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로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4명의 중간 판 9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SM}}
|이름    = 충무로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역명 = 서울교통공사 충무로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충무로역 4번출구.JPG
|역번호 = {{역번호/한국|331|SM|3}} · {{역번호/한국|423|SM|4}}
|그림설명 =  
|역코드 = '''AFC''' : 321 (3호선), 423 (4호선)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퇴계로]] 지하199
|주소    =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중구]] [[퇴계로]] 지하199
|개업일 = {{날짜/출력|1985-10-18}}
|번호    = {{역번호/한국|331|수도권|3}} {{역번호/한국|423|수도권|4}}
|폐지일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small>14.5 km</small><br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17.4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 1면 2선 (3호선), 2면 2선 (4호선)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AFC''' : 321 (3호선), 423 (4호선)
|노선 = <nowiki />
|승강장   = 1면 2선 (3호선), 2면 2선 (4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small>14.5 km</small>
|관련역  =  
*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17.4 km</small>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PAGENAME}}}}<br />忠武路驛 / Chungmuro Station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중구]] [[충무로]] 4가에 위치한 지하철역.


== 개요 ==
3, 4호선 환승역이지만 3호선, 4호선 모두 서울교통공사의 관할이기 때문에 역무실이 통합되어 있으며, 역 자체는 4호선의 역으로 간주하여 승하차량도 4호선의 승하차량으로 간주한다.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충무로]] 4가에 위치한 지하철역.


해당 지하철역이 충무로 한가운데에 위치한 관계로 역명이 정해졌다. 여담이지만 '''충무라는 이름 자체가 민족의 영웅 중 한 명인 [[이순신]] 장군의 호에서 따온 이름'''이다.
3-4호선간 연결선로, 즉 인입선이 존재한다. 이유는 서메 4호선 차량들은 3호선의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때문.


두 역 다 서울메트로의 역이기 때문에 역무실이 통합되어 있으며, 역 자체는 4호선의 역으로 간주하여 승하차량도 4호선의 승하차량으로 간주한다(...) {{ㅊ|3호선 안습}}
== 역사 ==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충무로'''로 결정<ref>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f>
3-4호선간 연결선로, 즉 인입선이 존재한다. 이유는 서메 4호선 차량들은 3호선의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때문.
* 1985년 10월 18일: 3호선 [[독립문역|독립문]]~[[양재역|양재]] 구간 및 4호선 [[한성대입구역|삼선교]]~[[사당역|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역 구조 ==
== 시설 ==
=== 3호선 ===
=== 3호선 ===
3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승강장 자체가 넓은...건 아니고 중간 벽이 좀 두껍게 되어 있다(...) 즉, 양쪽 선로와 거리가 좀 있는 편.
3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승강장 자체가 넓은...건 아니고 중간 벽이 좀 두껍게 되어 있다(...) 즉, 양쪽 선로와 거리가 좀 있는 편.


본래 이 역은 개업 당시 인공암반으로 천장이 구성되어 있었으나, [[2012년]] 리모델링을 단행하면서 싸그리 제거했다(...) {{ㅊ|안습}} 왜냐하면, 만일 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이 인공암반에서 유독가스가 분출할 우려도 있는 데다가, 사람들이 대피하다가 이 인공암반에 머리를 부딪혀 넘어지거나 하면 유독가스 질식으로 사망하거나 압사할 가능성도 높았기 때문이다.  
본래 이 역은 개업 당시 인공암반으로 천장이 구성되어 있었으나, [[2012년]] 리모델링을 단행하면서 싸그리 제거했다. 만일 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이 인공암반에서 유독가스가 분출할 우려도 있는 데다가, 사람들이 대피하다가 이 인공암반에 머리를 부딪혀 넘어지거나 하면 유독가스 질식으로 사망하거나 압사할 가능성도 높았기 때문이다.


