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12

분류:
  • 수
자연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자연수 · 정수 · 실수(유리수 · 무리수) · 복소수 →
51-100

12(십이, 十二), twelve

11보다 크고 13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목차

  • 1 수학적 특성
  • 2 영향
  • 3 종교적 의미
  • 4 기타
    • 4.1 12대 국왕/국가원수 목록
    • 4.2 등번호 12번을 사용한 프로선수
    • 4.3 역번호 12번이 붙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역
  • 5 각주

1 수학적 특성[편집]

  • 6번째 짝수이다.
  • 22×3으로 인수분해 된다 약수는 1,2,3,4,6,12 여섯 개가 존재한다.
  • 고도합성수(Highly compositive number)[1]이다. 특히 가장 작은 과잉수(Abundant Number, 자신보다 작은 약수들의 합이 자신보다 큰 숫자)이다.
  • 변이 12개인 다각형을 십이각형이라고 부른다. 특히 정십이각형(Regular Dodecagon)은 작도가 가능한 도형이며, 특별히 준정다각형 테셀레이션(Semiregular Tessllation)[2]의 한 부분[3] 을 이루는 도형이다.
  • 4번째 교대군(Alternating Group) [4] 의 원소 개수가 12개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4번째 교대군인 경우 원소는 (a b c) 형태의 3-cycle 8개와 별개의 2 -cycle의 곱 (ab)(cd) 형태 3개, 그리고 항등원 (1), 총 12개의 원소로 구성된다.
  • 서로 합동이 아닌 펜토미노[5]의 종류는 모두 12종이다.

2 영향[편집]

수메르 문화가 60진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60을 [math]5\times12[/math]로 나타낼 수 있는 12가 하나의 단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남아 있는데

  • 원의 중심각도는 360도
  • 같은 원리[6]로 인해 시간은 12의 배수로 이루어짐(1분 = 60초, 1시간=60분, 하루는 24시간)
  • 1년은 12개월로 이루어짐
  • 1피트는 12인치이다.
  • 중세~근대에 영국에서는 십진법 대신 12진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12를 dozen, 144를 gross, 1728을 dozen gross라고 표현한 것이 대표적인 예. 이외에도 1971년 1파운드를 100페니로 리디노미네이션하기 전에는 1파운드가 20실링, 12페니가 1실링, 1파운드가 240=12×20 페니였다.

3 종교적 의미[편집]

또한 종교적으로도 완성, 신성함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 부분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예수의 12사도와 고대 이스라엘의 12지파 일 것이다. 또한 요한계시록 등에서 14만 4천명 만이 구원 받는다는 등의 이야기는 대부분 12를 곱하는 등의 방법으로 도출된 숫자로, 매우 많다는 의미를 지닌다.

불교에서도 12연기 같은 개념이 존재하고, 동양에서의 서수법 중 12지지가 있다.[7] 또한 그리스 신화에서도 올림포스의 주요권좌에 앉는 신은 12신이다.

4 기타[편집]

4.1 12대 국왕/국가원수 목록[편집]

4.2 등번호 12번을 사용한 프로선수[편집]

4.3 역번호 12번이 붙은 도시철도/광역철도역[편집]

  • 수도권 전철 1호선 망월사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대입구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마두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창동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불광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마들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강동구청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선유도역
  • 수인·분당선 압구정로데오역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역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서빙고역
  • 경강선 삼동역

5 각주

  1. ↑ 자신보다 작은 어떠한 숫자보다 약수가 많은 자연수
  2. ↑ 두 종류 이상의 변의 길이 같은 정다각형을 이용해 평면을 채우는 테셀레이션. 각 꼭짓점은 배열이 균일(homogenoeus)해야 한다.
  3. ↑ (3,12,12) 또는 (4,6,12)
  4. ↑ 순열군(Permutation Group)중 짝수 순열로 이루어진 군(Group)을 의미한다.
  5. ↑ 변으로 연결된 다섯 정사각형으로 구성된 도형
  6. ↑ 시계의 기본이 해시계였고, 해시계는 그림자가 시간에 따라 원을 그리며 위치를 옮겨가는 것을 기초로 설계되므로
  7. ↑ 동양의 12지지의 경우 천문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 역시 10개의 천간과 조합되어 60갑자, 즉 60진법을 이루게 된다.
  • 이 문서는 2021년 1월 20일 (수) 04: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