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마인 선 <small>(마인츠-프랑크푸르트 선)</small>
|이름    = 마인선<br />마인츠-프랑크푸르트선
|노선명2 = Mainbahn <small>(Bahnstrecke Mainz-Frankfurt am Main)</small>
|원어이름 = Mainbahn<br />Bahnstrecke Mainz-Frankfurt am Main
|배경색 =  
|배경색   =
|그림 =  
|글자색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나라|독일}}
|그림설명2 =
|종류    = 간선철도
|종류 = 간선철도
|번호     = <nowiki />
|나라 = {{국기그림|독일}} [[독일]]
|체계 = ''[[라인-마인 S반]] (프랑크푸르트 공항역 전후 제외)''
|번호 = <nowiki />
* '''선구 번호''' (VzG)
* '''선구 번호''' (VzG)
** 3520 <small>(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본선)</small>
** 3520 <small>(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본선)</small>
19번째 줄: 17번째 줄:
** 471 (본선)
** 471 (본선)
** ''645.7, 645.8, 645.9 (S반)''
** ''645.7, 645.8, 645.9 (S반)''
|상태 = 영업 중
|구간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중앙]]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중앙]]
|노선 =
|영업거리 = 37.5 km
|기점 = [[마인츠 중앙역]]<br />(라인란트-팔츠 주 마인츠)
|역수    = 12개
|종점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br />(헤센 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소유자   = [[독일철도|DB Netze]]
|역수 = 12
|운영자   = DB Fernverkehr<br />DB Regio Hessen 등
|이용자 =
|개통일  = 1863년 1월 3일
|개통일 = 1863년 1월 3일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소유자 = [[독일철도|DB Netze]]
|차량기지 =  
|운영자 = DB Fernverkehr<br />DB Regio Hessen 등
|궤간     = 1,435 mm ([[표준궤]])
|영업거리 = 37.5 km (본선)
|선로     = 전 구간 복선 이상
|실거리 =  
|전기    = [[교류]] 15 kV, 16.7 Hz, [[가공전차선]]
|시설연장 =  
|신호     =  
|궤간 = 1,435 mm [[표준궤]]
|비고    =  
|궤도 =
|선로 = 전 구간 복선 이상
|전철화 = 전 구간 가공전차선<br />교류 15 kV 16.7 Hz
|신호 =  
|영업최고속도 = 160 km/h
|설계최고속도 = 160 km/h
|주석 =  
}}
}}


{{+1|Mainbahn}}<br />Bahnstrecke Mainz-Frankfurt (Main) / 마인 선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라인란트-팔츠주]]의 주도 [[마인츠]]와 [[헤센주]]의 수부도시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주로 [[마인 강]]의 남안을 따라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자체 수요도 꽤 튼실하고 운행 열차도 장거리편부터 중거리편과 [[라인-마인 S반|광역전철]]까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독일철도의 주요 간선인 [[라인 좌안선]]이 직접 접속하고, 독일철도에서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통행량이 가장 많은 [[리트선]]이 별도 복선 없이 평면 교차로 접속하는 탓에, 이 노선도 만성적인 용량 부족을 겪고 있다. [[쾰른-라인마인 고속선]] 개통 전에 ICE 통행량이 가장 많던 노선이 라인 좌안선이었음을 감안하면 영원히 고통받는 노선이라고 볼 수도 있다.


