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플러스 Aniplus |
|
---|---|
법인 정보 | |
창립 | 2004년 7월 31일 |
이전회사 | C& 미디어 |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Three IFC 28층 |
핵심인물 | 전승택(대표) |
모회사 | ㈜제이제이미디어웍스 |
자회사 | 애니맥스 코리아[1]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애니플러스(Aniplus)는 대한민국의 서브컬처 전문 기업이다.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 운영을 메인으로 굿즈 온라인 판매, 애니플러스샵 운영 등을 부가적으로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편집 | 원본 편집]
2004년 C& 미디어가 설립한 생활경제 TV가 전신으로, C& 그룹의 해체 이후 제이제이미디어웍스에 인수되어 애니메이션 채널로 장르를 변경하였다.[2]
2009년에 방송 송출을 시작한 애니플러스는 어린이 중심 편성을 고수하던 기존 애니메이션 채널과 다르게 청소년이나 성인을 타겟으로 잡아 일본 심야 애니메이션을 수입하여 자막 삽입 후 송출하고 있다. 시즌이 끝난 후 라이선스가 풀리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한·일 동시방영을 적극 추진하여 많은 작품들을 현지 방영 후 수일 이내에 송출하고 있다.
한·일 동시 방영의 특성상 자막 상영이 원칙이며, 1~3일, 적어도 일주일 이내에 빠르게 대한민국 내에 방영 및 공급해야 하므로 한국어 더빙을 제작할 경우 성우 캐스팅 및 녹음 연습, 제반사항 준비 등 시간상의 여유도 없을 뿐더러, 경제적 타당성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불가피한 면이 있다. 그러나 2017년 케모노 프렌즈를 시작으로 적은 수이지만 점차 한국어 더빙 작품을 늘려 나가는 중이다.[3]
온라인 VOD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든 컨텐츠는 DRM 없는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타 OTT는 DRM이 걸려 있어서 다운로드한 기기만 볼 수 있는 것에 비해선 엄청난 장점. 고화질(1080p)은 어지간한 블루레이 뺨칠 정도의 화질을 보여주지만 고화질 도입 이후의 일반 화질(720p)은 품질이 하락했다. 자막을 별도 파일로 제공하지 않고 영상에 같이 인코딩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련 분야인 애니메이션 영화 수입도 진행하며 2012년 Fate/Zero를 시작으로 많은 심야 애니메이션 극장판을 수입했으며 러브라이브! The School Idol Movie에서 심야 애니메이션 최초 10만 관객 동원을 달성하는 등 기록을 쌓아가고 있다.
애니플러스 TV 채널은 개국 이후 10여년 간 낮이나 저녁 시간대는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심야나 새벽 시간대는 한·일 동시 방영작 위주로 편성되어 있었으나, 2020년대 이후 편성 기조가 바뀌어 낮이나 저녁 시간대는 한국 애니메이션, 유튜브로 공개되는 웹 애니메이션과 자사의 한국어 더빙작을 편성하며[4], 심야나 새벽 시간대는 한·일 동시 방영작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 WEB 애니플러스는 24시간 한·일 동시 방영작으로 편성되어 있다.
애니맥스 코리아 인수[편집 | 원본 편집]
2023년 6월 KC Global Media Entertainment 산하에 있던 애니맥스 코리아가 애니플러스 산하로 인수되었다.[1] 다만 같은 회사 산하로 인수되었어도 채널 합병은 하지 않는다. 사실상 로고 차이만 있을 뿐 같은 회사의 채널이니 애니플러스 채널 방영작도 애니맥스 코리아 채널에서 방송되고, 애니맥스 코리아 채널 방영작도 애니플러스 채널에서 방영되기도 한다.
굿즈 판매[편집 | 원본 편집]
자사 사이트를 통해 굿즈를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있다. 해외직구를 할 때 소요되는 관세와 배송료, 정신노동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매력적인 가격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직수입 뿐만 아니라 한국 라이센싱 생산 제품도 취급하고 있다.
또한 사보텐 스토어를 필두로 오프라인 굿즈 판매 시장이 어느 정도 개척되자, 2017년 4월 오프라인 판매에 뛰어들어 합정 교보문고에 애니플러스샵을 개점했다. 굿즈 판매, 카페를 겸하며 각종 서브컬쳐 행사를 열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각주
- ↑ 1.0 1.1 애니플러스/주요사항보고서(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양수결정)
- ↑ 애니플러스 ABOUT US
- ↑ 2024년까지 SPY×FAMILY(1기·2기), 그녀가 공작저로 간 사정, Free!, 괴수 8호, 나 혼자만 레벨업, 블루 록, 장송의 프리렌 등이 한국어로 더빙되었다.
- ↑ 특히 SPY×FAMILY의 비중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