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한국철도공사(KORAIL) += 한국철도공사))
편집 요약 없음
135번째 줄: 135번째 줄:
[[분류:부산 북구의 철도역]]
[[분류:부산 북구의 철도역]]
[[분류:구포관리역]]
[[분류:구포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5.20535169448616|128.9970338344574|11|구포역}}

2021년 3월 26일 (금) 09:55 판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HUmetro)

龜浦驛 / Gupo Station

개요

역사

2005년 11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 함께 영업 개시

역 구조

한국철도공사

[[파일:Busan Gupo train station.jpg|336px|alt=]]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82
노선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구포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4선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82에 위치하는 철도역이자, 휘하에 원동역, 물금역, 화명역, 사상역을 관리하는 관리역이다. 구포역을 나가 5분 정도 걸으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이 있다.

부산 북부지역의 접근성이 괜찮다. 부산역이 부산광역시 남쪽에 치우쳐져 있는 관계로[1] 북부지역에서 부산역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1시간 가량 소모되는 큰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 또한 부산과 인접한 김해시 등지에서 접근성이 좋아 철도수요가 탄탄한 역에 속한다.

KTX 시각표가 개정되는 와중에도 꿋꿋하게 구포역 경유 편성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도 구포역의 배후수요가 높기 때문이다. 간접적인 비교대상으로 서울역용산역에서 출발하는 일반열차들이 모두 영등포역에 정차하여 서울 남부권 및 넓게는 인천, 부천 등지의 수도권 서부의 철도수요를 흡수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또한 수원역 경유 KTX 일부 편성이 영등포역에 정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영등포역의 KTX 수요는 미미한 수준이기에 비교대상은 아니다.[2] 다만 코레일에서 시각표를 개정할 때마다, 구포역을 경유하는 KTX의 편성수가 줄어드는 추세이다.

부산 3호선

[[파일:GC042P23273.jpg|336px|alt=]]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 1697
(구포동 1154-1번지)
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 14.6 km
관할 부산교통공사
제3운영사업소 체육공원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2면 2선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 1697(舊 구포동 1154-1번지)에 위치한 지상역이다.

3호선 구포역에서 육교를 통해 경부선 구포역 앞 광장으로 갈 수 있다. 낙동강이 역 서쪽에 흐른다.

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 구포역 광장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화명 3.4 km
구포 부산 방면
사상 5.1 km

경유 열차

여객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KTX/경부선/구포경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ITX-새마을/경부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서울-부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대전-부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S-Train 경전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부산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 방면
 313  덕천
 314  구포 대저 방면
 315  강서구청

각주

  1. 부전역에 경부고속선 정차역을 신설하는 계획이 있지만, 부산시의 재정난으로 인해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 경부고속선 금정터널 건설 당시 부전역 부본선을 같이 만들어 놓았다.
  2. 다만 수원경유 KTX의 영등포역 정차는 수요나 접근성 면보단 운전취급상의 난점이 더 큰 이유이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구포역 (한국철도공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