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애니메이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교육'이라는 것이 어린아이들에게 어울리는 듯한 단어여서 그런지 학습 애니메이션은 [[아동용 애니메이션]] 혹은 [[유아용 애니메이션]]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런 점 때문인지 에피소드 내용 반 학습 내용 반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아동용 혹은 유아용 애니메이션에서는 에피소드 내에서 사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사회성 기르기나 어른 말 잘듣게 하기 등을 가르치기도 한다.  
'교육'이라는 것이 어린아이들에게 어울리는 듯한 단어여서 그런지 학습 애니메이션은 [[아동용 애니메이션]] 혹은 [[유아용 애니메이션]]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런 점 때문인지 에피소드 내용 반 학습 내용 반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아동용 혹은 유아용 애니메이션에서는 에피소드 내에서 사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사회성 기르기나 어른 말 잘듣게 하기 등을 가르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지만 똑같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인 [[치로와 친구들]]에서는 '치로'가 꿈에서 야채 먹으라는 부모 말 안 듣고 과자만 먹다가 돼지병아리가 되어서 깨고,{{ㅈ|웃길라고 쓴 게 아니라 작중에서도 실제로 돼지병아리라고 불린다.}} 돼지병아리가 되지 않기 위해 야채를 열심히 먹는 내용 등이 있다. 반대로 [[유후와 친구들]]처럼 학습 내용이 초반에만 세계 자연환경이 어떤지 아주 조금만 알려주고 본편은 아예 학습이 아니라 평범한 아동용 애니메이션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지만 똑같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인 [[치로와 친구들]]에서는 '치로'가 꿈에서 야채 먹으라는 부모 말 안 듣고 과자만 먹다가 돼지병아리가 되어서 깨고,{{ㅈ|웃길라고 쓴 게 아니라 작중에서도 실제로 돼지병아리라고 불린다.}} 돼지병아리가 되지 않기 위해 야채를 열심히 먹는 내용 등이 있다. 반대로 [[유후와 친구들]]처럼 학습 내용이 초반에만 세계 자연환경이 어떤지 아주 조금만 알려주고 본편은 아예 학습이 아니라 평범한 아동용 애니메이션인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학습과 재미의 비중을 반반 정도로 만든 것을 "[[에듀테인먼트]]" 라고 부른다.


일부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원래 일상물 등 다른 장르의 애니였는데 [[스핀오프]]로 학습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도 한다. 특히 인기를 강하게 끈 애니메이션의 경우 그렇다. [[뽀롱뽀롱 뽀로로]]에서 '뽀로로 잉글리시쇼'가 나오고, [[토마스와 친구들]]에서 'Learn with Thomas'가 나온 것과 같다.
일부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원래 일상물 등 다른 장르의 애니였는데 [[스핀오프]]로 학습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도 한다. 특히 인기를 강하게 끈 애니메이션의 경우 그렇다. [[뽀롱뽀롱 뽀로로]]에서 '뽀로로 잉글리시쇼'가 나오고, [[토마스와 친구들]]에서 'Learn with Thomas'가 나온 것과 같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어학 ====
==== 어학 ====
*{{깃발|영국}} [[곤돌랜드의 마지]]
*{{깃발|영국}} [[곤돌랜드의 마지]]
*{{깃발|영국}} [[다이나모 (애니메이션)|다이나모]]
*{{깃발|미국}} {{깃발|영국}} [[도라 디 익스플로러]]{{ㅈ|한국에서는 영어교육용 영상이지만, 영어판에서는 [[스페인어]] 교육용 영상이었다. 그리고 반대로 [[스페인어]]에서도 영어 교육 애니메이션이며, [[네덜란드]]나 [[벨기에]] 같은 국가에서는 자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다른 외국어를 배울 수 있는 판으로 더빙되어 방영되기도 한다.}}
*{{깃발|미국}} {{깃발|영국}} [[도라 디 익스플로러]]{{ㅈ|한국에서는 영어교육용 영상이지만, 영어판에서는 [[스페인어]] 교육용 영상이었다. 그리고 반대로 [[스페인어]]에서도 영어 교육 애니메이션이며, [[네덜란드]]나 [[벨기에]] 같은 국가에서는 자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다른 외국어를 배울 수 있는 판으로 더빙되어 방영되기도 한다.}}
*{{깃발|대한민국}} [[마법천자문]]
*{{깃발|대한민국}} [[마법천자문]]
**[[태극천자문]]
**[[태극천자문]]
*{{깃발|영국}} [[알파블록스]]
*{{깃발|대한민국}} [[뽀롱뽀롱 뽀로로|뽀로로 잉글리시쇼]]
*{{깃발|대한민국}} [[뽀롱뽀롱 뽀로로|뽀로로 잉글리시쇼]]


