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화웨이
华为技术有限公司
법인 정보
종류 다국적 기업
산업분야 정보통신
창립 런정페이
1988년
본사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 반톈가 화웨이 본사
핵심인물 런정페이, 쑨야팡 (회장)
멍완저우, 후허우쿤 (부회장)
매출액 751억달러 (2016년)
영업이익 68억 4천 2백만달러 (2016년)
순이익 53억 3천 5백만달러 (2016년)
자산총액 167억 3천 600만달러 (2016년)
종업원 87,502 (2008년)
웹사이트 www.huawei.com

화웨이 기술 유한 공사 중국어: 华为技术有限公司 Huáwei Jìshù Yǒuxiàn Gōngsī는 중국공산당과 관련된 회사로 1988년 중화시전자로 시작하여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및 통신 장비 공급업체이다. 광둥성 선전시 룽강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1]

1988년 런정페이(Ren Zhengfei)가 설립한 연구개발, 생산 그리고 통신 장비 마케팅에 특화된 첨단기술의 개인 기업이고, 통신 사업자를 위한 맞춤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2] 화웨이는 상위 50위의 통신 운영사들 중 35개 회사에 납품하고 매년 매출의 10%를 R&D에 투자한다.[3] 중국 선전, 상하이, 베이징, 난징, 시안, 청두 그리고 우한에 위치한 R&D센터와 더불어 스웨덴 스톡홀름, 미국 댈러스실리콘 밸리, 인도 방갈루루, 아일랜드 오팔리 Ferbane, 러시아 모스크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그리고 네덜란드 Wijchen에도 R&D 센터를 가지고 있다.

2015년부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애플 다음으로 3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4]

한국 시장에는 2014년 10월 2일, 화웨이 아너 6를 통신사 LG유플러스 전용폰 화웨이 X3라는 제품명으로 처음 진출했다.[5] 그 이후로 LG유플러스를 통해 화웨이 Y6, 넥서스 6P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공략을 시작했다. 그 후로도 H폰, Be Y폰과 Be Y패드 등을 내며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화웨이는 단기간에 급성장하여 2009년 이동통신 장비 산업에서 스웨덴의 에릭슨에 이어 세계 두 번째 회사가 되었고,[6] 2012년 에릭슨을 누르고 세계 최대의 통신장비 제조 회사가 되었다.

2018년 12월 1일에는 멍완저우 부회장이 캐나다에서 미국의 요청에 의해 이란에 대한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이에 중국이 반발했다.[7]

2020년 3월에 검색 엔진을 개발하는 중라는 뉴스가 나왔다. 테스트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시행하고 있다. 서비스 명은 화웨이 서치다.

유럽 스마트폰 판매량이 70% 하락했다. 유럽 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하락의 기미가 보이고 있다. 부진의 원인으로는 구글의 모바일 서비스(GMS) 공급 중단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자체적인 화웨이 모바일 서비스를 발표하고 구축에 들어간 상황이다.

화웨이의 부진에 반사이익삼성전자샤오미가 얻고 있다. 삼성은 브랜드의 최고급 제품인 플래그쉽(Flagship)을 내세워 시장 공략에 나섰고, 해외 시장에 집중한 샤오미도 스위스‧영국 등 서유럽에서 샤오미의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며 2019년 3분기 샤오미 서유럽 출하량이 2018년 3분기 대비 90.9%나 증가했다.

2020년 8월에 미중 무역분쟁으로 화웨이 반도체칩인 기린칩의 생산이 중단될 상황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9조원에 달하는 생산 계약이 어디로 갈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가 중국 제재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효과를 보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같은 달에는 자율주행 자동차 특허를 공개했다. 화웨이의 특허 신청 날짜는 2017년 4월과 6월이고 공개일은 2020년 8월이다.추가된 특허 목록은 ‘자동차 무인운전 방법과 단말 장치’, ‘스마트카 주행 방향 제어 방법과 장치’, ‘교통신호등 식별 방법, 시스템, 컴퓨팅 장치와 스마트카’이다.

2020년 9월에 BCS 2.0 업데이트를 시행했다. 2018년 처음 내보인 화웨이의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지만 그동안 방치 상태에 가까웠다. 이번 업데이트는 중국의 블록체인 육성 정책과 맞물린 행보로 보인다. 화웨이의 전략은 중국 블록체인 기업들을 BCS로 끌어들이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9월 15일 이후 발동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에 인텔AMD첫 무역 허가를 받았다. 한편, 해당 라이선스가 이번 규제와 상관이 없다는 이야기도 있다. 2019년에 무역 허가를 받은 라이선스의 연장선상이라는 것이다.

논란[편집 | 원본 편집]

LG유플러스에서 5G 망 구축을 위해 화웨이의 장비를 쓰고 있으나, 미국은 한국을 비롯한 여러 동맹국들에게 핵심 정보 유출이 우려된다며 화웨이 장비를 쓰지 말라고 하였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화웨이 장비가 미국의 중요한 (통신)시스템과 함께 쓰이게 된다면 우리는 해당 국가와 협력 관계를 맺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8]

천리팡 화웨이 부회장은 프랑스 잡지 Le Point 와의 인터뷰에서 자체 운영체제가 네트워크 스위치, 라우터, 데이터센터, 스마트폰에서 동작한다고 이야기 했다가[9] 2019년 7월 18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훙멍(鴻蒙) OS는 스마트폰용으로 개발된 것이 아닌 시스템 OS"라고 했으며, "스마트폰에 계속해서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10]

2020년 8월에 미국 국방부는 5G 청정 통신사를 발표했다. SKTKT가 포함됐지만 LG유플러스가 빠지면서 사실상 화웨이를 저격했다는 평이다. 미국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는 만든‘디지털 신뢰 표준’에 따라 작성됐다.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화웨이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