<div>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3호선]]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서울 지하철 3호선]]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3호선''' [[경복궁역|경복궁]] · [[구파발역|구파발]] · [[대화역|대화]]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상행 승강장''' | [[경복궁역|<span style="color: white;">경복궁</span>]] · [[구파발역|<span style="color: white;">구파발</span>]] · [[대화역|<span style="color: white;">대화</span>]] 방면<br />[[압구정역|<span style="color: white;">압구정</span>]] · [[수서역|<span style="color: white;">수서</span>]] · [[오금역|<span style="color: white;">오금</span>]] 방면 | '''하행 승강장'''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3호선''' [[압구정역|압구정]] · [[수서역|수서]] · [[오금역|오금]] 방면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서울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동대입구]]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3호선]] [[동대입구역|동대입구]] →
|-
}}
|}
}}
</div>


=== 4호선 ===
=== 4호선 ===
4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div>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4호선''' [[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 · [[창동역|창동]] · [[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상행 승강장''' | [[한성대입구역|<span style="color: white;">한성대입구</span>]] · [[창동역|<span style="color: white;">창동</span>]] · [[당고개역|<span style="color: white;">당고개</span>]]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4호선]] [[명동역|명동]] →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서울 지하철 4호선]] [[명동역|명동]]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4호선''' [[서울역|서울역]] · [[사당역|사당]] · [[오이도역|오이도]]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 [[사당역|<span style="color: white;">사당</span>]] · [[오이도역|<span style="color: white;">오이도</span>]] 방면 | '''하행 승강장'''
}}
|-
|}
</div>


=== 환승 정보 ===
=== 환승 정보 ===
73번째 줄: 70번째 줄:
! colspan="4" | 목적지
! colspan="4" | 목적지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 3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4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호선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 대화<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대화<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 오금<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오금<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당고개<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당고개<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 3호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호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 대화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대화 방면
| -
| -
| ''섬식''
| '''모든 문'''
| rowspan="2" | 4-4
| rowspan="2" | 4-4
| 8-1
| 8-1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color: white;" | 오금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오금 방면
| ''섬식''
| '''모든 문'''
| -
| -
| 8-4
| 8-4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4호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호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당고개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당고개 방면
| colspan="2" | 5-1
| colspan="2" | 5-1
| -
| -
|  
|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color: white;" | 오이도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 방면
| colspan="2"  | 7-1
| colspan="2"  | 7-1
|  
|  
107번째 줄: 104번째 줄:
|}
|}


처음부터 [[1기 지하철]]이 만나는 역이었던 데다가, 3호선과 4호선이 X자로 교차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초[[개념환승]]역으로 설계되었다.''' {{ㅊ|만세!!}} 즉, 3-4호선은 계단 하나로 환승이 가능하다. {{ㅊ|아주 바람직한 환승역의 예이다.}}
처음부터 [[1기 지하철]]이 만나는 역이었던 데다가, 3호선과 4호선이 X자로 교차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개념환승]]역으로 설계되었다. 계단 하나로 환승이 가능하다.
 
== 역사 ==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지하철 3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이 동시 개통하면서 처음부터 3, 4호선의 환승역으로 개업한 역이다.
 
[[2012년]] 역 전체적으로 [[리모델링]] 공사를 단행했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남산골 한옥마을]]이 근처에 있다.
[[동국대학교]], [[남산골 한옥마을]]이 근처에 있다.


