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민족주의

Unter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0월 18일 (일) 03:14 판

틀:학술

개요

자원에 대한 주권 주장과 그에 대한 민족적인 이익을 확보하려는 정책. 이 자원민족주의의 시초라 할 수 있는 것은 1973년 제4차 중동전쟁에서 아랍의 각국이 석유자원을 경제적인 무기로 내세워서 국제사회에서의 발언권을 크게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이 아랍국가들의 석유의 무기화는 석유수출국기구로까지 연결된다. 주로 공업발달은 더디지만 자원이 풍부한 개발도상국이 이런 정책을 잘 펼치지만, 선진국이나 강대국이라고 하여서 이걸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국제정치학 이론 중에는 역시 현실주의적 설명에 잘 들어맞는다고 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것들

  • 석유 : 가장 대표적인 경우이며, 사실상 이 분야의 시초.
  • 천연가스 : 일명 잠가라 밸브 스킬 시전으로 러시아가 서유럽을 압박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 희토류 : 2007~2008년 무렵 중국미국일본을 압박할 때 이 희토류 자원의 수출 통제를 하였었다.
  • 식량자원 : 사람이 먹지 않고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체로 동남아시아와 같이 식량자원이 풍부한 나라가 가능성이 있지만, 오히려 미국의 카길이나 몬산토같은 경우 터미네이터 종자를 통해 종자 자체를 무기화 하기도 한다.
  • 경제수역 : 배타적 경제수역의 설정을 통한 어족자원의 통제. 이건 주로 한일간의 어업관계에서 나타난다. 대화퇴 어장의 쿼터 확보와, 독도 문제 등이 여기에 걸리며, 이외에 이어도 문제 역시 이 범주에 들어간다 할 수 있다. 이외에 한일간의 석유 공동탐사구역에서 일본이 한국을 배제하는 등의 모습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