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올바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인종, 성별, 종교, 문화, 성적 지향, 장애, 기타 개인의 정체성 등에 [[차별]]이 개입되지 않은 표현 및 서술을 쓰자는 운동이다. 본래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나 특히 인종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미국]] 등에서 인종차별 문제에 대항하고자 시작돼 세계로 확산되었다.
인종, 성별, 종교, 문화, 성적 지향, 장애, 기타 개인의 정체성 등에 [[억압]], [[차별]. [[혐오]]를 반대하는 운동이다. 본래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나 특히 인종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미국]] 등에서 인종차별 문제에 대항하고자 시작돼 세계로 확산되었다.


PC 운동의 기저가 되는 이론 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언어 상대성'''(Linguistic relativity)<ref>이 이론을 주장한 언어학자의 이름을 딴 '''사피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이라고도 불린다.</ref>이 있다. 언어 상대성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되는데,
PC 운동의 기저가 되는 이론 중 '''언어 상대성'''(Linguistic relativity)<ref>이 이론을 주장한 언어학자의 이름을 딴 '''사피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이라고도 불린다.</ref>이 있다. 언어 상대성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되는데,
* '''강한 정의''' (Strong): 언어는 사고를 결정하며, 언어적 분류는 인식적 분류를 통제하고 결정한다.
* '''강한 정의''' (Strong): 언어는 사고를 결정하며, 언어적 분류는 인식적 분류를 통제하고 결정한다.
* '''약한 정의''' (Weak): 언어적 분류 및 그 사용은 인간과 생각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 '''약한 정의''' (Weak): 언어적 분류 및 그 사용은 인간과 생각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2019년 2월 17일 (일) 18:34 판

정치적 올바름
Political Correctness (PC)

개요

인종, 성별, 종교, 문화, 성적 지향, 장애, 기타 개인의 정체성 등에 억압, [[차별]. 혐오를 반대하는 운동이다. 본래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나 특히 인종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미국 등에서 인종차별 문제에 대항하고자 시작돼 세계로 확산되었다.

PC 운동의 기저가 되는 이론 중 언어 상대성(Linguistic relativity)[1]이 있다. 언어 상대성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되는데,

  • 강한 정의 (Strong): 언어는 사고를 결정하며, 언어적 분류는 인식적 분류를 통제하고 결정한다.
  • 약한 정의 (Weak): 언어적 분류 및 그 사용은 인간과 생각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와 같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나, 어느 쪽도 인간의 사고 및 행동 양식에 언어가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다만 모든 PC 운동이 이 이론에서만 출발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오해

SJW는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하는 집단이다

국내에서는 나무위키, 디시위키 등지에서 정치적 올바름이 역차별 정당화나 정체성 정치와 동의어로 잘못 쓰이고 있으나 이는 SJW를 정치적 올바름을 내세운 집단이라고 오해한 결과이다.

정치적 올바름은 물론 소수자를 보호하기 위해 나온 개념임에도 맞으나 기본적으로 모든 인종, 성별, 종교, 문화, 성적 지향, 장애, 정체성 등으로 타자화, 범주화, 차별적인 단어나 언행들을 시정하기 위한 운동이다. 즉 요약하자면 차별적 언행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다.

사실 한국의 트페미수준에 불과한 SJW가 아닌 공적으로 논의되는 PC나 원칙적으로는 정치적 올바름은 백인, 남성, 다수자에게도 적용이 된다. 게다가 다수자적 정체성이 소수자적 정체성과 중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예를들면 남자는 강해야 하며 절대 울면 안된다는 발언을 상대적으로 소수자인 여성이 했더라도 분명히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성차별적 발언이며, 서구권에서 백인들을 스테레오타입화 하거나 백인빈민등을 화이트 트래쉬라고 부르며 멸시하는 것도 빈민이라는 사회적 약자 집단에 대한 차별적 발언이기에 정치적으로 올바르다고는 볼 수 없는 발언이다.[2] 즉 극우파들의 안티PC주의 선동과 달리 북미 SJW들이 정치적 올바름을 지들 꼴리는데로 해석한 것에 불과하다. 다만 아무리대로 차별은 주로 사회적 약자들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소수자 관련 정치적 올바름이 더 많이 논의될 수밖에 없다.