== 개요 ==
마인 선은 독일에서도 꽤 유서 깊은 철도로, 개통 계기는 1858년 마인츠에서 [[아샤펜부르크 중앙역|아샤펜부르크]]까지를 잇는 헤센 루트비히 철도사의 라인-마인 철도 개통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지 않는 라인-마인 선이었으나, 굳이 여객이 프랑크푸르트로 들어가지 않을 이유가 없었고, [[마인츠-비쇼프스하임역]]에서 지선을 따서 프랑크푸르트까지 마인 강의 북안에서 달리던 [[타우누스 철도선]]과 평행한 경로로 잇게 된 것이 바로 마인 선의 시초이다.
[[라인란트-팔츠 주]]의 주도 [[마인츠]]와 [[헤센 주]]의 수부도시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주로 [[마인 강]]의 남안을 따라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자체 수요도 꽤 튼실하고 운행 열차도 장거리편부터 중거리편과 [[라인-마인 S반|광역전철]]까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독일철도의 주요 간선인 [[라인 좌안선]]이 직접 접속하고, 독일철도에서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통행량이 가장 많은 [[리트 선]]이 별도 복선 없이 평면 교차로 접속하는 탓에, 이 노선도 만성적인 용량 부족을 겪고 있다. [[쾰른-라인마인 고속선]] 개통 전에 ICE 통행량이 가장 많던 노선이 라인 좌안선이었음을 감안하면 영원히 고통받는 노선이라고 볼 수도 있다.
 
마인 선은 독일에서도 꽤 유서 깊은 철도로, 개통 계기는 1858년 마인츠에서 [[아샤펜부르크 중앙역|아샤펜부르크]]까지를 잇는 헤센 루트비히 철도사의 라인-마인 철도 개통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지 않는 라인-마인 선이었으나, 굳이 여객이 프랑크푸르트로 들어가지 않을 이유가 없었고, [[마인츠-비쇼프스하임 역]]에서 지선을 따서 프랑크푸르트까지 마인 강의 북안에서 달리던 [[타우누스 철도선]]과 평행한 경로로 잇게 된 것이 바로 마인 선의 시초이다.


