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의 연금술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만화 정보
{{만화 정보
|제목 = 강철의 연금술사  
|책/만화이름  = 강철의 연금술사
|원제 = 鋼の錬金術師
|원어이름    = 鋼の錬金術師
|사진 = 강철의 연금술사 일본어판 단행본 1권 표지.png
|배경색      =  
|사진설명 = 일본어판 1권 표지
|글자색      =
|작가 = [[아라카와 히로무]]
|그림        = [[파일:강철의 연금술사 일본어판 단행본 1권 표지.png|200px]]
|=  
|그림설명    = 일본어판 제1권 표지
|그림 =  
|지은이      = [[아라카와 히로무]]
|연재처 = 월간 소년 간간
|장르        = 판타지, 액션
|연재처국적 = 일본
|나라        = {{나라|일본}}
|정발 = 학산문화사
|언어        = [[일본어]]
|형태 = 잡지 연재
|출판사      = [[스퀘어 에닉스]]
|장르 = 판타지, 액션
|연재처      = [[월간 소년 간간]]
|연령 =  
|연재기간    = 2001년 ~ 2010년 (월 1회)
|연재시작 = 2001년
|권수        = 전 27권
|연재종료 = 2010년
|화수        = 전 108화
|연재주기 = 월간
|시리즈      =  
|권수 = 27권
|다음작품    =  
|미디어화 =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실사 영화
|옮긴이      =  
|링크 =  
|번역출판사  = [[학산문화사]]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
}}
《'''강철의 연금술사'''》(鋼の錬金術師)는 [[아라카와 히로무]]가 그린 [[일본]]의 [[만화]]다. 약칭은 '''하가렌'''(ハガレン). [[대한민국]]에서는 '''강연'''이라는 약칭도 사용한다. [[스퀘어 에닉스]](구 [[스퀘어]])의 만화 잡지 [[월간 소년 간간]] 2001년 8월호부터 2010년 7월호까지, 108화가 연재되어 완결되었다.
《'''강철의 연금술사'''》(鋼の錬金術師, ''FULLMETAL ALCHEMIST'')는 [[아라카와 히로무]]가 그린 [[일본]]의 [[만화]]다. 약칭은 '''하가렌'''(ハガレン). [[대한민국]]에서는 '''강연'''이라는 약칭도 사용한다. [[스퀘어 에닉스]](구 [[스퀘어]])의 만화 잡지 [[월간 소년 간간]]에서 2001년 8월호부터 2010년 7월호까지 연재되어 108화(단행본 27권)로 완결했다.


==줄거리==
==줄거리==
26번째 줄: 29번째 줄:


==등장인물==
==등장인물==
{{안내문|성우 표기는 애니메이션 기준입니다.}}
{{안내문|성우 표기는 별도의 명시가 없으면 애니메이션 기준입니다.}}


===엘릭 형제와 관계자 ===
===엘릭 형제와 관계자 ===
36번째 줄: 39번째 줄:


;반 호엔하임 (ヴァン・ホーエンハイム)
;반 호엔하임 (ヴァン・ホーエンハイム)
:{{배지|성우}} [[에바라 마사시]] {{-1|{{색|#8b008b|[2003년판]}}}} / [[이시즈카 운쇼]], [[나미카와 다이스케]] (청년 시절) {{-1|{{색|#8b008b|[2009년판]}}}}
:{{배지|성우}} [[에바라 마사시]] (2003년판) / [[이시즈카 운쇼]], [[나미카와 다이스케]] (청년 시절) (2009년판)


;트리샤 엘릭 (トリシャ・エルリック)
;트리샤 엘릭 (トリシャ・エルリック)
:{{배지|성우}} [[타카모리 요시노]], [[미츠기 유키]] (2009년판 소녀 시절)
:{{배지|성우}} [[타카모리 요시노]], [[미츠기 유키]] (2009년판 소녀 시절)
;메이슨 (メイスン)
:{{배지|성우}} [[소노베 케이이치]] {{-1|{{색|#8b008b|[2003년판]}}}} / [[사카구치 슈헤이]] {{-1|{{색|#8b008b|[2009년판]}}}}


