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343번째 줄: 343번째 줄:


==2010년대==
==2010년대==
*[[2010년]]
**[[1월 2일]] : [[신동화물선]], [[부강화물선]] 개통
**[[1월 21일]] : [[경부선]] [[당정역]] 개업
**[[2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오금 연장([[수서역]] ~ [[오금역]]) 개통
**[[2월 24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남포역, 중앙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부전역, 연산역, 명륜역, 장전역, 구서역, 남산역, 노포역 15개역에서 '동' 삭제 및 교대역과 부산대역을 '~대앞역'에서 '~대역'으로 개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연산동역을 [[연산역]]으로 개칭
**[[2월 26일]]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개업
**[[6월 24일]] : [[신광양항선]] ([[초남역]] ~ [[신광양항역]]) 개통
**[[8월 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내역을 [[잠실나루역]]으로 개칭
**[[8월 20일]] : 청량리역 환승 통로 개통,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롯데백화점 민자역사 준공
**[[11월 1일]] :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개통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 개업
**[[11월 30일]] : [[부산신항선]] 복선, 비전철 개통([[진례역]]과 함께 개통)
**[[12월 15일]] : 경전선 [[낙동강역]] ~ [[마산역]] 복선전철화 및 낙동강 - [[삼랑진역]] 전철화(단선유지), [[미전선]] 복선전철화 완료, 마산행 [[KTX]] 운행 개시, 이설되기 전 [[경전선]] 구간 중 [[창원역]] ~ [[덕산역]] 구간을 [[덕산선]]으로 개칭(나머지 구간 폐선)
**[[12월 21일]] : [[경춘선]] 복선전철화 완료 및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이에 따른 [[광운대역|성북역]](현 광운대역) ~ [[퇴계원역]] 구간 폐선 및. [[신공덕역]], [[화랑대역]] 폐지. [[중앙선]] [[상봉역]], [[오빈역]] 개업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역]] 개통([[공덕역]] 제외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연장 운행. 직통열차도 이 때 정차역이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 - 인천국제공항으로 바뀜
*[[2011년]]
**[[3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 대한민국 최초의 유료 [[경전철]]이다.
**[[3월 31일]] : [[중앙선]] [[제천역]] ~ [[도담역]] 복선전철화 완료
**[[4월 5일]] : [[전라선]] [[신풍역 (여수)|신풍역]], [[미평역]], [[만성역]] 폐지
**[[4월 7일]] : [[대구선]] 복선전철화 사업 착공
**[[5월 9일]] : [[전라선]] [[송천역]] 폐지
**[[5월 13일]] : [[전라선]] [[춘포역]], [[아중역]] 폐지
**[[5월 18일]] : [[경전선]] · [[덕산선]] [[용강역]] 개업
**[[5월 25일]] : [[경전선]] · [[전경삼각선]] [[평화역]] 개업
**[[5월 28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단선 신선 개통 및 [[광양역]] 이전
**[[6월 29일]] : 집중호우로 이설 공사가 진행되던 [[경원선]] [[월계역]] ~ [[녹천역]]구간 주변의 산사태로 사상자 발생
**[[7월 28일]] : 집중호우로 [[경원선]]의 초성철교가 유실이 되어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됨
**[[9월 16일]] :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9월 9일]]부터 8일간 무료시승)
**[[10월 1일]] : [[전라선]]의 여수역을 여수엑스포역으로 개칭
**[[10월 4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시간표 개정 및 6량 1편성으로 감축
**[[10월 5일]] : [[전라선]] [[동산역]] ~ [[여천역]] 복선전철화 완료 및 [[익산역]] ~ 동산역, 여천 ~ [[여수엑스포역]] 단선전철화 완료 및 여수행 [[KTX]] 운행 개시
**[[10월 28일]] : [[신분당선]]([[강남역]] ~ [[정자역]]) 개통
**[[10월 31일]] : [[전경삼각선]] 개통
**[[11월 21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복선화 완료
**[[11월 30일]] : [[전라선]] [[익산역]] ~ [[동산역]] 복선화 완료
**[[12월 1일]] : [[부산신항선]] 전철화 완료
**[[12월 21일]] : [[중앙선]] [[간현역]] 폐지
**[[12월 28일]] : [[분당선]] [[죽전역]] ~ [[기흥역]] 개통 및 지상 [[보정역]] 폐역(지하로 이전) 및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개칭
*[[2012년]]
**[[2월 27일]]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급행열차 마지막 운행
**[[2월 28일]] : [[경춘선]]에 [[ITX-청춘]] 운행 개시
**[[3월 21일]] : [[경원선]](동두천-신탄리) [[통근열차]] 재개
**[[6월 21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전철화 완료
**[[6월 27일]] : [[영동선]] 스위치백 구간 이설([[솔안터널]] 개통) 및 이에 따른 [[통리역]], [[심포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폐지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역]] ~ [[송도역]] 개통 및 같은 구간 [[수도권 전철 수인선]] 개통. [[안산선]] 공단역을 [[초지역]]으로 개칭
**[[7월 1일]] : [[의정부경전철]] 개통
**[[9월 19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사월역]] ~ 영남대역) 개통
**[[9월 25일]] : [[중앙선]] [[용문역 (양평)|용문역]] ~ [[서원주역]]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및 [[서원주역]] 개업
**[[10월 6일]] : [[분당선]] [[왕십리역]] ~ [[선릉역]] 개통
**[[10월 23일]] : [[경전선]] [[마산역]] ~ [[진주역]] 복선화 완료, 및 이에 따른 마산역 ~ 진주역 구간이 이설되어 [[산인역]], [[원북역]], [[평촌역 (진주)|평촌역]], [[진주수목원역]], [[진성역]], [[갈촌역]], [[남문산역]], [[개양역]] 폐지
**[[10월 27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 연장([[온수역]] - [[부평구청역]]) 개통
**[[11월 20일]] : [[경원선]] [[신탄리역]] ~ [[백마고지역]] 구간 복원 및 [[통근열차]] 연장 운행
**[[12월 1일]] : [[분당선]] [[기흥역]] ~ [[망포역]] 개통
**[[12월 5일]] : [[경전선]] [[마산역]] ~ [[진주역]] 전철화 완료. 진주행 [[KTX]] 운행 개시
**[[12월 13일]] : 인천항 인입 화물삼각선 개통(화물열차 운행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 및 [[수인선]] 재개통 대비)
**[[12월 15일]] : [[용산선]] [[공덕역]] ~ [[가좌역]] 개통, [[경춘선]] [[별내역]] 개업
*[[2013년]]