이후 1897년에는 헤센 루트비히 철도가 프러시아-헤센 철도로 통합되었으며, 1958년 12월 15일에 전철화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른다.
이후 1897년에는 헤센 루트비히 철도가 프러시아-헤센 철도로 통합되었으며, 1958년 12월 15일에 전철화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른다.
57번째 줄: 45번째 줄:
=== 장거리편 ===
=== 장거리편 ===
장거리편이 많이 다니던 라인 좌안선에 직접 직결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한 때는 거의 최고조의 통행량을 보였으나, 현재는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의 개통으로 장거리편이 많이 줄은 편이다.
장거리편이 많이 다니던 라인 좌안선에 직접 직결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한 때는 거의 최고조의 통행량을 보였으나, 현재는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의 개통으로 장거리편이 많이 줄은 편이다.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20''': [[킬 중앙역|킬]] · [[함부르크 중앙역|함부르크]] 방면 ← [[프랑크푸르트 공항역|프랑크푸르트 공항]]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 [[바젤 SBB역|바젤]] 방면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20''': [[킬 중앙역|킬]] · [[함부르크 중앙역|함부르크]] 방면 ← [[프랑크푸르트 공항역|프랑크푸르트 공항]] - [[마인츠 중앙역|마인츠]] → [[비스바덴 중앙역|비스바덴]] · [[바젤 SBB 역|바젤]] 방면
** 일부 열차가 직결해서 운행한다. 쾰른-라인마인 고속선과 마인 선의 연결선을 따라 운행해서 들어오는 계통.
** 일부 열차가 직결해서 운행한다. 쾰른-라인마인 고속선과 마인 선의 연결선을 따라 운행해서 들어오는 계통.
* '''ICE/IC 31''': 킬 방면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레겐스부르크 중앙역|레겐스부르크]] · 바젤 방면
* '''ICE/IC 31''': 킬 방면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레겐스부르크 중앙역|레겐스부르크]] · 바젤 방면
77번째 줄: 64번째 줄:
=== 광역전철 ===
=== 광역전철 ===
[[라인-마인 S반]]이 운행된다.
[[라인-마인 S반]]이 운행된다.
* [[라인-마인 S7|라인-마인 <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 ([[리트슈타트-고델라우 역|리트슈타트-고델라우]]) ←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프랑크푸르트 운동장]]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라인-마인 S7|라인-마인 <span style="background-color: #01220e; color: white;">'''&nbsp;S7&nbsp;'''</span>]] ([[리트슈타트-고델라우역|리트슈타트-고델라우]]) ←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프랑크푸르트 운동장]]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리트 선]] 방면 S반. 1시간에 1대 운행된다.
** [[리트선]] 방면 S반. 1시간에 1대 운행된다.
* [[라인-마인 S8|라인-마인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비스바덴) ← 마인츠 중앙역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 ([[오펜바흐 동역|오펜바흐]] · 하나우)
* [[라인-마인 S8|라인-마인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 (비스바덴) ← 마인츠 중앙역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 ([[오펜바흐 동역|오펜바흐]] · 하나우)
* [[라인-마인 S9|라인-마인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 (비스바덴 · [[마인츠-카스텔 역|마인츠-카스텔]]) ← 마인츠-비쇼프스하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 ([[오펜바흐 동역|오펜바흐]] · 하나우)
* [[라인-마인 S9|라인-마인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 (비스바덴 · [[마인츠-카스텔역|마인츠-카스텔]]) ← 마인츠-비쇼프스하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 ([[오펜바흐 동역|오펜바흐]] · 하나우)
** 두 계통 합계 15분 간격(각 계통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노선. 두 계통의 차이는 마인츠 중앙역을 경유하냐 아니냐, 즉 헤센 주에서 라인란트-팔츠 주를 경유하느냐 아니냐([[타우누스 철도선]]을 더 경유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이다. 원래는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만 있었고,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의 전신이 된 RE는 당시 굳이 복잡한 연결선을 써가면서까지 경유하지 않는 계통인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수요가 너무 저조한 나머지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를 신설하면서 분리되었다. 그래도 마인츠-카스텔 역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마인츠 시내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되지 않을 뿐...
** 두 계통 합계 15분 간격(각 계통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노선. 두 계통의 차이는 마인츠 중앙역을 경유하냐 아니냐, 즉 헤센 주에서 라인란트-팔츠 주를 경유하느냐 아니냐([[타우누스 철도선]]을 더 경유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이다. 원래는 <span style="background-color: #7fc31c; color: white;">'''&nbsp;S8&nbsp;'''</span>만 있었고,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의 전신이 된 RE는 당시 굳이 복잡한 연결선을 써가면서까지 경유하지 않는 계통인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수요가 너무 저조한 나머지 <span style="background-color: #81017e; color: white;">'''&nbsp;S9&nbsp;'''</span>를 신설하면서 분리되었다. 그래도 마인츠-카스텔 역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마인츠 시내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되지 않을 뿐...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정거장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93번째 줄: 80번째 줄:
| [[마인츠 중앙역]]
| [[마인츠 중앙역]]
| Mainz Hbf<ref name="hauptbahnhof">Hbf = Hauptbahnhof, 중앙역.</ref>
| Mainz Hbf<ref name="hauptbahnhof">Hbf = Hauptbahnhof, 중앙역.</ref>
| [[라인 좌안선]]<br />[[마인츠 우회선]]<br />[[알차이-마인츠 선]]
| [[라인 좌안선]]<br />[[마인츠 우회선]]<br />[[알차이-마인츠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8
| style="text-align: right;" | 1.8
| [[마인츠 로마 극장역|마인츠 로마 극장 <small>(뢰미셰 테아터)</small>]]<ref>2006년까지는 '''마인츠 남역'''(Mainz Süd)이었다.</ref>
| [[마인츠 로마 극장역|마인츠 로마 극장 <small>(뢰미셰스테아터)</small>]]<ref>2006년까지는 '''마인츠 남역'''(Mainz Süd)이었다.</ref>
| Mainz Römisches Theater
| Mainz Römisches Theater
| [[마인츠-루트비히스하펜 선]]
| [[마인츠-루트비히스하펜선]]
|-
|-
| style="text-align: right;" | 4.6
| style="text-align: right;" | 4.6
| [[마인츠-구스타프스부르크 역|마인츠-구스타프스부르크]]
| [[마인츠-구스타프스부르크역|마인츠-구스타프스부르크]]
| Mainz-Gustavsburg
| Mainz-Gustavsburg
|  
|  
|-
|-
| style="text-align: right;" | 7.4
| style="text-align: right;" | 7.4
| [[마인츠-비쇼프스하임 역|마인츠-비쇼프스하임]]
| [[마인츠-비쇼프스하임역|마인츠-비쇼프스하임]]
| Mainz-Bischofsheim
| Mainz-Bischofsheim
| 마인츠 우회선 ([[타우누스 철도선]] 방면)
| 마인츠 우회선 ([[타우누스 철도선]] 방면)
113번째 줄: 100번째 줄:
| 마인츠-비쇼프스하임 제2 합류점 (분기점)
| 마인츠-비쇼프스하임 제2 합류점 (분기점)
| Mainz-Bischofsheim Ültg II Abzw<ref>Ültg = Überleitung, 합류점.</ref><ref name="abzweigstelle">Abzw = Abzweigstelle, 분기점.</ref>
| Mainz-Bischofsheim Ültg II Abzw<ref>Ültg = Überleitung, 합류점.</ref><ref name="abzweigstelle">Abzw = Abzweigstelle, 분기점.</ref>
| [[라인-마인 선]]
| [[라인-마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1.2
| style="text-align: right;" | 11.2
| [[뤼셀하임-오펠베르크 역|뤼셀하임-오펠베르크]]
| [[뤼셀하임-오펠베르크역|뤼셀하임-오펠베르크]]
| Rüsselheim-Opelwerk
| Rüsselheim-Opelwerk
|  
|  
|-
|-
| style="text-align: right;" | 12.2
| style="text-align: right;" | 12.2
| [[뤼셀하임 역|뤼셀하임]]
| [[뤼셀하임역|뤼셀하임]]
| Rüsselheim
| Rüsselheim
|  
|  
|-
|-
| style="text-align: right;" | 15.9
| style="text-align: right;" | 15.9
| [[라운하임 역|라운하임]]
| [[라운하임역|라운하임]]
| Raunheim
| Raunheim
|  
|  
141번째 줄: 128번째 줄:
|-
|-
| style="text-align: right;" | 23.8
| style="text-align: right;" | 23.8
| [[켈스터바흐 역|켈스터바흐]]
| [[켈스터바흐역|켈스터바흐]]
| Kelsterbach
| Kelsterbach
| [[프랑크푸르트 공항선]]
| [[프랑크푸르트 공항선]]
153번째 줄: 140번째 줄:
|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프랑크푸르트 운동장 <small>(슈타디온)</small>]]
|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프랑크푸르트 운동장 <small>(슈타디온)</small>]]
| Frankfurt am Main Stadion
| Frankfurt am Main Stadion
| [[리트 선]]<br />마인 선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연결선
| [[리트선]]<br />마인 선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연결선
|-
|-
| style="text-align: right;" | 33.2
| style="text-align: right;" | 33.2
| [[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역|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 [[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역|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 Frankfurt-Niederrad
| Frankfurt-Niederrad
| 프랑크푸르트 노면전차<br />니더라트·슈반하임 선 (12 · 19 계통)
| 프랑크푸르트 노면전차<br />니더라트·슈반하임선 (12 · 19 계통)
|-
|-
| style="text-align: right;" | 35.3<br />35.4
| style="text-align: right;" | 35.3<br />35.4
| 프랑크푸르트 외곽역 분기점<br />프랑크푸르트 구트로이트호프 분기점
| 프랑크푸르트 외곽역 분기점<br />프랑크푸르트 구트로이트호프 분기점
| Frankfurt Außenbf Abzw<ref name="abzweigstelle" /><ref>Außenbahnhof, 외곽역.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아니고 편의상 분기점에 붙인 명칭이다.</ref><br />Frankfurt Gutleuthof Abzw<ref name="abzweigstelle" />
| Frankfurt Außenbf Abzw<ref name="abzweigstelle" /><ref>Außenbahnhof, 외곽역.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아니고 편의상 분기점에 붙인 명칭이다.</ref><br />Frankfurt Gutleuthof Abzw<ref name="abzweigstelle" />
| [[마인-란 선]]<br />[[타우누스 철도선]]<br />프랑크푸르트 화물선
| [[마인-란선]]<br />[[타우누스 철도선]]<br />프랑크푸르트 화물선
|-
|-
| style="text-align: right;" | 37.5
| style="text-align: right;" | 37.5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Frankfurt am Main Hbf<ref name="hauptbahnhof" />
| Frankfurt am Main Hbf<ref name="hauptbahnhof" />
| [[마인-네카어 철도선]]<br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small>(마인 남안선)</small>]]<br />[[마인-베저 선]]<br />[[홈부르크 선]]<br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 [[마인-네카어 철도선]]<br />[[하나우-프랑크푸르트선|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small>(마인 남안선)</small>]]<br />[[마인-베저선]]<br />[[홈부르크선]]<br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
|-
|}
|}