;윈리 록벨 (ウィンリィ・ロックベル)
;윈리 록벨 (ウィンリィ・ロックベル)
:{{배지|성우}} [[토요구치 메구미]] {{-1|{{색|#8b008b|[2003년판]}}}} / [[타카모토 메구미]] {{-1|{{색|#8b008b|[2009년판]}}}}
:{{배지|성우}} [[토요구치 메구미]] (2003년판) / [[타카모토 메구미]] (2009년판)


;이즈미 커티스 (イズミ・カーティス)
;이즈미 커티스 (イズミ・カーティス)
52번째 줄: 52번째 줄:
;시그 커티스 (シグ・カーティス)
;시그 커티스 (シグ・カーティス)
:{{배지|성우}} [[사사키 세이지]]
:{{배지|성우}} [[사사키 세이지]]
;메이슨 (メイスン)
:{{배지|성우}} [[소노베 케이이치]] (2003년판) / [[사카구치 슈헤이]] (2009년판)


===군부===
===군부===
* [[로이 머스탱]]
;[[로이 머스탱]] (ロイ・マスタング)
* [[리자 호크아이]]
:{{배지|성우}} [[오카와 토오루]] (2003년판) / [[미키 신이치로]] (2009년판)
* [[쟝 하보크]]
 
* [[하이만스 브레다]]
;리자 호크아이 (リザ・ホークアイ)
* [[케인 휴리]]
:{{배지|성우}} [[네야 미치코]] (2003년판) / [[오리카사 후미코]] (2009년판)
* [[매스 휴즈]]
 
;쟝 하보크 (ジャン・ハボック)
:{{배지|성우}} [[마츠모토 야스노리]] (2003년판) / [[우에다 유지]] (2009년판)
 
;하이만스 브레다 (ハイマンス・ブレダ)
:{{배지|성우}} [[시무라 토모유키]] (2003년판) / [[사토 비이치]] (2009년판)
 
;케인 휴리 (ケイン・フュリー)
:{{배지|성우}} [[시라토리 테츠]] (2003년판) / [[카키하라 테츠야]] (2009년판)
 
;[[킹 브래들리]] (キング・ブラッドレイ)
:{{배지|성우}} [[시바타 히데카즈]], [[키우치 히데노부]]  (2009년판 청년 시절)
 
;매스 휴즈 (マース・ヒューズ)
:{{배지|성우}} [[후지와라 케이지]]
 
* [[알렉스 루이 암스트롱]]
* [[알렉스 루이 암스트롱]]
* [[올리비에 밀라 암스트롱]]
* [[올리비에 밀라 암스트롱]]
* [[킹 브래드레이]]
* [[글래먼]]
* [[글래먼]]
* [[졸프 J. 킴블리]]
* [[졸프 J. 킴블리]]
95번째 줄: 112번째 줄:
:싱 제국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연금술.
:싱 제국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연금술.


;[[호문쿨루스|{{루비|인조인간|호문쿨루스}}]] ({{루비|人造人間|ホムンクルス}})
;[[호문쿨루스|{{루비|인조인간|호문쿨루스}}]] ({{일본어=|人造人間|r=ホムンクルス}})
:연금술로 만들어낸 인조인간.
:연금술로 만들어낸 인조인간.


101번째 줄: 118번째 줄:
초기 단행본은 간간 코믹스 레이블(전 27권)로, 완전판 단행본은 간간 코믹스 디럭스 레이블(전 18권)로 출간되었다.
초기 단행본은 간간 코믹스 레이블(전 27권)로, 완전판 단행본은 간간 코믹스 디럭스 레이블(전 18권)로 출간되었다.


== 미디어 믹스 ==
== 파생 작품 ==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
{{본문|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
[[파일:FULLMETAL ALCHEMIST (2003 TV series) logo.png|200px|섬네일|2003년판 TV 시리즈 로고]]
본즈에서 [[2003년]]에 제작한 애니메이션과 [[2009년]]에 제작한 애니메이션이 있다.
애니메이션판의 제작은 [[본즈 (기업)|본즈]]에서 담당했다.
 