28번째 줄: 30번째 줄:
==== 역사 및 문화 ====
==== 역사 및 문화 ====
*{{깃발|대한민국}} [[고둥둥심포니]]
*{{깃발|대한민국}} [[고둥둥심포니]]
*{{깃발|미국}} [[리틀 아인슈타인]]
*{{깃발|대한민국}} [[미술탐험대]]
*{{깃발|대한민국}} [[미술탐험대]]
*{{깃발|대한민국}} [[미스테리야]]
*{{깃발|대한민국}} [[미스테리야]]
33번째 줄: 36번째 줄:
*{{깃발|대한민국}} [[시간여행자 루크]]
*{{깃발|대한민국}} [[시간여행자 루크]]
*{{깃발|대한민국}} [[올림포스 가디언]]
*{{깃발|대한민국}} [[올림포스 가디언]]
*{{깃발|대한민국}} [[초롱이의 옛날여행]]
*{{깃발|대한민국}} {{깃발|미국}} {{깃발|중국}} [[출동! 슈퍼윙스]]
*{{깃발|대한민국}} {{깃발|미국}} {{깃발|중국}} [[출동! 슈퍼윙스]]
*{{깃발|대한민국}} [[허풍선이 음악쇼]]
*{{깃발|대한민국}} [[허풍선이 음악쇼]]
39번째 줄: 43번째 줄:
*[[과학마술단]]
*[[과학마술단]]
*{{깃발|대한민국}}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6Dx1Yt-lcuEoLwZdUzxUgP2sEgzH2uyh 놓지마 과학!] - [[놓지마 정신줄]] [[IP]]로 만들어진 학습 애니메이션
*{{깃발|대한민국}}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6Dx1Yt-lcuEoLwZdUzxUgP2sEgzH2uyh 놓지마 과학!] - [[놓지마 정신줄]] [[IP]]로 만들어진 학습 애니메이션
*{{깃발|미국}} [[신기한 스쿨버스]]
*{{깃발|대한민국}} [[아깨비의 과학여행]]
*{{깃발|대한민국}} [[아깨비의 과학여행]]
*{{깃발|미국}} [[신기한 스쿨버스]]
*{{깃발|대한민국}} [[키즈 CSI 과학수사대]]
*{{깃발|독일}} [[쿠르츠게작트]]{{ㅈ|[[유튜브]] [[웹 애니메이션]]이라고 보는 게 좋다. 자연과학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분야도 많이 다룬다. 교육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흔치 않게 청소년 이상도 재미있게 볼 수 있다.}}
*{{깃발|대한민국}} [[허풍선이 과학쇼]]
*{{깃발|대한민국}} [[허풍선이 과학쇼]]
*{{깃발|대한민국}} [[키즈 CSI 과학수사대]]
==== 수학 ====
*{{깃발|대한민국}} [[EBS MATH]]
**[[수학술사 세미]]
**[[닥터 Y]]
**[[세미와 매직큐브]]
**[[LEGACY OF MATH -황금의 서-]]
*{{깃발|영국}} [[넘버크루]]
*{{깃발|대한민국}} [[애코와 친구들]]