**[[1월 1일]] : [[신항남선]] 개통
**[[1월 31일]] : [[신항북선]] 개통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개칭
**[[3월 28일]] : [[영주댐]] 건설로 인하여 [[중앙선]]의 수몰될 구간인 [[문수역]] ~ [[마사역]] 구간 이설 및 [[승문역]], [[평은역]] 폐지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운행 개시
**[[4월 26일]] : [[용인경전철]] 개통
**[[9월 27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11월 4일]] : [[6월 18일]]에 시작하여 [[9월 30일]]에 마친 [[망우선]] 개량 공사 완료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 주중 1일 2회에 한하여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
**[[11월 14일]] : [[태백선]] [[제천역|제천]] ~ [[쌍용역|쌍용]]간 복선전철사업 완료, 및 이에 따른  제천역 ~ [[입석리역]] 구간이 이설되어 [[장락역]], [[송학역]] 폐지
**[[11월 20일]] : [[중앙선]] 구둔역을 [[일신역]]으로, 판대역을 [[삼산역]]으로 개칭
**[[11월 30일]] : [[분당선]] [[망포역]] ~ [[수원역]] 개통, [[경춘선]] [[천마산역]] 개업
**[[12월 26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미아삼거리역을 [[미아사거리역]]으로 개칭
**[[12월 28일]] : [[경춘선]] [[신내역]] 개업
*[[2014년]]
**[[2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서문시장역을 신남역으로 개칭
**[[4월 15일]] : [[영동선]] [[비동역]] 개업
**[[4월 20일]] : [[스카이큐브]](순천만 PRT) 개통
**[[5월 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239편성과 212편성이 추돌 사고가 발생
**[[5월 4일]] : [[경의선]]([[문산역]] ~ [[도라산역]]) [[통근열차]] 폐지. 대신 [[서울역]] ~ [[도라산역]]을 다니는 [[평화열차]]가 운행 됨
**[[5월 9일]] : 광역 철도인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일반철도로 변경되어, 인천국제공항선과 용유기지선으로 분리 등재됨<ref>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40호</ref>
**[[5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개업
**[[6월 21일]] : [[인천국제공항선]] [[청라국제도시역]] 개업
**[[6월 30일]] : [[수색직결선]] 개통으로 [[KTX]] 일부 열차가 수색직결선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선]]의 [[검암역]], [[인천국제공항역]]에 정차한다.
**[[7월 4일]] :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 개업
**[[8월 1일]] : [[경원선]] [[평화열차]]([[서울역]] ~ [[백마고지역]]) 운행 개시
**[[8월 2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역구간 급행열차
**[[9월 15일]] : [[원주-강릉선]]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시행
**[[10월 25일]] : [[경의선]] [[강매역]] 개업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 연장([[부평구청역]] - 석남역) 착공
**[[11월 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201편성) [[2015년]] [[5월 31일]]까지 운행
**[[12월 5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을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개칭
**[[12월 27일]] : [[용산선]] [[공덕역]] ~ [[용산역 (서울)|용산역]] 구간 개통. 이와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및 시간표 개정, [[수인선]] [[달월역]], [[일산선]] [[원흥역]] 개업
*[[2015년]]
**[[1월 1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770편성) [[2016년]] [[7월 10일]]까지 운행
**[[1월 22일]] :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개시
**[[2월 1일]] : [[진해선]] 정기 여객열차 운행 중지.
**[[2월 5일]] : [[서해금빛열차]] 운행 개시
**[[2월 12일]] : [[부산-김해경전철]] 봉황(전하)역을 [[봉황역|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으로,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을 [[수로왕릉역|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개칭
**[[2월 24일]] : [[평택선]], [[평택삼각선]], [[평택직결선]] 개통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 ~ [[종합경기장역 (서울)|종합경기장역]]) 개통
**[[4월 1일]] : [[광주역]]행 [[KTX]] 운행 종료
**[[4월 2일]]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오송역]] ~ [[광주송정역]]), [[동해선]]([[모량역]] ~ [[포항역]]), [[건천연결선]] 개통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8월 1일]] : [[경부고속선]]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및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이 경부고속선 본선으로 편입
**[[9월 24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증산역 (양산)|증산역]] 개통
**[[10월 31일]] : [[경의선]] [[야당역]] 개업, [[노량진역]] 환승 통로 개통
**[[12월 24]] : [[부산-김해경전철]] 코코몽 열차와 터닝메카드 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월 31일까지 운행
*[[2016년]]
**[[1월 30일]] : [[신분당선]] 남부 연장([[정자역]] ~ [[광교역]]) 개통 (예정)


{{주석}}
{{주석}}
{{연표}}
{{연표}}

2016년 1월 26일 (화) 00:59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틀:날짜/출력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19.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240호

틀: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