;[[강철의 연금술사 (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배지|방영 기간}} 2003년 10월~2004년 10월
:첫 번째 TV 시리즈. 원작의 연재를 시작한지 2년 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스토리 분량 문제로 중반부터 오리지널 전개로 진행했는데, 나름대로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 매우 고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정식 수입해 더빙판이 방영되었으며 그 완성도가 높아 원작을 알리는데 일조했다는 평. 아래의 FA판과의 구분을 위해 한국에선 보통 '''구강철'''로 부른다.
 
;[[극장판 강철의 연금술사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배지|개봉일}} 2005년 7월 23일
:첫 번째 애니메이션 영화. 2003년판 TV 시리즈의 속편이자 완결편에 해당된다.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배지|방영 기간}} 2009년 4월~2010년 7월
:두 번째 TV 시리즈. 위의 구강철과 구분하기 위해 한국에선 '''신강철''' 혹은 '''FA'''라 부른다. 참고로 일본외 국가 수출판은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라는 접미사를 붙혔다. 구강철과 달리 원작이 완결을 향해 나아갈 즈음에 제작을 시작했기 때문에 모든 스토리를 원작 재현에 집중했다는 게 특징.
 
;[[강철의 연금술사 미로스의 성스러운 별]]
:{{배지|개봉일}} 2011년 7월 2일
:두 번째 애니메이션 영화. 기본설정은 신강철을 기본으로 하지만, 스토리 자체는 오리지널이며 캐릭터 디자인이 크게 달라졌다.


=== 실사 영화 ===
=== 실사 영화 ===
115번째 줄: 148번째 줄:
=== 소설 ===
=== 소설 ===
{{빈 문단}}
{{빈 문단}}
== 기타 ==
* 2010년대의 한국의 동인 창작계에서는 [[2차 창작]]을 가리켜 '연성'이라는 표현을 곧잘 쓰는데, 이는 《강철의 연금술사》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 <small>'''(일본어)'''</small> [https://magazine.jp.square-enix.com/gangan/hagaren/ 강철의 연금술사 | SQUARE ENIX]
* {{언어링크|ja}} [https://magazine.jp.square-enix.com/gangan/hagaren/ 강철의 연금술사 | SQUARE ENIX]
* <small>'''(일본어)'''</small> {{트위터|gangan_hagaren|강철의 연금술사}} (@gangan_hagaren)
* {{언어링크|ja}} {{트위터|gangan_hagaren|강철의 연금술사}} (@gangan_hagaren)


{{각주}}
{{각주}}
[[분류:강철의 연금술사| ]]
[[분류:강철의 연금술사| ]]
[[분류:2001년 만화]]
[[분류:2001년 만화]]

2023년 6월 16일 (금) 19:09 기준 최신판

강철의 연금술사
鋼の錬金術師
강철의 연금술사 일본어판 단행본 1권 표지.png
일본어판 제1권 표지
작품 정보
작가 아라카와 히로무
장르 판타지, 액션
나라 일본
언어 일본어
출판사 스퀘어 에닉스
연재처 월간 소년 간간
연재기간 2001년 ~ 2010년 (월 1회)
권수 전 27권
화수 전 108화
한국어판 정보
출판사 학산문화사

강철의 연금술사》(鋼の錬金術師, FULLMETAL ALCHEMIST)는 아라카와 히로무가 그린 일본만화다. 약칭은 하가렌(ハガレン). 대한민국에서는 강연이라는 약칭도 사용한다. 스퀘어 에닉스(구 스퀘어)의 만화 잡지 월간 소년 간간에서 2001년 8월호부터 2010년 7월호까지 연재되어 전 108화(단행본 27권)로 완결했다.

줄거리[편집 | 원본 편집]

에드워드 엘릭알폰스 엘릭은 죽은 어머니 트리샤 엘릭을 연금술로 살리려다 에드워드는 한쪽 팔과 다리를 잃게 되고 알폰스는 육체를 잃게 된다. 형제는 잃어버린 몸을 되찾기 위해 현자의 돌을 찾는 여행을 떠나고 그 과정에서 거대한 음모에 얽히게 된다.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엘릭 형제와 관계자[편집 | 원본 편집]