==== 생태 ====
===== 생태 =====
*{{깃발|미국}} [[고 디에고 고]]
*{{깃발|미국}} [[고 디에고 고]]
*{{깃발|대한민국}} [[꼬마농부 라비]]
*{{깃발|대한민국}} [[꼬마농부 라비]]
69번째 줄: 65번째 줄:
==== 기술과학 ====
==== 기술과학 ====
*{{깃발|영국}} [[토마스와 친구들]]<ref>{{ㅊ|요즘은 밈이 되었지만}} 기관차들에 대한 작동방식 등을 '물을 마신다' 등으로 의인화시켜 표현했고, 철도에 대한 고증이 매우 철저해 철도 다큐 애니메이션으로 봐도 된다는 평이 있다. 실은 예전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Be0AWtqZFmg 학습만화를 곁들이기도 했다.] 아예 2020년 가서는 기계들의 작동방식을 소재로 한 [https://www.youtube.com/watch?v=djh143w3Aiw 노래도 나왔다.] 이후 아예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nvriPiyJF9XezIFMezBi1oTUf4w6Phhl 학습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제작했다.]</ref>
*{{깃발|영국}} [[토마스와 친구들]]<ref>{{ㅊ|요즘은 밈이 되었지만}} 기관차들에 대한 작동방식 등을 '물을 마신다' 등으로 의인화시켜 표현했고, 철도에 대한 고증이 매우 철저해 철도 다큐 애니메이션으로 봐도 된다는 평이 있다. 실은 예전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Be0AWtqZFmg 학습만화를 곁들이기도 했다.] 아예 2020년 가서는 기계들의 작동방식을 소재로 한 [https://www.youtube.com/watch?v=djh143w3Aiw 노래도 나왔다.] 이후 아예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nvriPiyJF9XezIFMezBi1oTUf4w6Phhl 학습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제작했다.]</ref>
*{{깃발|영국}} [[The Way Things Work]]
==== 수학 ====
*{{깃발|대한민국}} [[EBS MATH]]
**[[수학술사 세미]]
**[[닥터 Y]]
**[[세미와 매직큐브]]
**[[LEGACY OF MATH -황금의 서-]]
*{{깃발|영국}} [[넘버블록스]]
*{{깃발|영국}} [[넘버크루]]
*{{깃발|대한민국}} [[애코와 친구들]]


=== 안전 ===
=== 안전 ===
*{{깃발|대한민국}}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
*{{깃발|대한민국}} [[강철소방대 파이어로보]]
*{{깃발|북한}} [[교통질서를 잘 지키자요]]
*{{깃발|대한민국}} [[나침반 5분 안전교육]]
*{{깃발|대한민국}} [[나침반 5분 안전교육]]
*{{깃발|대한민국}} [[로보카 폴리|폴리의 교통안전 이야기, 로이의 소방안전 이야기, 엠버의 생활안전 이야기]]
*{{깃발|대한민국}} [[로보카 폴리|폴리의 교통안전 이야기, 로이의 소방안전 이야기, 엠버의 생활안전 이야기]]
80번째 줄: 88번째 줄:
*{{깃발|대한민국}} {{깃발|중국}} [[피피루 안전특공대]]
*{{깃발|대한민국}} {{깃발|중국}} [[피피루 안전특공대]]


=== 잡학 ===
=== 잡학 및 기타 ===
*{{깃발|대한민국}} [[깨미와 부카채카]]
*{{깃발|대한민국}} [[깨미와 부카채카]]
*{{깃발|대한민국}} [[신나는 과학 애니메이션 Why?]]
*{{깃발|대한민국}} [[신나는 과학 애니메이션 Why?]]
86번째 줄: 94번째 줄:
*{{깃발|대한민국}} [[자동공부책상 위키]]
*{{깃발|대한민국}} [[자동공부책상 위키]]
*{{깃발|미국}} [[스쿨하우스 락]]
*{{깃발|미국}} [[스쿨하우스 락]]
*{{깃발|영국}} [[컬러블록스]]
*{{깃발|영국}} [[헤이 더기]]{{ㅈ|유치원생을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 그러다보니 유치원생 시선에 맞게 [[텔레토비]] 처럼 반복적으로 헤이 더기! 하고 외치며 주목하게 하고, 상상하는 법이나 어떠한 놀이를 하는 법, 안전 수칙 등을 알려준다.}}


{{각주}}
{{각주}}


[[분류:학습 애니메이션]]
[[분류:학습 애니메이션]]

2023년 7월 4일 (화) 03:15 판

학습 애니메이션은 학습 효과를 목적으로 지식 정보를 전달하는 내용이 있는 애니메이션 장르를 말한다. 교육 애니메이션이라고도 말하기도 한다.

