  • 변이 12개인 다각형을 십삼각형이라고 부른다. 13은 페르마 소수(Fermat Prime)가 아니기에 자와 컴퍼스로 작도할 수 없다. 다만 각 삼등분기를 이용하면 정십삼각형을 작도할 수 있다.

과학적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13은 알루미늄의 원자번호이다.
  • 주계열표에서 13족은 금속 원소이다. 대체로 무른 금속들이 많다. 다만 붕소는 경도가 상당하며, 금속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천문학에서[편집 | 원본 편집]

  • 미국의 아폴로 13호는 달착륙에 실패했다. 11호~17호 중 실패한 케이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13은 이스가리옷 유다를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하다. 이외에 12+1의 수로 서양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불길함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13일의 금요일.
  • 보통 케이블 사업자나 위성 사업자들은 13번 채널에 EBS를 배정하는 경우가 많다.
  • 영어에서 12까지의 철자법과 13부터의 철자법이 상이하다. 11은 eleven, 12는 twelve, 13은 thirteen. 이러한 특성 때문에 13살부터의 10대들을 teenager라는 말이 나왔다.
  • 독일의 음악가 리하르트 바그너와 관련된 이야기거리가 몇 개 있다. 우선 그의 이름(Richard Wagner)는 13자의 알파벳으로 표현 가능하며, 서기1813년생인데 자릿수를 모두 더하면 13이 나온다. 홍난파의 《바그너와 13의 수》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