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호남선 {{철도역 정보 |역명 = 백양사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글자색 = white |관할 = 코레일 광주본부 광주송정관리역 |개...)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전라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6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호남선]]
{{새 철도역 정보
{{철도역 정보
|이름    = 백양사
|역명 = 백양사
|원어이름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백양사역.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양로 2-14<br />(사거리 587-1)
|번호    =
|노선    = [[호남선]] <small>148.6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개업일  = [[1914년]] [[11월 1일]]
|폐지일  =
|코드    = 34
|승강장  = 2면 4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호남선]]의 철도역. 개업 당시에는 역이 소재한 마을 이름을 따서 '사거'''리'''<nowiki>'</nowiki>역(...)이었다가 [[1967년]]에 개명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백양사까지는 꽤 멀다.
 
북이면소재지에 위치해 있으며, 여객취급을 하는 철도역 중에는 [[내장산]]과 가장 가까운 역이다.
 
== 경유 열차 ==
이 구간을 경유하는 대부분의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호남선]] [[장성역|장성]]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1번<br />2번|승강장 정보= '''무궁화호'''<br />[[광주역|광주]] · [[목포역|목포]] · [[순천역|순천]]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호남선]] [[장성역|장성]]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호남선]] [[정읍역|정읍]]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3번<br />4번|승강장 정보= '''무궁화호'''<br />[[용산역|용산]] · [[서대전역|서대전]] · [[익산역|익산]]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호남선]] [[정읍역|정읍]]
}}
}}


|관할 = 코레일 광주본부 광주송정관리역
== 경유 노선 ==
|개업일 = {{날짜/출력|1914-1-1}}
{{경유 노선/열기}}
|종별 = 운전간이역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등급 = 3급
|노선명=304 [[호남선]]|노선거리=148.6 km
|소재지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양로 2-14
|전방면=[[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방면|전역=[[노령역|노령]]|전거리=10.9 km
|당역='''백양사'''
|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안평역 (장성)|안평]]|후거리=11.5 km}}
{{경유 노선/닫기}}


|노선1 = [[호남선]]
== 경유 열차 ==
|전방면1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경유 열차 목록
|전역1 = [[노령역|노 령]]
|전체목록 =  
|전거리1 = 10.9
{{경유 열차 목록/종류
|후방면1 = [[목포역|목포]]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후역1 = [[안평역|안 평]]
|세로수  = 1
|후거리1 = 11.5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호남선 광주}}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무궁화호]]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호남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호남선 광주}}
}}
}}
}}
==개요==
 
[[호남선]]의 철도역. 개업 당시에는 역이 소재한 마을 이름을 따서 '사거'''리'''<nowiki>'</nowiki>역(...)이었다가 [[1967년]]에 개명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백양사까지는 꽤 멀다.
[[분류:호남선]]
==역 정보==
[[분류:전라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북이면소재지에 위치해 있으며, 여객취급을 하는 철도역 중에는 [[내장산]]과 가장 가까운 역이다.
{{리브레 맵스 마커|35.43140717412384|126.80808305740356|12|백양사역}}
==운행 계통==
{{작성중}}

2023년 9월 20일 (수) 15:45 기준 최신판

백양사
주소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양로 2-14
(사거리 587-1)
노선 호남선 148.6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개업일 1914년 11월 1일
코드 34
승강장 2면 4선

호남선의 철도역. 개업 당시에는 역이 소재한 마을 이름을 따서 '사거'역(...)이었다가 1967년에 개명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백양사까지는 꽤 멀다.

북이면소재지에 위치해 있으며, 여객취급을 하는 철도역 중에는 내장산과 가장 가까운 역이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이 구간을 경유하는 대부분의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대전조차장 방면
노령 10.9 km
백양사 목포 방면
안평 11.5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ITX-새마을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무궁화호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