에드워드 엘릭 (エドワード・エルリック)
성우 박로미
알폰스 엘릭 (アルフォンス・エルリック)
성우 쿠기미야 리에
반 호엔하임 (ヴァン・ホーエンハイム)
성우 에바라 마사시 (2003년판) / 이시즈카 운쇼, 나미카와 다이스케 (청년 시절) (2009년판)
트리샤 엘릭 (トリシャ・エルリック)
성우 타카모리 요시노, 미츠기 유키 (2009년판 소녀 시절)
윈리 록벨 (ウィンリィ・ロックベル)
성우 토요구치 메구미 (2003년판) / 타카모토 메구미 (2009년판)
이즈미 커티스 (イズミ・カーティス)
성우 츠다 쇼코
시그 커티스 (シグ・カーティス)
성우 사사키 세이지
메이슨 (メイスン)
성우 소노베 케이이치 (2003년판) / 사카구치 슈헤이 (2009년판)

군부[편집 | 원본 편집]

로이 머스탱 (ロイ・マスタング)
성우 오카와 토오루 (2003년판) / 미키 신이치로 (2009년판)
리자 호크아이 (リザ・ホークアイ)
성우 네야 미치코 (2003년판) / 오리카사 후미코 (2009년판)
쟝 하보크 (ジャン・ハボック)
성우 마츠모토 야스노리 (2003년판) / 우에다 유지 (2009년판)
하이만스 브레다 (ハイマンス・ブレダ)
성우 시무라 토모유키 (2003년판) / 사토 비이치 (2009년판)
케인 휴리 (ケイン・フュリー)
성우 시라토리 테츠 (2003년판) / 카키하라 테츠야 (2009년판)
킹 브래들리 (キング・ブラッドレイ)
성우 시바타 히데카즈, 키우치 히데노부 (2009년판 청년 시절)
매스 휴즈 (マース・ヒューズ)
성우 후지와라 케이지

호문쿨루스[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용어[편집 | 원본 편집]

연금술 (錬金術)
극중의 무대에서 발달한 기술 및 학문. 물질의 형상 및 구성을 변환하는 기술로, 순식간에 돌벽을 세우거나 허공에서 불꽃을 일으키는 등 다른 작품의 마법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연단술 (錬丹術)
싱 제국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연금술.
인조인간(호문쿨루스) (人造人間 (ホムンクルス))
연금술로 만들어낸 인조인간.

서적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초기 단행본은 간간 코믹스 레이블(전 27권)로, 완전판 단행본은 간간 코믹스 디럭스 레이블(전 18권)로 출간되었다.

파생 작품[편집 | 원본 편집]

애니메이션[편집 | 원본 편집]

2003년판 TV 시리즈 로고

애니메이션판의 제작은 본즈에서 담당했다.

강철의 연금술사
방영 기간 2003년 10월~2004년 10월
첫 번째 TV 시리즈. 원작의 연재를 시작한지 2년 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스토리 분량 문제로 중반부터 오리지널 전개로 진행했는데, 나름대로 깔끔하게 마무리 되어 매우 고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정식 수입해 더빙판이 방영되었으며 그 완성도가 높아 원작을 알리는데 일조했다는 평. 아래의 FA판과의 구분을 위해 한국에선 보통 구강철로 부른다.
극장판 강철의 연금술사 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개봉일 2005년 7월 23일
첫 번째 애니메이션 영화. 2003년판 TV 시리즈의 속편이자 완결편에 해당된다.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방영 기간 2009년 4월~2010년 7월
두 번째 TV 시리즈. 위의 구강철과 구분하기 위해 한국에선 신강철 혹은 FA라 부른다. 참고로 일본외 국가 수출판은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라는 접미사를 붙혔다. 구강철과 달리 원작이 완결을 향해 나아갈 즈음에 제작을 시작했기 때문에 모든 스토리를 원작 재현에 집중했다는 게 특징.
강철의 연금술사 미로스의 성스러운 별
개봉일 2011년 7월 2일
두 번째 애니메이션 영화. 기본설정은 신강철을 기본으로 하지만, 스토리 자체는 오리지널이며 캐릭터 디자인이 크게 달라졌다.

실사 영화[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게임[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소설[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2010년대의 한국의 동인 창작계에서는 2차 창작을 가리켜 '연성'이라는 표현을 곧잘 쓰는데, 이는 《강철의 연금술사》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