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 지연작전

한국전쟁대한민국 국군의 지연작전 경과는 이하와 같다.

국군의 재편성과 초기 지연작전[편집 | 원본 편집]

한강방어선이 붕괴한 이후 한국정부는 국군을 전면 재편하였다. 먼저 이승만은 6월 30일 채병덕 육군총참모장을 해임하고 정일권 준장을 소장으로 진급시키고 육군총참모장 겸 육•해•공 총사령관에 임명하였다. 이에 육군총참모장이 육군과 동시에 해군과 공군을 지휘하게 되었다. 7월 8일 대전에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제외한설마 여기까지 밀리겠어?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이에 정일권은 계엄사령관까지 겸하게 되었다.

이후 정일권은 전선부대를 재편성하였다. 먼저 시흥지구전투사령부를 1군단으로 재편하였다. 동시에 기존의 8개 사단을 편제를 5개 사단으로 재편하였다. 이 과정에서 편제가 건재한 제6사단과 8사단은 기존의 체제를 유지했고 나머지 혼성사단을 전면 재편하였다. 이를 통해 국군은 전쟁 직전 8개 사단 2개 직할연대에서 1개 군단 5개 사단 3개 독립연대로 편성되었다.[1]

부대 지휘관 편성부대
제1군단 김홍일 소장 수도 • 제1 • 제2 사단
수도사단 이준식 준장->김석원 준장(7.7) 제1 • 제8 • 제18연대
제1사단 백선엽 대령 제11 • 제12 • 제13연대
제2사단 이한림 대령 제5 • 제16 • 제19 연대
제6사단 김종오 대령 제2 • 제7 • 제19연대
제8사단 이성가 대령 제10 • 제 21연대
기갑연대 유흥수 대령 제1 • 제2 • 제3대대
제23연대 김종원 중령 제1 • 제2 • 제3대대
제17연대 김희준 중령 제1 • 제2 • 제3대대

이와 같은 육군본부의 사단재편성 명령은 7월 5일 시흥지구전투사령부에 떨어졌다. 이에 시흥사는 평택으로 철수 및 방어진지 편성과 동시에 사단 재편을 이루었다. 사단을 재편하는 동안 김홍일 군단장은 작전참모를 오산 북쪽 스미스부대가 있는 곳으로 파견 미군들이 2.36‘’ 로켓포로 북한군 T-34 전차를 파괴할 수 있는지 확인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미군의 2.36‘’인치 로켓포로도 북한군 T-34 전차를 파괴할 수 없었다.[2]

한국이 지연작전을 펼치는 동안 유엔은 유엔군 창설을 결의한다.(7월 7일) 이에 최초의 유엔군이 창설된 것이다. 유엔군은 먼저 미국 대통령에게 유엔군사령관 임명에 대한 권한과 통제권을 부여하였다. 이에 미국은 당시 극동군사령관인 맥아더를 유엔군사령관으로 선임한다. 이러한 조치 속에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맥아더 장군에게 이양하는 조치를 직접 취했다. 이승만은 7월 15일 맥아더에게 보낸 개인 서신에서 ‘’‘전쟁 기간 동안 맥아더에게 한국의 육⦁해⦁공군에 대한 지휘권을 이양한다고 밝혔다.’‘’[3]

이로써 육군은 초기 지연작전을 펼칠 수 있는 군사조직을 확보했고, 미국 및 유엔군의 지원이 확실화 되면서 국군의 목표도 명확히 설립되었다. 이후 국군은 미군과 협조하면서 최대한 북한군의 진군속도를 늦추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국군의 초기 지연작전은 경의적이었다고만 평가할 수 있다. 먼저 서울이 함락된 이후 흩어진 병력을 수습한 것도 기적이며, 동시에 철수와 계속되는 전투, 부족한 식량 속, 수면 부족 등 전투 피로도가 누적된 상황에 심지어 화기조차 부족한 상황에서도 북한군을 4일 이상 저지하는데 성공했다.[4] 시흥사는 전면에 한강이라는 천혜의 장애물이 있었던반면, 김포사는 평지에서 북한군 6사단과 맞서 죽음을 각오하면서 전투를 벌어야 했으며, 그 전투에서 적의 진출을 최대한 저지하여 한강선이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물론 국군의 이러한 방어전은 미군의 공군지원 없이는 불가능했다는 점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미 공군은 국군의 부족한 화력을 메워주었다. 미 공군은 화포와 중장비를 서울에서 상실한 국군에게 단비나 마찬가지였다.[5]

