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대중교통망 정보
나라 대한민국
지역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옥천군, 금산군, 계룡시
종류 시내버스
웹사이트 버스운행정보, 대전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대전광역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버스이다.

운임[편집 | 원본 편집]

일반 버스 요금표 (2024년 1월 1일 기준)
구분 어른
(만 19세 이상)
청소년
(만 13세 ~ 18세)
어린이
(만 6세 ~ 12세)
교통카드 현금 (계좌이체) 교통카드 현금 (계좌이체) 교통카드 현금 (계좌이체)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1,500 1,700 750 900 350 400
유성구 마을버스 1,350 1,450 650 700 300 350

대전 이외의 지역으로 나갈 때 km당 60원의 시계외요금을 징수한다.

2022년 9월 1일부터 현금 승차를 완전히 중지했고 이후 계좌이체를 통한 요금 납부는 가능하다.

광역버스 운임[편집 | 원본 편집]

광역버스 요금표 (2024년 2월 29일 기준)
노선 구간 어른
(만 19세 이상)
청소년
(만 13세 ~ 18세)
어린이
(만 6세 ~ 12세)
1001, 1002 대전 이내 1,500 750 350
세종 이내 1,400 1,100 600
대전-세종 1,700 1,050 650
B1 대전 이내
세종 이내
2,000 1,100 700
대전-세종
세종-오송역
2,300 1,400 1,000
대전-오송역 2,600 1,700 1,300
B2, B4 세종 이내 1,400 1,100 600
세종-반석역
세종-오송역
1,700 1,300 800
반석역-오송역 2,000 1,600 1,000
1004, 1005 세종시 이내 1,400 1,100 600
세종-반석역 1,700 1,300 800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광역급행버스[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주요 구간 배차 간격 비고
M2101 경익운수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세종충남대병원 - 가락마을20단지 - 종촌초등학교 - 다정동커뮤니티센터 - 새롬동커뮤니티센터 - 한솔동(첫마을) - 대전광역시청 (미개통)

예정됐던 개통 시기가 지난지 오래됐다.

광역버스[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주요 구간 배차 간격 비고
1000 세종 세종교통 반석역 - 한국농어촌공사 - 새롬동.나성동 - 가재마을7단지 - 가락마을20,21단지 - 자이아파트 - 신안리마을회관 - 조형아파트 15분
1001 세종 동건운수, 세종교통 집현동 - 반곡동수루배 - 국책연구단지남측 - 법원, 검찰청, 경찰청 - 한국개발연구원 - 씨에이치씨랩 - 서한이다음1단지 - 송강마을마파트 - 롯데마트대덕점 - 현대아울렛 - 용산고등학교 - 테크노벨리12단지 - 테크노벨리6단지 - 대덕고등학교 - 국립중앙과학관입구, 신세계백화점 - 통계센터 - 둔산2동주민센터 - 대전시청 평일 13분, 토요일 17분, 일요일 17분
1002 대전승합 충대농대종점 - 충남대학교 - 노은농수산물시장 - 군수사령부 - 반석마을5단지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 - 국책연구단지남측 - 수루배마을6단지 - 새나루마을9,10단지 평일 21분, 토요일 22분, 일요일 22분
1004 세종 세종도시교통공사 반석역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첫마을5단지 - 다정동커뮤니티센터 - 범지기마을4단지 - 범지기마을10단지북측 - 가락마을17,18단지 - 가락마을10,13단지 - 고운동(만남로) - 대교리 - 장기중학교후문 20분
1005 세종 세종도시교통공사 반석역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새롬중학교(새뜸마을1단지) - 새뜸마을4단지(가온마을1단지) - 다정동커뮤니티센터 - 다빛초등학교(가재마을1단지) - 가락마을9,11단지 - 가락마을22단지 - 은하수공원 20분
B1 대전BRT 대전역동광장 - 대전역 - 한남오거리(BRT) - 오정농수산오거리 - 대덕산업단지 - 한국개발연구원(KDI)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 - 세종터미널 - 한솔동 - 정부세종청사남측 - 세종충남대병원 - 누리리 - 오송역 평일 11분, 토요일 15분, 일요일 16분 2층 전기저상버스 운행
B2 세종 세종도시교통공사 반석역 - 세종터미널 - 다정동 - 정부세종청사남측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해밀리 - 누리리 - 오송역 평일 10분, 토요일 15분, 일요일 15분
B4 세종 세종도시교통공사 반석역 - 세종터미널 - 대평동 - 보람동.대평동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 - 소담동 - 법원,검찰청,경찰청 - 국책연구단지 - 반곡동(수루배마을) - 집현동 - 산학연클러스터 - 다솜동 - 오송역 40분

대전에서 운영되는 광역버스에는 BRT광역급행버스(미개통), 일반 광역버스가 있다.