근래 정치적 올바름이란 개념을 왜곡시킨 SJW와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혐오를 조장하는 대안우파가 크게 성장해 충돌하는 이유는 자배층이 피지배층의 분열을 조장해 관심을 돌리기 위한 분할통치의 일종이다.[3]

사실 PC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유럽권에서는 소수자라는 개념 자체부터가 약자와 비슷하거나 아얘 동일한 개념으로 쓰인다. 그렇기에 사회적 소수자라는 개념에 빈민계층도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으나 미국권에서는 이론적으로는 포함시켜도 소수자의 개념에서 백인 빈민들을 제외시키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독일 등 유럽 선진국에서는 백인 빈민들이 인종차별적이고 극우적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빈민에 대해 차별적, 범주화적인 발언으로 간주하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기에 SJW는 PC 근본주의가 아니라 오히려 PC에 반하는 측면이 상당하다.

정치적 올바름=정체성 정치?

정체성 정치는 PC와 동의어는 커녕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니다. 개인주의 성향의 신좌파는 다수자의 정체성정치뿐만 아니라 소수자의 정체성정치도 집단의 특성으로만 사람을 판단한다고 비판하고 개인의 특성을 경시하는 것은 언PC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체성 정치를 지향하는 LGBT단체 등 일부 소수 집단이 자신의 집단에 대한 차별발언을 강력하게 없앨 것을 주장하는 것이 PC라고 해서 나무위키마냥 정체성 정치와 동의어로 쓰는 것은 대안우파적인 레퍼토릭이다.

정체성 정치에 비판적 시각을 갖더라도 PC를 추구할수 있다.[4][5]

비판 및 의견

앞서 말한 언어 상대성 개념이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즉, 언어와 개념이 일치하지 않으며, 개념이 선행하기 때문에 단순히 언어를 바꾸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비판이 있다. 아무리 정치적으로 올바른 새 어휘를 찾아다 붙이더라도 그 완곡 표현 역시 연상에 물들어 오염되기 때문에 금방 PC하지 않아지고 단어 외의 의미를 띠게 되기 때문이다.[6]

언어 상대성은 현재 주류 인지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언어는 사고의 흔적일 뿐, 세계를 규정할 수 없다."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데, 특히 미국의 인지과학자 스티븐 핑커는 사람이 각자의 모국어로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자언언어에 선행하는 메타언어인 '사고의 언어(language of thought)'로 사고하기 때문에, 사람의 생각은 자연언어와 독립적이라고 보고 있다.[7]

최근 들어서는 단어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표현, 그리고 나아가 글의 서술 자체를 변경하는 쪽으로 흐름이 맞춰지며 좀 덜한 편이지만, 우회 표현에 대한 선택도 잘못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아메리카 원주민(Native American) 같은 표현은 과학적 사실과는 좀 동떨어질 뿐더러, 당사자들을 대상으로도 별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8] 또한 아프리카계 미국인(African American) 같은 표현은 특성에 대한 '오염'적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백인과 흑인이 결혼하는 경우, 혈통상 아프리카계가 되는데, 이들을 모두 묶어버리기 때문. 진화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이를 밈적 우성이라고 비판하고 있다.[9]

그러나 단어의 순화에 대한 비판의 경우, 단어 자체만의 의미만을 가지고 비판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PC 운동이 지향하는 단어 자체만의 교체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전술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등의 언급에 대해서도, 사실 인종을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는 자리에서 인종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든가 하는 사례가 상당한 편이기에, 엄밀한 의미에서 이러한 단어에 대한 비판은 반드시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비판이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차별성 언급의 불필요성 강조하게 되는 측면에서 경우 따라서는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지지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극좌파들은 기득권층의 자기 옹호이며, 보통사람에 대한 부정이라면서 비판하고 극우파들은 PC 때문에 소수자에 대한 어떤 혜택도 역차별이라고 비판 하지만 이들같은 극단주의자들의 입장에 대해서는 걸러낼 필요가 있다.[10] 근데 국내에서는 이런 극우 극좌적인 헛소리들이 북미 이상으로 큰 영향을 끼친다.

