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344번째 줄: 344번째 줄:
**[[12월 10일]] : [[새마을호]]의 개집표 생략을 전국 모든 역에서 시행하며,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는 개표만 하고 집표는 생략함
**[[12월 10일]] : [[새마을호]]의 개집표 생략을 전국 모든 역에서 시행하며,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는 개표만 하고 집표는 생략함
*[[1994년]]
*[[1994년]]
**[[3월 15일]] : [[서울도시철도공사]] 창립.
**[[3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351번째 줄: 351번째 줄: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995년]]
*[[1995년]]
**[[4월 28일]] : [[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고|가스폭발사고]]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4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고|가스폭발사고]]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현 [[대구도시철도공사]])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996년]]
*[[1996년]]
363번째 줄: 363번째 줄: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11월 26일]] : [[대구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km 개통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km 개통
*[[1998년]]
*[[1998년]]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2016년 2월 10일 (수) 22:15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틀:날짜/출력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19.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40호

틀: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