낙동강 전선[편집 | 원본 편집]

한국군의 지연작전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인해 한국정부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전선을 형성할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당시 국군은 낙동강을 이용하여 적 전차의 진군을 막을 계획을 수립한다. 구체적인 계획과 방어진지가 확보되자 국군은 낙동강전선으로 철수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작전실수를 범해 제1군단의 경우 상당한 병력을 상실했다. 국군은 동원가능한 병력을 최대한 동원하여 낙동강 전선 방어에 총력을 기했다. 후방에서 학도의용병들까지 모집해서 어린 학생들에게 몇 시간동안 기초훈련만 시키고 최소한의 무장만 준 채 전선에 투입했다.[6] 낙동강 전선의 형성으로 인해 미국은 거점을 확보할 수 있었고, 병력동원과 훈련에 박차를 가했다. .

낙동강 전선에 유명한 전투는 총 3개가 있다. 첫번째는 다부동 전투로 국군 제1사단의 목숨을 건 격렬한 저항과 미공군B-29가 왜관에 융단폭격을 하여 막아내었다. 두번째는 9월 초의 영천 전투유재흥 장군이 격전 끝에 북한군을 격퇴하였다. 세번째 전투로는 통영전투가 있었는데, 통영이 북한군의 공습에 함락되어 낙동강 전선이 위태한 상황이었는데, 한국 해병대에 의한 통영 상륙작전으로 통영을 탈환하고 거제도로 가해지는 북한군의 위협을 차단하였다.

북한군도 낙동강 전선을 돌파하고 이 지역을 장악하면 전쟁이 끝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7] 그 이유는 낙동강 전선을 무너뜨리면 곧바로 부산이고 부산이 함락되면 한국전쟁은 끝이 난다. 즉, 연합군이 개입할 여지가 없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교두보가 없는 지역에 병력을 상륙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자세한 것은 낙동강 전선 참조

각주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3』, 서울, 2006, p.257
  2. 먼저 한국에 도착한 스미스특무부대는 북한군의 전력을 얕보았다. 자신들이 보유한 로켓포로 T-34전차를 파괴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T-34전차에 대한 악명이 높았으니 그럴 만도 했다. 그러나 한국전쟁에 투입된 T-34는 개량형이었고, 과거 제2차 세계대전에서 찍어내던 질 나쁜 탱크가 아니었다. 그러니 로켓포가 안 먹히는 건 당연했다. 무슨 일본군 치하땅인 줄 아나 결국 스미스특무부대는 경부국도방면으로 퇴각하여 국군과 함께 미24사단이 도착하기까지 시간을 버는 것으로 작전을 변경했다.
  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3』, 서울, 2006, p.284
  4. 7일이나 북한군이 서울에서 움직이지 않았던 3일을 제외한 수치이다.
  5. 물론 오인 폭격으로 인해서 국군의 군수물자를 날려버린다든가, 국군 지휘소를 폭격한다든지 등의 일이 있었지만 이 일로 미 공군의 역할과 공헌을 깎아 내릴 수 없을 정도로 초기 한국전에서 미 공군의 역할은 컸다.
  6. 국방부의 공식 입장은 학도병 등의 모집에 있어 강압적 징병은 없고 모두 자원 입대이다. 공식 입장일 뿐이지만.
  7. 많은 학자들이 진실에 가까운 추정으로 보고 있으나, 정확한 근거가 없다. 그래서 몇몇 학자는 북한군이 일부병력을 낙동강 전선에 투입하지 않고, 각 지방에 파견했다는 점을 근거로 전쟁이 끝난 것으로 확실하였고, 낙동강 전선의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한다. 정확한 것은 북한이 무너지고 기밀자료가 공개되는 순간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