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모바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G 모바일 광고 해프닝.jpg|섬네일|광고를 획기적인(?) 방법으로 하는 듯하다(...)]]
[[파일:LG 모바일 광고 해프닝.jpg|섬네일|광고를 획기적인(?) 방법으로 하는 듯하다(...)]]
'''LG 모바일'''(LG Mobile)은 [[LG전자]]에서 만드는 [[휴대전화]] 브랜드다. 이전에는 '''LG CYON'''(엘지 싸이언)이라는 명칭이었으나 {{날짜/출력|2011-3-2}}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LG 모바일'''(LG Mobile)은 [[LG전자]]에서 만드는 [[휴대전화]] 브랜드다. 이전에는 '''LG CYON'''(엘지 싸이언)이라는 명칭이었으나 {{날짜/출력|2011-3-2}}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2021년]] 1월부터 사업 철수 관련한 소문이 돌더니 3월 결국 '''매각''' 실패로 인해 철수로 방향을 잡은 모양. 이는 단순 스마트폰 기술뿐 아니라 제조 공장이나 사업부 등 모바일이라는 사업 자체를 매각하려 했는데 마땅한 인수자가 없어 불발했다.<ref>[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10321/106006083/1 LG 스마트폰사업본부 매각 차질… 철수 쪽으로 가닥 - 동아일보]</ref> 만약 철수가 아닌 유지나 축소로 결정하는 경우 작금의 상황은 좋지 않은 결과만 낼 뿐이므로<ref>스마트폰 보안 및 A/S 등 사후 안정성에 의구심이 드는 구매자들이 구매 철회를 하고 다른 스마트폰을 구매 할 수 있기 때문. 물론 이런 상황에서도 LG의 일부 스마트폰에서 3월 안드로이드 보안 업데이트가 실시되긴 했다. 그래도 장기적으로 볼 때는 불안하기 때문에 신규 구매자들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ref> 언론도 매각에 힘을 싣고 있는 중이다.
이에 따라서 "LG가 특허권만 남기고 모바일 관련 기술에 집중 투자하는게 아니겠느냐"는 의견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경우 [[노키아]]의 노선을 떠올릴 수 있는데 LG가 스마트폰과 연계하는 기술에 눈독 들이고 있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 제품 일람 ==
== 제품 일람 ==

2021년 3월 29일 (월) 10:25 판

광고를 획기적인(?) 방법으로 하는 듯하다(...)

LG 모바일(LG Mobile)은 LG전자에서 만드는 휴대전화 브랜드다. 이전에는 LG CYON(엘지 싸이언)이라는 명칭이었으나 틀:날짜/출력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2021년 1월부터 사업 철수 관련한 소문이 돌더니 3월 결국 매각 실패로 인해 철수로 방향을 잡은 모양. 이는 단순 스마트폰 기술뿐 아니라 제조 공장이나 사업부 등 모바일이라는 사업 자체를 매각하려 했는데 마땅한 인수자가 없어 불발했다.[1] 만약 철수가 아닌 유지나 축소로 결정하는 경우 작금의 상황은 좋지 않은 결과만 낼 뿐이므로[2] 언론도 매각에 힘을 싣고 있는 중이다.

이에 따라서 "LG가 특허권만 남기고 모바일 관련 기술에 집중 투자하는게 아니겠느냐"는 의견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경우 노키아의 노선을 떠올릴 수 있는데 LG가 스마트폰과 연계하는 기술에 눈독 들이고 있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제품 일람

여기서는 출시년도로 정렬되어 있다.

피처폰

2016년

  • Wine 3G LG-T390K KT 전용 모델이다.

2018년

  • LG Folder LM-Y110( )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2020년

  • LG Folder2 LM-Y120( )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Folder2S[3] LM-Y125( )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윈도우 모바일 탑재

SC8000 때 이외에 좋은 소리 들은 기기가 하나도 없다. 윈도우 모바일 폰 에디션을 써서 OS의 전화 기능을 활용하는 게 아니라, 폰 앱이 별도로 구동되는 형태라서 전화기같은 UI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긴 하지만, 통화 보조 앱 활용도 안 되고 무엇보다 8000 시절 이후로 앱이 그대로 개선되지 않고 넘어온 듯 하다는 평이 있다. 새로운 기기에 적당히 땜질[4]

안드로이드 탑재

2020년기준으로는 계속 나올 것 같았으나, 2021년 기준으로는 사업 철수 이슈가 붉어지고 있다.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 LG G6 LGM-G600
  • LG G6+ LGM-G600( )P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V30 LGM-V300
  • LG V30+ LGM-V300 ROM 용량만 달라서 그런지 V30과 같은 모델명이다
  • LG X300 LGM-K120
  • LG X400 LGM-K121
  • LG X401 LGM-X401
  • LG X500 LGM-X320
  • LG Q6 LGM-X600 준(準) 플래그쉽이라고 하면서 모델명은 X로 시작한다....
  • LG Q6+ LGM-X600()P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Q8 LGM-X800
  • LG 스마트폴더 LGM-X100S

2018년

  • LG G7 ThinQ LM-G710N
  • LG G7+ ThinQ LM-G710N
  • LG V30S ThinQ LGM-V300()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V30S+ ThinQ LGM-V300()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V35 ThinQ LM-V350N
  • LG V40 ThinQ LM-V409N
  • LG Q7 LM-Q720()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Q7+ LM-Q725()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Q7 BTS EDITION LM-Q727S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Q8(2018) LM-Q815()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X2(2018) LM-X210()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X4 LM-X410()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X4+ LM-X415()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 LG X5(2018) LM-X510() 괄호 안에는 이동통신사 구분 표시인 L/S/K가 들어간다.

2019년

2020년

같이 보기

각주

  1. LG 스마트폰사업본부 매각 차질… 철수 쪽으로 가닥 - 동아일보
  2. 스마트폰 보안 및 A/S 등 사후 안정성에 의구심이 드는 구매자들이 구매 철회를 하고 다른 스마트폰을 구매 할 수 있기 때문. 물론 이런 상황에서도 LG의 일부 스마트폰에서 3월 안드로이드 보안 업데이트가 실시되긴 했다. 그래도 장기적으로 볼 때는 불안하기 때문에 신규 구매자들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3. MVNO 전용 모델이다.
  4. 인사이트부터 폰 에디션에 해당하는 프로 버전을 써서 OS 내부의 전화 기능을 활용하게 된다. 그런데 발적화로 그 장점을 말아먹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