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스스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으로 참칭하는 '''북한'''(北韓, North Korea)는...)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obile edit
4번째 줄: 4번째 줄:


== 종교 ==
== 종교 ==
평양은 한때 '조선의 [[예루살렘]]'으로 불릴 정도로 [[개신교]] 세력이 강했던 곳이나 분단 이후 그딴 거 없어졌다. 그리고 1960년대까지 북한에서, 관제야당인 [[천도교청우당]]의 [[천도교]]를 제외한 종교는 탄압되었다. 1980년대 들어 국제 사회에 종교에 대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기 위해 각종 종교 시설 및 신자 단체를 설립하였고 1992년에는 헌법에 '종교의 자유'를 명시했다. 물론 이는 퍼포먼스로, 실질적으로 북한 주민이 종교 생활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평양은 한때 '조선의 [[예루살렘]]'으로 불릴 정도로 [[개신교]] 세력이 강했던 곳이나 분단 이후 [[그런 거 없다|그딴 거 없어졌다.]] 그리고 1960년대까지 북한에서, 관제야당인 [[천도교청우당]]의 [[천도교]]를 제외한 [[종교]]는 탄압되었다. 1980년대 들어 국제 사회에 종교에 대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기 위해 각종 종교 시설 및 신자 단체를 설립하였고 1992년에는 헌법에 '종교의 자유'를 명시했다. 물론 이는 퍼포먼스로, 실질적으로 북한 주민이 종교 생활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가톨릭]]의 경우 전화로 성당 시설이 모두 파괴되었다. 1988년 평양시 선교구역 장충동에 장충성당이 설립되었고 이듬해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문규현 신부가 방북하여 미사를 집전하였다. 그러나 북한에는 사제가 아예 없기 때문에 미사는 커녕 [[성체성사]]와 [[고해성사]] 집전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가톨릭 신앙 생활은 불가능하다.
[[가톨릭]]의 경우 전화로 성당 시설이 모두 파괴되었다. 1988년 평양시 선교구역 장충동에 장충성당이 설립되었고 이듬해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문규현 신부가 방북하여 미사를 집전하였다. 그러나 북한에는 사제가 아예 없기 때문에 미사는 커녕 [[성체성사]]와 [[고해성사]] 집전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가톨릭 신앙 생활은 불가능하다.


[[분류:북한]]
[[분류:북한]]

2015년 4월 18일 (토) 10:56 판

스스로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으로 참칭하는 북한(北韓, North Korea)는 한반도 북부에 자리잡은 국가이다. 대한민국은 이 단체를 나라로 인정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수도는 평양직할시이다.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의 치열한 권력 투쟁과 숙청으로 인해 오늘날 북한은 1인 독재 국가로 탈바꿈했다. 본래 사회주의 국가로 건설되었으나 2000년대 들어 사회주의는 내패겨치고 주체사상 선군정치를 내세웠다.

종교

평양은 한때 '조선의 예루살렘'으로 불릴 정도로 개신교 세력이 강했던 곳이나 분단 이후 그딴 거 없어졌다. 그리고 1960년대까지 북한에서, 관제야당인 천도교청우당천도교를 제외한 종교는 탄압되었다. 1980년대 들어 국제 사회에 종교에 대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기 위해 각종 종교 시설 및 신자 단체를 설립하였고 1992년에는 헌법에 '종교의 자유'를 명시했다. 물론 이는 퍼포먼스로, 실질적으로 북한 주민이 종교 생활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가톨릭의 경우 전화로 성당 시설이 모두 파괴되었다. 1988년 평양시 선교구역 장충동에 장충성당이 설립되었고 이듬해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소속 문규현 신부가 방북하여 미사를 집전하였다. 그러나 북한에는 사제가 아예 없기 때문에 미사는 커녕 성체성사고해성사 집전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가톨릭 신앙 생활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