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호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원소 정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원소 정보
{{원소 정보
| 이름 = 니호늄
|이름     = 니호늄
| 원어이름 = Nihonium
|그림    =  
| 원자기호 = Nh
|그림설명 =
| 원자번호 = 113
|기호    = Nh
| 원자모형 = 우눈트륨 원자모형.svg
|번호    = 113
| 평균 원자량 = (286)
|족      =
| 밀도 = 16
|주기    =
| 원자 반지름 = 170
|계열    =  
| 상온상태 = 고체
|구역    =  
| 녹는점 = 430
|전자배치 =
| 끓는점 = 1130
|전자 수  = 2, 8, 18, 32, 32, 18, 3 (예측)
| 기화열 = 130
|질량    = (286) Da
| CAS 등록번호 = 54084-70-7
|반지름   = 170 pm
|공유    =
|판데르발스=
|산화수  =  
|음성도  =
|이온화1  =
|이온화2  =
|이온화3  =
|동위원소 =
|상태    = [[고체]]
|밀도    = 16 g/cm<sup>3</sup>
|결정구조 =
|녹는점   = 430 °C
|끓는점   = 1130 °C
|융해열  =
|기화열   = 130 kJ/mol
|몰열용량 =
|증기압력 =
|음속    =
|도전율  =
|열전도율 =
|비고    =  
}}
}}


==개요==
주기율표 [[13족 원소|13족]] [[7주기 원소|7주기]] 속하는 [[전이후 금속]] 원소로, 원소기호 Nh, 원자번호는 113이다.
주기율표 [[13족 원소|13족]] [[7주기 원소|7주기]] 속하는 [[전이후 금속]] 원소로, 원소기호 Nh, 원자번호는 113이다.


27번째 줄: 47번째 줄:
JINR/LLNL 공동 연구진은 [[넵투늄]]-237에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켜 합성하였다.
JINR/LLNL 공동 연구진은 [[넵투늄]]-237에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켜 합성하였다.


[[우눈펜튬]]의 α 붕괴 생성물로도 관찰된다.
[[모스코븀]]의 α 붕괴 생성물로도 관찰된다.


==성질==
==성질==

2022년 6월 13일 (월) 00:49 기준 최신판

니호늄
원소 정보
기호 Nh
원자 번호 113
전자 수 2, 8, 18, 32, 32, 18, 3 (예측) (준위별)
원자의 성질
원자 질량 (286) Da
반지름 원자 170 pm
이온화
에너지
1차
물리적 성질
상태 (STP) 고체
밀도 16 g/cm3
녹는점 430 °C
끓는점 1130 °C
기화열 130 kJ/mol

주기율표 13족 7주기 속하는 전이후 금속 원소로, 원소기호 Nh, 원자번호는 113이다.

일본의 이화학연구소 연구팀이 발견한 원소이며, 처음에는 임시로 우눈트륨 및 원자기호 Uut 로 붙여졌었으나, 2016년 6월 8일 IUPAC 에서 정식으로 니호늄으로 부르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당초에는 자포늄으로 부르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화학연구소의 이번 연구를 총괄한 모리타 고스케 씨가 일본 자국어로 불러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 [1]하여 이렇게 부르게 되었다. 일본 현지에서는 발음이 이상하다고 까는 듯 (ニホニウム) 니호니우무 닛호닛호니 또한, 일본을 부르는 다른 일본어인 Nipponium 을 쓰진 못했는데, 이는 과거 1908년 또 다른 일본의 과학자가 주기율표 상 75번에 해당하는 레늄을 새로운 원소로 착각하여 니포니움이란 단어로 등록했다가 취소당했기 때문이다.# IUPAC 규정상 한번 사용된 단어는 다시는 사용될 수 없다고.

제조법[편집 | 원본 편집]

자연 상태에서 발견되지 않는 인공 방사성 원소이다.

일본 이화학연구소에서는 비스무트-209 표적에 아연-70 이온을 충돌시켜 합성하였다.

JINR/LLNL 공동 연구진은 넵투늄-237에 칼슘-48 이온을 충돌시켜 합성하였다.

모스코븀의 α 붕괴 생성물로도 관찰된다.

성질[편집 | 원본 편집]

용도[편집 | 원본 편집]

  1. * Japonium 의 Japon 은 Jap (일본인을 비하하여 부르는 말) 을 연상시킨다고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