예시

언어 순화

  • 성 구분 어휘, 혹은 문법적으로 남성적으로 명명된 어휘들에 대한 조정[11]
    • steward, stewardess 등의 성 구분 어휘를 flight attendant 등의 중립 어휘로 조정
    • -man으로 끝나는 명칭(e.g. fireman, policeman, chairman): firefighter, police officer, chairperson 등의 중립적 용어로 수정
  • 인종 구분을 피부의 색상 표현에서 기인한 어휘가 아닌 혈계 중심 어휘들로 변경
    • Black이나 White 대신 개별 인종 등의 우회 표현을 사용
  • 인종, 성별, 성지향성, 등에 대해 비속어나 헤이트 스피치 금지

영화 속 차별 테스트[12]

  • 벡델 테스트[13]
    • 이름 있는 여성이 2명 이상 등장하는가.
    • 두 여성이 서로 대화를 하는가.
    • 대화의 내용이 남성과 관련 없는가.
  • 비토 루소 테스트[14]
    •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등장
    • 이들을 성적 정체성으로만 규정하지 않고, 플롯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함.

같이 보기

각주

  1. 이 이론을 주장한 언어학자의 이름을 딴 사피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이라고도 불린다.
  2. 사실 화이트 트래쉬라는 단어도 사실 역사적으로 보면 백인우월주의를 내제한 발언이기도 하다. http://newspeppermint.com/2018/09/02/white-trash-ok/
  3. 이는 사회적으로 극도로 차별받는 소수자들에게 백인빈민들을 가리키며 "‘이것 봐, 나는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야, 저 아랫동네에 사는 이가 인종차별주의자지. N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쓰고, 남부기를 트럭에 꽂고 다니는 거, 저게 진짜 인종주의라고.'” 이런식으로 선동하며 경제적으로 소수자이나 백인남성 같은 다수자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백인들에게는 "저것 봐봐, SJW들이 늬들 역차별 조장해서 늬들 이렇게 힘들게 사는 거라니까?" 이런식으로 관심돌리기를 하는 것이다.
  4. 이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사례가 서유럽의 중도우파, 중도좌파들과 신좌파 의제를 수용한 사회주의자들이다. 그들은 페미니즘을 지향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슬람주의, 퀴어민족주의, 레디컬 페미니즘, 흑인우월주의, 종교근본주의와 타협한 다문화주의에는 부정적이지만 (모두에게 적용되는) 정치적 올바름과 (소수집단에 대한) 헤이트스피치 규제 자체는 적극 수용한다.
  5. 극좌는 정치적 올바름까지 부정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포함하지 않는다.
  6. 스티븐 핑커 「빈 서판」(사이언스 북스),김한영 역 P.377
  7. http://archive.is/db8wK
  8. http://www.infoplease.com/spot/aihmterms.html
  9. 리처드 도킨스. 자료조사 옌 웡 「조상 이야기」(까치),이한음 역 P 445
  10. 사람들은 좌파라면 모두 PC를 옹호 한다고 착각하는데 사실 극좌파들은 이에 대해 거부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외려 인권의식이 높은 선진국에서는 차라리 중도우파들이 더 수용한다.
  11. 참고로 한국에서는 ‘여배우’, ‘여경’이라는 단어 자체가 성 차별적인 표현이라고 비판이 있다.
  12. 인공지능, 몰랐던 ‘영화 속 배역 성차별’도 콕 찍어낸다, 한겨례, 2017년 03월 20일
  13. 한국 영화속 여성의 지위를 보여주는 6개의 숫자, 허핑턴포스트, 2015년 12월 30일
  14. http://news.maxmovie.com/243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