==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연결선 ==
==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연결선 ==
[[마인-네카어 철도선]]에서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까지를 잇는 연결선이다. 연결선 자체는 복선이나, 연결선에 딸린 포르스트하우스 삼각선은 단선이다. 포르스트하우스 삼각선은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에서 마인 선 방향, 마인 선에서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 방향으로만 설치되어 있으며, 마인-네카어 철도선 상행 방면으로는 평면교차가 필요하다. 운동장역부터 중앙역까지 [[리트 선]]과 겹치기 때문에 용량이 부족하여 우회 선로로 쓰이는 노선으로, 리트 선 방면 열차든 마인 선 방면 열차든 자주 쓰이지만 보통, 마인 선과 리트 선을 거쳐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으로 들어가는 열차가 많이 쓴다.
[[마인-네카어 철도선]]에서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까지를 잇는 연결선이다. 연결선 자체는 복선이나, 연결선에 딸린 포르스트하우스 삼각선은 단선이다. 포르스트하우스 삼각선은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에서 마인 선 방향, 마인 선에서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 방향으로만 설치되어 있으며, 마인-네카어 철도선 상행 방면으로는 평면교차가 필요하다. 운동장역부터 중앙역까지 [[리트선]]과 겹치기 때문에 용량이 부족하여 우회 선로로 쓰이는 노선으로, 리트 선 방면 열차든 마인 선 방면 열차든 자주 쓰이지만 보통, 마인 선과 리트 선을 거쳐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으로 들어가는 열차가 많이 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정거장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194번째 줄: 181번째 줄:
| [[프랑크푸르트 남역]]
| [[프랑크푸르트 남역]]
| Frankfurt am Main Süd
| Frankfurt am Main Süd
|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br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small>(마인 남안선)</small><br />[[프랑크푸르트-하나우 선|프랑크푸르트-하나우 선 <small>(마인 북안선)</small>]]
|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br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small>(마인 남안선)</small><br />[[프랑크푸르트-하나우선|프랑크푸르트-하나우 선 <small>(마인 북안선)</small>]]
|-
|-
|}
|}