== 경유 노선 ==
그외, 대한극장과 한국 장애인 고용공단 맞춤 훈련센터가 역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8em;}}
{{경유 노선/관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글자색=white|관할=서울교통공사|링크=서울교통공사}}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글자색=white
|노선폭=14em|노선명=서울 지하철 3호선|노선링크=서울 지하철 3호선|노선거리=14.5 km
|전역폭=16em|전방면=[[을지로3가역|을지로3가]] 방면|전역=[[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전거리=0.7 km
|당역폭=8em|당역='''충무로'''
|후역폭=12em|후방면=[[동대입구역|동대입구]] 방면|후역=[[동대입구역|동대입구]]|후거리=0.9 k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4호선|노선링크=서울 지하철 4호선|노선거리=17.4 km
|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전거리=1.3 km
|당역='''충무로'''
|후방면=[[남태령역|남태령]] 방면|후역=[[명동역|명동]]|후거리=0.7 km}}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링크=수도권 전철 3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경유 계통|전역폭=17em|전방면=[[대화역|대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330|SM|3}}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전거리=0.7 km
{{경유 계통|전방면=[[대화역|대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330|수도권|3}}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전거리=0.7 km
|당역폭=9em|당역={{역번호/한국|331|SM|3}} '''충무로'''
|당역={{역번호/한국|331|수도권|3}} '''충무로'''
|후역폭=12em|후방면=[[오금역|오금]] 방면|후역={{역번호/한국|332|SM|3}} [[동대입구역|동대입구]]|후거리=0.9 km}}
|후방면=[[오금역|오금]] 방면|후역={{역번호/한국|332|수도권|3}} [[동대입구역|동대입구]]|후거리=0.9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4}}|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4호선|링크=서울 지하철 4호선}}
}}
{{경유 계통|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22|SM|4}}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전거리=1.3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당역={{역번호/한국|423|SM|4}} '''충무로'''
{{경유 계통|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22|수도권|4}}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전거리=1.3 km
|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24|SM|4}} [[명동역|명동]]|후거리=0.7 km}}
|당역={{역번호/한국|423|수도권|4}} '''충무로'''
|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24|수도권|4}} [[명동역|명동]]|후거리=0.7 km
}}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3호선]][[분류:서울 도시철도 4호선]]
[[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2024년 1월 18일 (목) 00:56 기준 최신판

충무로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지하199
번호  331   423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14.5 km
서울 지하철 4호선 17.4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코드 AFC : 321 (3호선), 423 (4호선)
승강장 1면 2선 (3호선), 2면 2선 (4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4가에 위치한 지하철역.

3, 4호선 환승역이지만 3호선, 4호선 모두 서울교통공사의 관할이기 때문에 역무실이 통합되어 있으며, 역 자체는 4호선의 역으로 간주하여 승하차량도 4호선의 승하차량으로 간주한다.

3-4호선간 연결선로, 즉 인입선이 존재한다. 이유는 서메 4호선 차량들은 3호선의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때문.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충무로로 결정[1]
  • 1985년 10월 18일: 3호선 독립문~양재 구간 및 4호선 삼선교~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시설[편집 | 원본 편집]

3호선[편집 | 원본 편집]

3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승강장 자체가 넓은...건 아니고 중간 벽이 좀 두껍게 되어 있다(...) 즉, 양쪽 선로와 거리가 좀 있는 편.

본래 이 역은 개업 당시 인공암반으로 천장이 구성되어 있었으나, 2012년 리모델링을 단행하면서 싸그리 제거했다. 만일 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이 인공암반에서 유독가스가 분출할 우려도 있는 데다가, 사람들이 대피하다가 이 인공암반에 머리를 부딪혀 넘어지거나 하면 유독가스 질식으로 사망하거나 압사할 가능성도 높았기 때문이다.

4호선[편집 | 원본 편집]

4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3호선 4호선
대화
방면
오금
방면
당고개
방면
오이도
방면
출발지 3호선 대화 방면 - 모든 문 4-4 8-1
오금 방면 모든 문 - 8-4
4호선 당고개 방면 5-1 -
오이도 방면 7-1 -

처음부터 1기 지하철이 만나는 역이었던 데다가, 3호선과 4호선이 X자로 교차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개념환승역으로 설계되었다. 계단 하나로 환승이 가능하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동국대학교, 남산골 한옥마을이 근처에 있다.

그외, 대한극장과 한국 장애인 고용공단 맞춤 훈련센터가 역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3호선
대화 방면
 330  을지로3가
 331  충무로 오금 방면
 332  동대입구
4호선
당고개 방면
 422  동대문역사문화공원
 423  충무로 오이도 방면
 424  명동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