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두 판 사이의 차이

44번째 줄: 44번째 줄:
*[[중화인민공화국 해군]]
*[[중화인민공화국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 : 법적으로는 군대가 아니지만 아무도 군대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일본 [[해상자위대]] : 법적으로는 군대가 아니지만 아무도 군대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참조==
*[[해전]]


{{주석}}
{{주석}}
[[분류:군사]][[분류:해군]]
[[분류:군사]][[분류:해군]]

2016년 9월 27일 (화) 18:32 판

틀:군사 관련 정보

해군(海軍, 영어: Navy)은 바다를 대상으로 하여 해상 전투 및 상륙 작전을 위한 작전과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성된 군종이다. 물론 바다가 없는 내륙국에도 해군이라고 하는 군대가 있는데, 이 경우 이나 호수를 그 작전 대상으로 한다. 호군?걍 수군이겠지

역사

고대

인류가 바다에 진출하여 해양활동을 하기 시작하면서 해군의 역사도 같이 시작되었다 볼 수 있다. 역사에 최초의 항해자로 남은 것은 고대 페니키아인들인데 이미 기원전 10세기 이전에 지중해 연안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해적으로부터의 물자 보호를 위해 배에 무장을 갖추고 다녔었다. 사실 이 당시는 해군과 해적의 구분이 모호하였으며, 보통의 배들이라고 하여도 연안에서 활동하는 어선이 아닌 다음에는 자위용 무장 정도는 가지고 다닐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던 것. 결국 민간인과 해군의 구분 자체가 되지 않는 상황이었으며, 평소에는 민간인, 싸움나면 해군이 되는 체제였다. 즉 바다는 평시에는 교역의 장소이지만 유사시에는 언제든지 전쟁터가 될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

그나마 해군이라는 별도의 군종으로 구별된 존재가 등장하는 것은 그리스와 페르시아간의 전쟁인데 이 당시 전투 전용의 선박을 건설하고 여기에 탑승하는 군대를 둔 것이 해군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중세

근대

현대

거함거포주의

러일전쟁 당시의 쓰시마 해전의 결과 각국의 해군은 자신들 함포의 화력을 집중하여 상대방 함선을 빠른 시간 내에 격멸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이후 영국에서 등장한 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인해 주력 전함의 공격력과 방어력에 집중하는 함선 건조사상이 대두되게 되었고, 이어 상대보다 더 크고 아름다운 전함에 더 강력한 함포를 장착하면 해군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사상이 대두되게 되었으며, 이어 드레드노트급을 상회하는 슈퍼드레드노트급 전함들까지 양산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해군

해양 전략

국가목표를 달성하고 국가 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평시 및 전시에 국가의 해양력을 운용하고 해양을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해군 전략이 필요하게 되며, 해양 전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군력을 운용하게 된다.

해군의 임무

해군은 해양에서의 활동을 전제로 하며, 이를 위한 도구를 보유한 무력집단이라 할 수 있으며, 평화시에는 정치적인 의미와 함께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 이를 위하여 평화시에는 정치적,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 이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며, 전시에는 적의 해로 사용을 막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는 것이 해군의 주요 임무라 할 수 있다.

  1. 제해권 장악을 통한 적 해상전력 활동의 억제
  2. 본토 해안에 대한 적 상륙병력의 상륙 억제(상륙단계가 아닌 전력투사 전 단계를 의미한다)
  3. 시레인 보호를 통한 무역 및 보급로의 안전 확보
  4. 국지분쟁의 확대 방지나 국지분쟁의 해결
  5. 해외 거주중인 자국 민간인들의 보호 및 탈출수단 제공
  6. 적 해안에 대한 전력투사(상륙 등을 포함)
  7. 비대칭 전력을 통한 전쟁억지 및 통상파괴 기능

해양통제권

  • control of the sea

제해권(command of the sea)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제해권이 해양통제권보다는 좀 더 강한 의미로 이해된다. 해양통제권은 국가가 자국의 경제 또는 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해양 사용을 확보하고 적국에 대해서는 그러한 해양 사용을 거부한다는 거부하는 상태를 말한다. 즉 해군의 역할은 이 해양통제권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이 목표가 되며, 이를 위하여 함대결전, 현존함대함대봉쇄라는 전략이 사용되고 있다.

각국의 해군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