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강릉 전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0번째 줄: 40번째 줄:
26일 북한군이 도하공격을 시도하였으나 한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였으며, '''오히려 그날 밤 한국군이 북쪽으로 도하해 주문진 공격의 발판을 위한 천마봉을 점거하였다'''. 한국군은 27일 05:00에 주문진을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04:00에 북한군이 선제공격을 감행, 포격을 견디지 못한 한국군은 분산되어 대관령으로 철수하였다.
26일 북한군이 도하공격을 시도하였으나 한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였으며, '''오히려 그날 밤 한국군이 북쪽으로 도하해 주문진 공격의 발판을 위한 천마봉을 점거하였다'''. 한국군은 27일 05:00에 주문진을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04:00에 북한군이 선제공격을 감행, 포격을 견디지 못한 한국군은 분산되어 대관령으로 철수하였다.


== 전투 ==
== 전투전 상황 ==
== 전투전 상황 ==
=== 북한군 ===
=== 북한군 ===

2016년 6월 9일 (목) 15:34 판

틀:학술

본 문서는 『6.25전쟁사 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전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 ISSN 1739-2705
{{{전쟁이름}}}
군사 충돌 정보
날짜 1950년 6월 25일 ~ 27일
결과 북한의 승리
교전단체
{{{단체1}}} {{{단체2}}}
김광협 소장
오백룡 소장
박정덕 대좌
이성가 대령
고근홍 중령

개요

양양-강릉 전투는 북한 제1경비여단을 상대로 제8사단 제10연대 주축의 한국군이 6월 27일 대관령으로 철수하기 전까지 치룬 전투이다. 제10연대는 진흑동에서 동해안에 이르는 26km의 38도선을 단독으로 방어하고 있었다. 동해안 해안선 일대를 제외하면 방어선 중앙에 태백산맥이 뻗어있는 산악지대로 동서가 구별되고 교통이 제한되었다.

6월 25일 북한군의 기습공격을 받은 한국군 제10연대는 사전의 계획에 의한 전투배치도 해보지 못하고 각 부대간 통신마저 두절되어 분산되었다. 철수한 병력을 수습한 제10연대는 대대 주저항선인 화상천에서 북한군을 저지하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사단 주저항선인 연곡천까지 철수하게 되었다.

26일 북한군이 도하공격을 시도하였으나 한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였으며, 오히려 그날 밤 한국군이 북쪽으로 도하해 주문진 공격의 발판을 위한 천마봉을 점거하였다. 한국군은 27일 05:00에 주문진을 공격하고자 하였으나 04:00에 북한군이 선제공격을 감행, 포격을 견디지 못한 한국군은 분산되어 대관령으로 철수하였다.

전투전 상황

북한군

북한군 제1경비여단은 전투대형을 2개 제대로 편성하고 주문진-강릉 축선에 주공을 지향했다. 제1제대는 경비여단 소속 7개 보병대대로 편성되었고, 제2제대는 제5보병사단 예하 제10연대로 편성되었다. 제1제대 제1, 제2, 제3보병대대가 귀둔리, 공수전리, 내현리 선에서, 제6대대가 원대리에서, 제4, 제5대대가 하추리, 귀둔리 선에서, 제7대대가 기사문리에서 공격을 개시하였다. 제2제대인 제10연대는 동해안을 따라 진격해 전과를 확대하는 임무를 띄고 양양 부근에 집결하였다.

한국군

한국군 제8사단 제10연대 제1, 제2대대는 제1경비여단의 정면에서 방어선을 펼치고 있었다. 고근홍 중령이 지휘하는 제10연대는 강릉비행장에 본부를 설치, 연대 좌일선의 제1대대가 정족산-서림리-우탄리-진흑동에 이르는 12km 정면을 담당하고, 연대 우일선의 제2대대가 정족산-동사면-연화동-장리-명지리-대치리-46고지에 이르는 14km를 담당하였다. 연대 예비인 제3대대는 본부가 위치한 강릉비행장에 주둔하였다. 그러나 당시 제3대대는 6월 23일부터 26일까지 제1대대와 교대하도록 명령을 받고 있었기에 제3대대의 제9, 제11중대는 제1대대에, 제10중대는 제2대대에 배속되었다. 실제로 제3대대의 전력은 대대본부 병력과 제12중대가 유일했으며, 이미 교대를 위한 이동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

전투

결과와 평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