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노선명=(.*)\|노선거리 +|노선명=\1|노선거리))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송탄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역명    = 송탄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P162|수도권|1}}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경기도]] [[평택시]] 송탄공원로 43
|주소    = [[경기도]] [[평택시]] 송탄공원로 43
|번호    = {{역번호/한국|P162|수도권|1}}
|노선    = [[경부선]] <small>64.3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 [[1952년]] [[10월 1일]]
|개업일  = [[1952년]] [[10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br/>수도권광역본부 [[평택역|평택관리역]]
|코드     =  
|승강장  = 2면 3선
|승강장  = 2면 3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경부선]] <small>64.3 km</small>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송탄역}}<br />松炭驛 / Songtan Station


== 개요 ==
[[경기도]] [[평택시]] [[신장동 (평택)|신장동]]에 소재한 [[보통역]]이다. 인근 지명<ref>과거에는 이 일대가 '''송탄시'''였는데, [[1995년]] [[평택시]]에 통합되었다.</ref>을 따서 송탄역으로 명명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신호장으로 처음 설치되었으며, 가장 하위의 열차 일부만 정차하는 수준이어서 한동안 [[간이역|역원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기도 하였으나, 전철개통으로 정차열차가 늘고, 인근 미군기지의 [[전용철도]] 분기점으로서 화물열차 취급을 담당하게 되어 보통역이 되었다.
[[경기도]] [[평택시]] [[신장동 (평택시)|신장동]]에 소재한 [[보통역]]이다. 인근 지명<ref>과거에는 이 일대가 '''송탄시'''였는데, [[1995년]] [[평택시]]에 통합되었다.</ref>을 따서 송탄역으로 명명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신호장으로 처음 설치되었으며, 가장 하위의 열차 일부만 정차하는 수준이어서 한동안 [[간이역|역원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기도 하였으나, 전철개통으로 정차열차가 늘고, 인근 미군기지의 [[전용철도]] 분기점으로서 화물열차 취급을 담당하게 되어 보통역이 되었다.


송탄역에서 분기하는 전용철도는 시가지 가운데의 협애 구간을 지나다니고 있는데다 배선구조로 인해 송탄역 방향으로 진출시 추진운전이 필요하여, 수송원이 도보로 열차운행을 선도하여 운행해야 할 만큼 운행여건이 열악하다. 화물 취급은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송탄역에서 분기하는 전용철도는 시가지 가운데의 협애 구간을 지나다니고 있는데다 배선구조로 인해 송탄역 방향으로 진출시 추진운전이 필요하여, 수송원이 도보로 열차운행을 선도하여 운행해야 할 만큼 운행여건이 열악하다. 화물 취급은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 역 구조 ==
== 시설 ==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으로, 중간에 통과선이 있다.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으로, 중간에 통과선이 있다.


28번째 줄: 31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왼쪽 승강장=|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gray |승강장 번호=|승강장 정보=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왼쪽 승강장=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평택역|평택]]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1호선''' [[평택역|평택]]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부선]] [[서정리역|서정리]]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부선]] [[서정리역|서정리]] →
40번째 줄: 43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부선]] [[진위역|진위]]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부선]] [[진위역|진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왼쪽 승강장=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수원역|수원]] · [[구로역|구로]]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수원역|수원]] · [[구로역|구로]]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
}}
}}
53번째 줄: 56번째 줄: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가 오래전부터 입지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서 기지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지역은 빌라, 구식 주택, 상가건물이 혼합된 저층지역으로, 구릉지를 끼고 있어 지형의 굴곡이 있다.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가 오래전부터 입지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서 기지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지역은 빌라, 구식 주택, 상가건물이 혼합된 저층지역으로, 구릉지를 끼고 있어 지형의 굴곡이 있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번호={{경유 노선/번호|경부선}}|노선명=[[경부선]]|노선거리=64.3 km
|노선명=302 [[경부선]]|노선거리=64.3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진위역|진위]]|전거리=3.8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진위역|진위]]|전거리=3.8 km
|당역='''송탄'''
|당역='''송탄'''
64번째 줄: 67번째 줄: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74번째 줄: 77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경부선]]
[[분류:경부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평택시의 철도역]]
 
[[분류:평택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7.07517150713763|127.05424010753632|14|송탄역}}
{{리브레 맵스 마커|37.07517150713763|127.05424010753632|14|송탄역}}

2023년 9월 19일 (화) 11:04 기준 최신판

송탄
주소 경기도 평택시 송탄공원로 43
번호  P162 
노선 경부선 64.3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1952년 10월 1일
승강장 2면 3선

경기도 평택시 신장동에 소재한 보통역이다. 인근 지명[1]을 따서 송탄역으로 명명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신호장으로 처음 설치되었으며, 가장 하위의 열차 일부만 정차하는 수준이어서 한동안 역원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기도 하였으나, 전철개통으로 정차열차가 늘고, 인근 미군기지의 전용철도 분기점으로서 화물열차 취급을 담당하게 되어 보통역이 되었다.

송탄역에서 분기하는 전용철도는 시가지 가운데의 협애 구간을 지나다니고 있는데다 배선구조로 인해 송탄역 방향으로 진출시 추진운전이 필요하여, 수송원이 도보로 열차운행을 선도하여 운행해야 할 만큼 운행여건이 열악하다. 화물 취급은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으로, 중간에 통과선이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가 오래전부터 입지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서 기지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지역은 빌라, 구식 주택, 상가건물이 혼합된 저층지역으로, 구릉지를 끼고 있어 지형의 굴곡이 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진위 3.8 km
송탄 부산 방면
서정리 2.2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광운대 방면
 P161  진위
 P162  송탄
완행
신창 방면
 P163  서정리

각주

  1. 과거에는 이 일대가 송탄시였는데, 1995년 평택시에 통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