BRT와 노선은 비슷하면서 자율 주행 버스도 시범 운행 중에 있다. 현재는 세종 버스 A2청주 버스 A3 정도로 있다.

  • 대전 버스 B1: 좌석버스인데 출퇴근 시간에는 거의 입석으로 가득찰 정도로 흑자노선이다. 거기에 2층 버스도 투입된다. B1 개통을 위해 오정동 ~ 대전역 구간이 중앙버스 차로로 바뀌었다.
  • 세종 버스 1000 : 홍익대학교에서 서대전에 위치한 반석역까지 달리는 버스이다. 중간에 세종시를 들리는 것은 물론 고려대세종캠퍼스 및 조치원역도 들리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대전으로 오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반석역은 지하철 첫 스타트를 끊는 종점역으로 지하철을 타고 목적지까지 편하게 갈 수도 있다. 단, 배차 간격이 영 좋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을 잘 살피자.
  • 세종, 대전 버스 1001
  • 대전 버스 1002 : 세종국책연구단지부터 세종시청을 지나 충대농대 근처까지 달리는 버스이다. 간단히 말하면, "세종시청 ↔ 충남대학교" 라고 보면 된다. 반석역을 지나치기 때문에 중간에 내려서 지하철을 타고 목적지로 이동이 가능하다. 영 좋지 못한 배차 간격은 둘째치고 배차 대수는 조금 더 많은 편이다.
  • 세종 버스 1003 : 서세종의 장군면부터 서대전의 반석역까지 달리는 버스이다. 서세종을 훑고 가기 때문에 굳이 반석역까지 오지 않고 서세종에서 왔다 갔다 하는 식으로도 이용이 이루어지는 모양. 배차 대수가 조금 더 있는 것이 특징.
  • 세종 버스 1004
  • 세종 버스 1005

급행버스[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주요 구간 배차 간격 비고
급행1 경익운수 원내동공영차고지 - 원내동 - 신선마을아파트 - 가수원육교 - 도마삼거리 - 서대전역네거리 - 중구청 - 대전역 - 신안동 평일 8분, 토요일 9분, 일요일 10분
급행2 협진운수 봉산동기점 - 송강전통시장 - 효성신탄진공장 - 신탄진역 - 신대주공아파트 - 대전지방국세청 - 중리동 -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역 평일 8분, 토요일 9분, 일요일 10분
급행3 경익운수 원내동공영차고지 - 구봉마을5단지 - 건양대병원네거리 - 린풀하우스 - 원신흥동 - 대전일보사 - 갈마육교 - 은하수네거리 - 정부청사광장 평일 10분, 토요일 14분, 일요일 14분
급행4 협진운수 낭월동공영차고지 - 석천들마을아파트 - e편한세상아파트 - 오투그란데아파트 - 석교동행정복지센터 - 한밭종합운동장 - 대전역 - 대전복합터미널 - 한신휴플러스 - 비래동종점 평일 10분, 토요일 14분, 일요일 14분

급행2번은 신탄진과 중리동, 법동, 복합터미널을 빠르게 연결하는 노선이다. 대전역에서 대전복합터미널까지도 연결된다. 중앙의 도심과 거리가 먼 신탄진동, 석봉동에서 읍내동까지는 정류장 간 거리가 매우 긴게 특징이다.

급행3번은 원내동, 관저동, 도안지구의 주택단지를 거쳐 둔산권과 신세계백화점 DCC(대전컨벤션센터)를 잇는다.

2024년 5월 10일부터는 급행2번에서 급행4번을 분리하고 급행2번은 단축된다. 낭월동과 대전역, 한밭종합운동장, 대전복합터미널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권역별 버스[편집 | 원본 편집]

간선, 지선, 외곽버스를 포함하는 목록입니다. 권역은 예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1권역 - 대전 유성구[편집 | 원본 편집]

유성구, 충남대 일대의 서북부 권역을 담당한다.

