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묘앞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내용 추가 및 수정)
(Hyth (토론)의 12032판 편집을 되돌림)
68번째 줄: 68번째 줄:
* 1호선 동묘앞역은 다른 종로선 구간에 비해 최근에 지어진 덕에 깨끗하며 승강장 자체도 넓은 편이다. 이렇게 넓은 이유는 애당초 종로선 지을 당시 5호선 복복선 대비 부지가 있었기 때문에 이 부지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ㅊ|그렇게 1호선 전구간 완급결합은 더욱 가망이 없어졌다. 안습}}
* 1호선 동묘앞역은 다른 종로선 구간에 비해 최근에 지어진 덕에 깨끗하며 승강장 자체도 넓은 편이다. 이렇게 넓은 이유는 애당초 종로선 지을 당시 5호선 복복선 대비 부지가 있었기 때문에 이 부지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ㅊ|그렇게 1호선 전구간 완급결합은 더욱 가망이 없어졌다. 안습}}


* 1호선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는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 할 시 동묘앞역에서 종착하고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을 통해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한다.<ref>동묘앞역 개업 전까지는 동대문역 종착이었다.</ref> 이 때문에 동묘앞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를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을 쌩까고(...) [[성수지선]]을 통해 [[성수역]]까지 직결운행하자는 제안도 있었으나, [[용두역]]의 승강장이 4량대응으로 지어졌고(다른 성수지선 역은 4량보단 길다) 그 외 여러 사정상 실현되지 못했다.
* 1호선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는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 할 시 동묘앞 역에서 종착하고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을 통해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한다.<ref>동묘앞역 개업 전까지는 동대문역 종착이었다</ref> 이 때문에 해당 열차를 동묘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를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을 쌩까고(...) [[성수지선]]을 통해 [[성수역]]까지 직결운행하자는 제안도 있었으나, 성수지선의 승강장이 4량대응인지라(...) 불가능하다.
== 참조 ==
== 참조 ==
<references/>
<references/>

2015년 4월 21일 (화) 09:58 판

東廟앞驛 / Dongmyo Station

동묘옆역
동묘앞 / 東廟앞 / Dongmyo
서울 지하철 1호선
역번 127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 359
(舊 숭인동 117번지)
개업일 2005년 12월 21일
운영기관 서울메트로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colspan="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636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 24
(舊 숭인동 313번지)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2000년 12월 15일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서울도시철도공사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섬식 승강장
수도권 전철 1호선(종로선)
신설동
0.7km
동묘앞 동대문
0.6km
colspan="3"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 당
0.6km
동묘앞 창 신
0.9km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일원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 4호선환승역.

역명은 이 역 바로 옆에 위치한 동관왕묘(관우 장군 신앙)가 위치해 있어 역명을 따왔으며, 도로 표지판 등에서는 동묘역 등으로 표기한다. 대체 '앞'은 왜 붙인 거야?

연혁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할 당시에는 없었던 역이다.

1990년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착공할 당시, 6호선의 동묘앞역은 동대문역과 환승통로를 뚫어 동대문역으로 만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럴 경우 1-6호선 환승은 300m, 4-6호선 환승은 600m(!!!)라는 초 막장환승역이 될 것이 뻔했고, 2000년 6호선 개통 직전에 "6호선 동대문역"은 "동묘앞역"이라는 다른 역이 되었고, 대신 서울 지하철 1호선에 동묘앞역을 신설하기로 결정, 2005년 1호선 동묘앞역이 개업했다.

특징

  • 동묘앞역이 완공되기 전만 하더라도 1호선과 6호선의 환승역은 석계역 하나밖에 없었다(...) 남영역삼각지역이 거리가 떨어져 있는 탓에 남영역이 이설되지 않는 한 이 쪽은 연결될 계획이 없기 때문에...대신 4호선과의 환승은 여전히 어렵다(...)
  • 1호선 동묘앞역은 다른 종로선 구간에 비해 최근에 지어진 덕에 깨끗하며 승강장 자체도 넓은 편이다. 이렇게 넓은 이유는 애당초 종로선 지을 당시 5호선 복복선 대비 부지가 있었기 때문에 이 부지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1호선 전구간 완급결합은 더욱 가망이 없어졌다. 안습
  • 1호선 서울메트로 소속 전동차는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 할 시 동묘앞 역에서 종착하고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을 통해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한다.[1] 이 때문에 해당 열차를 동묘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를 신설동역 유령승강장을 쌩까고(...) 성수지선을 통해 성수역까지 직결운행하자는 제안도 있었으나, 성수지선의 승강장이 4량대응인지라(...) 불가능하다.

참조

  1. 동묘앞역 개업 전까지는 동대문역 종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