2023년 9월 10일 (일) 18:17 기준 최신판

마인선
마인츠-프랑크푸르트선
Mainbahn
Bahnstrecke Mainz-Frankfurt am Main
나라 독일
종류 간선철도
번호

  • 선구 번호 (VzG)
    • 3520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본선)
    • 3620 (운동장 - 남역, 연결선)
  • 시각표 번호 (KBS)
    • 471 (본선)
    • 645.7, 645.8, 645.9 (S반)
구간 마인츠 중앙 ~ 프랑크푸르트 중앙
영업거리 37.5 km
역 수 12개
소유자 DB Netze
운영자 DB Fernverkehr
DB Regio Hessen 등
개통일 1863년 1월 3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전 구간 복선 이상
전기 교류 15 kV, 16.7 Hz, 가공전차선

라인란트-팔츠주의 주도 마인츠헤센주의 수부도시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주로 마인 강의 남안을 따라 잇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자체 수요도 꽤 튼실하고 운행 열차도 장거리편부터 중거리편과 광역전철까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독일철도의 주요 간선인 라인 좌안선이 직접 접속하고, 독일철도에서 ICE 통행량이 가장 많은 리트선이 별도 복선 없이 평면 교차로 접속하는 탓에, 이 노선도 만성적인 용량 부족을 겪고 있다. 쾰른-라인마인 고속선 개통 전에 ICE 통행량이 가장 많던 노선이 라인 좌안선이었음을 감안하면 영원히 고통받는 노선이라고 볼 수도 있다.