노선 번호 운행업체 주요 구간 배차 간격 비고
101 국민버스, 금남교통 안산동 - 국방과학연구소입구 - 지족역 - 월드컵경기장 - 한진오피스텔 - 갈마네거리 - 롯데백화점 - 대전충남병무청 - 대성여자고등학교 평일 20분, 토요일 22분, 일요일 25분
102 계룡버스 수통골기점지 - 삼성화재연수원 - 천양원 - 충남대학교 - 샘머리공원 - 한남병원 - 복합터미널 - 우송대학교서캠퍼스 - 대전역/역전시장 - 대전역동광장 평일 5~7분, 토요일 10분, 일요일 10분 토요일, 공휴일 현충원 경유
103 대전운수 수통골기점지 - 삼성화재연수원 - 유성시외버스정류소 - 대전일보사 - 한민시장 - 서대전네거리역4번출구 - 이스트시티아파트 - 가양네거리 - 동춘당 평일 13분, 토요일 14분, 일요일 14분
104 한일버스 수통골기점지 - 한밭대 - 삼성화재연수원 - 현충원역 - 유성초네거리 - 충남대학교 - 유성구청 - 카이스트 - 국립중앙과학관 - 무궁화아파트 - 갈마역 - 대전광역시청 - 탄방역종점 평일 13분, 토요일 14분, 일요일 14분
105 협진운수, 동건운수 충대농대 - 궁동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1번출구 - 대전일보사 - 갈마육교 - 유승기업사 - 탄방역.대전고용센터 - 탄방동주민센터 - 가람아파트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 한남대학교 - 복합터미널 - 명석고등학교 - 삼호아파트 평일 9분, 토요일 11분, 일요일 11분
106 금남교통 목원대학교 - 상대네거리 - 도안센트럴시티 - 유성온천역2번출구 - 충남대학교 - 홈플러스유성점 - 월평역 - 누리아파트 - 갈마역 - 갤러리아타임월드 - 시청역 - 중촌동주민센터 - 홍도지하차도 - 동부네거리 - 대전보건대학 - 명석고등학교 - 비래동종점 평일 11분, 토요일 13분, 일요일 13분
107 대전승합 대전역동광장종점 - 중앙로역9번출구 - 선화동천주교회 - 목동네거리 - 오룡역5번출구 - 용문역5번출구 - 서부농협본점 - 갈마육교 - 대전일보사 - 만년교 - 구암역 - 덕명네거리 - 갑동 - 사봉 - 학봉리 - 동학사 평일 21분, 토요일 20분, 일요일 20분
108 동인여객 충대농대종점 - 충남대도서관 - 홈플러스유성점 - 월평역 - 정부대전청사남문 - 법원,검찰청 - 남선공원네거리 - 중촌동주민센터 - 대고오거리 - 보문오거리 - 석교동행정복지센터 - 옥계교 - 산내주공아파트 - 산내초등학교 - 낭월공영차고지 평일 12분, 토요일 13분, 일요일 13분
113 계룡버스 서남부터미널 - 도마1동행정복지센터 - 구농도원 - 변동네거리 - 한민시장 - 괴정네거리 - 둔산소방서 - 갈마초등학교 - 월평역 - 유림공원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5번출구 - 구암역 - 현충원역3번출구 - 덕명네거리 - 한밭대학교 - 수통골입구 - 미학아파트 - 학하동종점 평일 22분, 토요일 25분, 일요일 25분
114 경익운수 원내동공영차고지 - 진잠네거리 - 구봉마을9단지 - 느리울13단지 - 대자연마을 - 동방고등학교 - 옥녀봉네거리 - 원신흥동 - 봉명중학교 - 유성온천역2번출구 - 충남대학교 - 죽동네거리 - 월드컵경기장역 - 열매마을5,6단지 - 반석고등학교 - 꿈에그린아파트 - 새미래중학교 - 노은휴먼시아4단지 평일 18분, 토요일 27분, 일요일 27분
115 산호교통 윗사정삼거리 - 오월드 - 상당 - 사정동 - 산성네거리 - 산성시장 - 도마삼거리 - 정림동 - 가수원파출소 - 린풀하우스 - 옥녀봉체육공원 - 목원대네거리 - 도안고등학교 - 도안센트럴시티 - 유성온천역2번출구 - 충남대학교 - 한빛아파트 - 충대농대종점 평일 15분, 토요일 18분, 일요일 18분
116 계룡버스 안산동 - 안산산성 - 외삼1통 - 반석역 - 송림마을4단지 - 송림마을2단지 - 노은역 - 월드컵경기장역 - 죽동네거리 - 장대네거리 - 구암역 - 봉명네거리 - 유성온천역4번출구 - 대전교통공사 - 갈마네거리 - 은하수네거리 - 선사유적지 - 월평주공아파트 평일 24분, 토요일 32분, 일요일 32분
117 협진운수 충대농대종점 - 궁동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5번출구 - 유성고속터미널 - 장대네거리 - 충대서문 - 하기동 - 송림마을2단지 - 지족초등학교 - 노은역 - 월드컵경기장역 - 삼성화재연수원 - 한밭대학교 - 수통골입구 - 미학아파트 - 학의뜰아파트 평일 20분, 토요일 32분, 일요일 32분
119 대전버스 안산동 - 안산산성 - 외삼1통 - 반석마을5단지 - 지족역 - 유성선병원 - 죽동네거리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1번출구 - 대전교통공사 - 갈마네거리 - 갈마도서관 - 서우아파트1단지 - 내동초등학교 - 변동네거리 - 구농도원 - 도마1동행정복지센터 - 도마시장 - 버드내네거리 - 서대전역네거리 - 서대전네거리역2번출구 - 테미고개 - 보문오거리 - 남대전고등학교 평일 16분, 토요일 18분, 일요일 20분
121 협진운수 탑립동 - 탑립육교 - 대덕특구체육공원 - 전미동주민센터 - 엑스포아파트 - 해링턴아파트 - 싸이언스빌3가 - 원총동솔로몬로파크 - 대전컨벤션센터 - 신세계백화점 - 국립중앙과학관 - 카이스트 - 한빛아파트 - 유성구청 - 궁동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5번출구 - 구암역 - 월드컵경기장역 - 지족초등학교 - 송림마을4단지 - KT&G연구소 - 한화솔루션중앙연구소 - 한국연구재단 - 대덕대학 평일 22분, 토요일 33분, 일요일 33분
11 경익운수 용계2통 - 용계동 - 법원등기국 - 흥도초등학교 - 상대네거리 - 트리풀시티9단지 - 유성온천역2번출구 - 유성시장 - 현충원역3번출구 - 운암네오미아/신협연수원 - 한밭대학교 - 수통골기점지 평균 120분