일부 애니메이션은 학습 만화를 원작으로 해서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정글에서 살아남기마법천자문, 신나는 과학 애니메이션 Why?가 그 예시.

'교육'이라는 것이 어린아이들에게 어울리는 듯한 단어여서 그런지 학습 애니메이션은 아동용 애니메이션 혹은 유아용 애니메이션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런 점 때문인지 에피소드 내용 반 학습 내용 반 구조로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아동용 혹은 유아용 애니메이션에서는 에피소드 내에서 사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사회성 기르기나 어른 말 잘듣게 하기 등을 가르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지만 똑같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인 치로와 친구들에서는 '치로'가 꿈에서 야채 먹으라는 부모 말 안 듣고 과자만 먹다가 돼지병아리가 되어서 깨고,[1] 돼지병아리가 되지 않기 위해 야채를 열심히 먹는 내용 등이 있다. 반대로 유후와 친구들처럼 학습 내용이 초반에만 세계 자연환경이 어떤지 아주 조금만 알려주고 본편은 아예 학습이 아니라 평범한 아동용 애니메이션인 경우도 있다. 이렇게 학습과 재미의 비중을 반반 정도로 만든 것을 "에듀테인먼트" 라고 부른다.

일부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원래 일상물 등 다른 장르의 애니였는데 스핀오프로 학습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도 한다. 특히 인기를 강하게 끈 애니메이션의 경우 그렇다. 뽀롱뽀롱 뽀로로에서 '뽀로로 잉글리시쇼'가 나오고, 토마스와 친구들에서 'Learn with Thomas'가 나온 것과 같다.

세계적으로 한국 애니메이션영국 애니메이션유아용 혹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데 이 두 나라는 교육에 많이 치중하는 국가이기도 하며, 따라서 학습 애니메이션의 가지수도 많다. 대체적으로 위 두 애니메이션 장르에 강한 나라이기 때문에 그런 듯 보인다.

목록

인문학

어학

지리

역사 및 문화

자연과학

생태

화학

기술과학

수학

안전

잡학 및 기타

각주

  1. 웃길라고 쓴 게 아니라 작중에서도 실제로 돼지병아리라고 불린다.
  2. 한국에서는 영어교육용 영상이지만, 영어판에서는 스페인어 교육용 영상이었다. 그리고 반대로 스페인어에서도 영어 교육 애니메이션이며, 네덜란드벨기에 같은 국가에서는 자국에서도 널리 쓰이는 다른 외국어를 배울 수 있는 판으로 더빙되어 방영되기도 한다.
  3. 위에서도 말했듯 해당 에피소드의 지역을 짤막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는식이라 교육 애니메이션이라는 것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질 수 있다.
  4. 유튜브 웹 애니메이션이라고 보는 게 좋다. 자연과학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분야도 많이 다룬다. 교육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흔치 않게 청소년 이상도 재미있게 볼 수 있다.
  5. 요즘은 밈이 되었지만 기관차들에 대한 작동방식 등을 '물을 마신다' 등으로 의인화시켜 표현했고, 철도에 대한 고증이 매우 철저해 철도 다큐 애니메이션으로 봐도 된다는 평이 있다. 실은 예전부터 학습만화를 곁들이기도 했다. 아예 2020년 가서는 기계들의 작동방식을 소재로 한 노래도 나왔다. 이후 아예 학습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제작했다.
  6.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 그러다보니 유치원생 시선에 맞게 텔레토비 처럼 반복적으로 헤이 더기! 하고 외치며 주목하게 하고, 상상하는 법이나 어떠한 놀이를 하는 법, 안전 수칙 등을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