마인 선은 독일에서도 꽤 유서 깊은 철도로, 개통 계기는 1858년 마인츠에서 아샤펜부르크까지를 잇는 헤센 루트비히 철도사의 라인-마인 철도 개통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지 않는 라인-마인 선이었으나, 굳이 여객이 프랑크푸르트로 들어가지 않을 이유가 없었고, 마인츠-비쇼프스하임역에서 지선을 따서 프랑크푸르트까지 마인 강의 북안에서 달리던 타우누스 철도선과 평행한 경로로 잇게 된 것이 바로 마인 선의 시초이다.

이후 1897년에는 헤센 루트비히 철도가 프러시아-헤센 철도로 통합되었으며, 1958년 12월 15일에 전철화가 완료되어 현재에 이른다.

사고[편집 | 원본 편집]

1990년 2월 2일, 뤼셀하임 인근에서 프랑크푸르트와 비스바덴으로 향하던 열차가 충돌, 탈선되면서 17명이 사망하고 80명 이상이 중경상을 입은 사고가 있었다.

경유편[편집 | 원본 편집]

장거리편[편집 | 원본 편집]

장거리편이 많이 다니던 라인 좌안선에 직접 직결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한 때는 거의 최고조의 통행량을 보였으나, 현재는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의 개통으로 장거리편이 많이 줄은 편이다.

  • ICE 20: · 함부르크 방면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마인츠비스바덴 · 바젤 방면
    • 일부 열차가 직결해서 운행한다. 쾰른-라인마인 고속선과 마인 선의 연결선을 따라 운행해서 들어오는 계통.
  • ICE/IC 31: 킬 방면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레겐스부르크 · 바젤 방면
    • ICE 혹은 IC로 하루 수 회 운행되는 계통. 고속선이 아닌 기존선(라인 좌안선) 경유 열차.
  • ICE 50: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방면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마인츠 → 비스바덴 방면
    • 독일 중부의 동서 ICE 계통. 하루 수 회 운행되는 계통이다.
  • ICE 91: 도르트문트 · 쾰른 방면 ← 마인츠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뉘른베르크 · 방면
    • 도나우 경로(파사우 경유)로 오스트리아에 직결하는 ICE 계통으로, 본 운행 중 일부 열차만이 도르트문트 발착 라인 좌안선 경유로 운행된다.

지역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광역전철[편집 | 원본 편집]

라인-마인 S반이 운행된다.

