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전거리1 = 0.6
|전거리1 = 0.6
|후방면1 = [[용문역|용문]]
|후방면1 = [[용문역|용문]]
|후역1 = [[양원역|양원]]
|후역1 = [[양원역 (서울)|양원]]
|후거리1 = 1.7
|후거리1 = 1.7


44번째 줄: 44번째 줄:
|전거리3 = 0.6
|전거리3 = 0.6
|후방면3 = [[경주역|경주]]
|후방면3 = [[경주역|경주]]
|후역3 = [[양원역|양원]]
|후역3 = [[양원역 (서울)|양원]]
|후거리3 = 1.7
|후거리3 = 1.7



2015년 11월 23일 (월) 19:29 판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운영주체 한국철도공사
colspan="5" class="tp_link"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상봉
0.6km

K121
1.7km
용문 방면
양원
colspan="5" class="tp_link"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경춘선
시종착역   춘천 방면
신내
중앙선
청량리 방면
상봉
0.6km
1.7km
경주 방면
양원
망우선
시종착역  
4.9km
광운대[2] 방면
광운대[1]

개요

중앙선경춘선이 분기하는 역이며, 본래는 그냥 중앙선상의 작은 간이역에 불과한 역이었으나 경춘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경춘선의 시종점이 기존의 성북역에서 이 망우역으로 변경되면서 졸지에 환승역이 되어버린 역이다. 유리궁전이 된 것은 덤. 이외에 광운대역과 망우역을 이어주는 망우선도 이 역에서 분기해 나간다. 이 선로를 통해서 하루 왕복 2편성의 수도권 전철 경춘선 열차광운대역 착발로 운행된다.

참고로 역 이름은 망우역인데 정작 이 역이 위치한 곳은 상봉동에 해당한다. 그리고 7호선쪽 상봉역의 부역명인 시외버스터미널은 이 망우역에 훨씬 더 가깝다.

광활한(...) 구내 선로

이 역의 구내 선로는 서울시내에 있는 역 치고는 꽤 많은 편에 속한다. 과거 서울로 들어오던 영동, 태백선석탄 취급을 이 역에서 하였으며, 인근에 연탄공장이 자리하여 이 석탄을 가공하여 서울 동부지역에 연탄공급을 하였던 역사가 있다. 이외에 해당 노선에서 들어오는 양회화물들도 이 역에서 처리하면서 이들 화차에 관련한 입환 및 조차작업을 위해 구내선로가 상당히 많아지게 된 것. 물론 2008년부터 화물취급은 중지되었지만 경춘선에 필요한 시설차량과 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쪽에 수용이 되지 않은 일부 차량들이 망우역 구내 선로에 유치되어 있다. 이 덕분에 환승통로의 길이가 조금 길어지게 되었다. 중앙선쪽은 역 남쪽 끝에 승강장이 있고, 경춘선쪽은 북쪽 끄트머리 부근에 승강장이 있는지라...(그러니까 상봉역 환승을 이용하도록 하자)

각주

  1. 실제 열차 운행은 상봉역을 거치며, 이문차량사업소도 들어가 있다. 다만 노선표상에서는 빠져있다.
  2. 구 성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