2권역 - 대전 서남부, 계룡 방면[편집 | 원본 편집]

계룡시와 서남부 대전 일대를 담당한다.

  • 20
  • 201
  • 202
  • 203
  • 21
  • 211
  • 212
  • 213
  • 216
  • 22
  • 23
  • 24
  • 25
  • 26
  • 27

3권역 - 대전 남부[편집 | 원본 편집]

대전 남부권을 담당한다.

  • 30
  • 301
  • 31
  • 311
  • 312
  • 313
  • 314
  • 315
  • 316
  • 317
  • 318
  • 32
  • 33-1
  • 33-2
  • 34

4권역 - 계룡 방면[편집 | 원본 편집]

서남부 외곽을 담당한다. 외곽버스만 편성되어있다. 43, 45, 47, 47-1, 48은 권역상 4권역은 맞으나 계룡시로 인수되었다. #계룡시 시내버스 문단 참고

  • 41
  • 42
  • 46

5권역 - 동남부, 옥천군 방면[편집 | 원본 편집]

옥천군과 대전의 동남부를 담당한다.

  • 501
  • 511
  • 512
  • 513
  • 514
  • 52

6권역 - 대덕 남부, 동구 동부[편집 | 원본 편집]

대덕구 남부 ~ 동구의 동부권을 담당한다.

  • 60
  • 601
  • 602
  • 603
  • 604
  • 605
  • 606
  • 607
  • 608
  • 61-1
  • 61-2
  • 611
  • 612
  • 613
  • 614
  • 615
  • 616
  • 617
  • 618
  • 619
  • 62
  • 620
  • 622
  • 63
  • 66

7~8권역 - 대전 북부, 세종 방면[편집 | 원본 편집]

대전 북부 신탄진 일대의 수요에 대응한다.

  • 701
  • 703
  • 704
  • 705
  • 706
  • 71-1
  • 71-2
  • 711
  • 712
  • 72-1
  • 72-2
  • 73
  • 74
  • 75
  • 802

9권역 - 도심[편집 | 원본 편집]

도심권의 지선버스로만 편성되어있다.

  • 911
  • 912
  • 916
  • 918

맞춤버스[편집 | 원본 편집]

특구1번은 무선충전버스 시범 사업이 끝나고 KAIST 학생들의 투표로 노선이 변경되는데 2개의 안 둘다 반응이 좋지 않아 변경이 일단 연기되었다.