  • 라인-마인  S7  (리트슈타트-고델라우) ← 프랑크푸르트 운동장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리트선 방면 S반. 1시간에 1대 운행된다.
  • 라인-마인  S8  (비스바덴) ← 마인츠 중앙역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 (오펜바흐 · 하나우)
  • 라인-마인  S9  (비스바덴 · 마인츠-카스텔) ← 마인츠-비쇼프스하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지하) → (오펜바흐 · 하나우)
    • 두 계통 합계 15분 간격(각 계통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노선. 두 계통의 차이는 마인츠 중앙역을 경유하냐 아니냐, 즉 헤센 주에서 라인란트-팔츠 주를 경유하느냐 아니냐(타우누스 철도선을 더 경유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이다. 원래는  S8 만 있었고,  S9 의 전신이 된 RE는 당시 굳이 복잡한 연결선을 써가면서까지 경유하지 않는 계통인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수요가 너무 저조한 나머지  S9 를 신설하면서 분리되었다. 그래도 마인츠-카스텔 역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마인츠 시내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되지 않을 뿐...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접속 노선
0.0 마인츠 중앙역 Mainz Hbf[1] 라인 좌안선
마인츠 우회선
알차이-마인츠선
1.8 마인츠 로마 극장 (뢰미셰스테아터)[2] Mainz Römisches Theater 마인츠-루트비히스하펜선
4.6 마인츠-구스타프스부르크 Mainz-Gustavsburg
7.4 마인츠-비쇼프스하임 Mainz-Bischofsheim 마인츠 우회선 (타우누스 철도선 방면)
9.6 마인츠-비쇼프스하임 제2 합류점 (분기점) Mainz-Bischofsheim Ültg II Abzw[3][4] 라인-마인선
11.2 뤼셀하임-오펠베르크 Rüsselheim-Opelwerk
12.2 뤼셀하임 Rüsselheim
15.9 라운하임 Raunheim
17.4 라운하임 묀히발트 분기점 Raunheim Mönchwald Abzw[4] 쾰른-라인마인 고속선 연결선 (라운하임 묀히호프 방면)
19.4 라운하임 브루넨슈나이제 분기점 Raunheim Brunnenschneise Abzw[4] 쾰른-라인마인 고속선 연결선 (라운하임 칼텍스 방면)
23.8 켈스터바흐 Kelsterbach 프랑크푸르트 공항선
29.1 프랑크푸르트-슈반하임 장거리선 분기점 Frankfurt-Schwanheim Fernbahn Abzw[4] 프랑크푸르트 공항선
31.4 프랑크푸르트 운동장 (슈타디온) Frankfurt am Main Stadion 리트선
마인 선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연결선
33.2 프랑크푸르트-니더라트 Frankfurt-Niederrad 프랑크푸르트 노면전차
니더라트·슈반하임선 (12 · 19 계통)
35.3
35.4
프랑크푸르트 외곽역 분기점
프랑크푸르트 구트로이트호프 분기점
Frankfurt Außenbf Abzw[4][5]
Frankfurt Gutleuthof Abzw[4]
마인-란선
타우누스 철도선
프랑크푸르트 화물선
37.5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Frankfurt am Main Hbf[1]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마인 남안선)
마인-베저선
홈부르크선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프랑크푸르트 남역 방면 연결선[편집 | 원본 편집]

마인-네카어 철도선에서 프랑크푸르트 운동장역까지를 잇는 연결선이다. 연결선 자체는 복선이나, 연결선에 딸린 포르스트하우스 삼각선은 단선이다. 포르스트하우스 삼각선은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에서 마인 선 방향, 마인 선에서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 방향으로만 설치되어 있으며, 마인-네카어 철도선 상행 방면으로는 평면교차가 필요하다. 운동장역부터 중앙역까지 리트선과 겹치기 때문에 용량이 부족하여 우회 선로로 쓰이는 노선으로, 리트 선 방면 열차든 마인 선 방면 열차든 자주 쓰이지만 보통, 마인 선과 리트 선을 거쳐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으로 들어가는 열차가 많이 쓴다.

km 정거장 접속 노선
31.4 프랑크푸르트 운동장 (슈타디온) Frankfurt am Main Stadion 마인 선 본선
리트 선
33.2 포르스트하우스 분기점 Forsthaus (Frankfurt) Abzw[4] 삼각선 (마인-네카어 철도선 하행 방향 삼각선)
36.6 프랑크푸르트 남역 Frankfurt am Main Süd 프랑크푸르트 도심 터널선
하나우-프랑크푸르트 선 (마인 남안선)
프랑크푸르트-하나우 선 (마인 북안선)

각주

  1. 1.0 1.1 Hbf = Hauptbahnhof, 중앙역.
  2. 2006년까지는 마인츠 남역(Mainz Süd)이었다.
  3. Ültg = Überleitung, 합류점.
  4. 4.0 4.1 4.2 4.3 4.4 4.5 4.6 Abzw = Abzweigstelle, 분기점.
  5. Außenbahnhof, 외곽역. 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아니고 편의상 분기점에 붙인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