노선 번호 운행업체 주요 구간 배차 간격 비고
특구1 대전운수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스마트시티5단지 - 보건환경연구원 - 월평역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5번출구 - 구암역 - 충남대학교 - 궁동 - 유성구청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40분 무선충전버스, 시범 사업 종료됐으나 계속 운행 중, 노선 변경 계획 중
첨단1 동건운수 탑립동 → 푸르지오하임1,2단지 → 중일고 → [관평중(순환) → 롯데마트 → 한마을아파트 → 송강전통시장 → 한들교 → 미건테크노월드 → 조폐공사ID본부 → 대청ENG → 푸르지오하임1,2단지 → 중일고 → 관평중(순환)] → 롯데마트 → 한마을아파트 → 송강전통시장 → 한들교 → 미건테크노월드 → 조폐공사ID본부 → 대청ENG → 탑립동 40분 중형버스 운행
첨단2 대전승합 신구교 - 송강전통시장 - 송강중학교 - 구룡 - 둔곡동 - 국제과학21로 - 둔곡동 - 국제과학9로 - 씨에이치씨랩 - 신동 - 씨에이치씨랩 - 구룡 - 송강중학교 - 송강전통시장 - 신구교 24분 중형버스 운행

마을버스[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주요 구간 배차 간격 비고
마을1 유성마을버스 충대농대종점 - 궁동 - 유성초네거리 - 신성동주민센터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엑스포아파트 - 선비마을 - 테크노밸리5단지 - 청벽산공원 30분
마을3 유성마을버스 군인아파트 - 자운상가 - 국군대전병원 - 유성구노인복지관 - 유성시장 - 구암동 - 학하동종점 - 밀머리네거리 - 한승미메이드아파트 -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 한아름아파트 평일 35분, 토요일 35분, 일요일 40분
마을5 유성마을버스 봉산동 - 구즉초등학교 - 그린아파트 - 전자디자인고 - 공동관리아파트 - 대전지방기상청 - 궁동 - 봉명네거리 - 유성중학교 - 목련아파트 평일 25분, 토요일 25분, 일요일 40분


근교 지역 간 버스[편집 | 원본 편집]

대전-세종[편집 | 원본 편집]

  • B2, B4, B1
  • 655: 세종시 첫마을 3단지부터 충남대학교까지 달리는 버스이다. 배차간격이 30분이며 차량 대수는 조금 있는 편이다. 지하철역인 반석역과 지족역을 지나쳐간다. 더불어 월드컵경기장도 지나친다. 단, 현충원역으로는 가지 않기 때문에 현충원을 방문하고자 한다면 주의.

대전-청주[편집 | 원본 편집]

  • 407번 문서로.

대전-옥천[편집 | 원본 편집]

  • 607 대전/옥천

옥천군과 대전시에서 공동 운영한다. 대전시와 같은 정책으로 운행하며 대전과 마찬가지로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대전 동부와 삼성동, 대전역을 이어주며 판암옥천읍을 잇는 노선이다. 대전복합터미널에서 대전역까지 구간은 빙빙 돌기 때문에 대전역에서 탑승하거나 동남부에서 출발한다면 판암역에서 출발하는게 좋다. 대전 차적의 버스는 파란색 도색이고 옥천군 차적의 버스는 옥천 버스 자체 도색이다. 충청권 광역철도 오정 ~ 옥천 지선이 개통되면 607의 수요를 일부 가져갈 수 있다.

대전-금산[편집 | 원본 편집]

대전-계룡[편집 | 원본 편집]

  • 41
  • 42
  • 43
  • 45
  • 46
  • 47: 계룡시의 농소리부터 대전시의 건양대학교 부근까지 달리는 버스. 계룡시청과 건양대학교를 왕복하는 버스라고 보면 된다. 배차간격이 3시간이라는 (??!) 미친 간격이다.. 45번을 타거나 계룡시청으로 도착한 다음 2002번을 타는 게 훨씬 낫다.
  • 48 (좌석): 충대농대에서 출발하여 유성온천역, 현충원역을 통과하고 공주를 살짝 걸쳐, 계룡으로 들어간다. 계룡시에서는 계룡대신도안면행정복지센터, 엄사리 시내와 계룡시청, 계룡역을 경유한다. 계룡시 시가지 구석구석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5분이다.
  • 2002 (급행좌석): 계룡시내를 통과하여 대전 남부를 거쳐 대전역까지 가는 급행좌석버스이다. 대전의 202번과 노선이 거의 같으며 202번의 급행 버전으로 일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 배차간격은 14분으로 대전 시내의 시내버스들과 비슷하다. 그 외 계룡시 버스들은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

대전-공주[편집 | 원본 편집]

  • 300
    • 300번으로 충남대에서 출발, 현충원역을 경유하여 공주 시내로 들어간다. 소요시간은 50분 정도로 시외버스와 같은 시간이 걸리면서 교통비도 더 싸기 때문에 300번을 타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300번은 오후 8시에 차가 끊기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유성구에서 타면 1시간 정도 걸리고 타지에서 타면 시내버스로 2시간이나 걸릴 수도 있다. 타지에선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광역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