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식 승강장: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 상부 하중 지탱
* 상부 하중 지탱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도심 구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도심 구간
== 장점 ==
* 반대편으로 횡단이 간편하다.
* 한 개 승강장으로 모두 대응하므로 건설비가 절감된다.
** 다만, 역 전후로 선로를 넓히는 부분 탓에 지하역에서 건설비가 더 들 수도 있다.
* 한 방향으로만 혼잡한 역에서 효율적으로 승객을 받을 수 있다.
** 상부가 협소한 도로 등의 지하나 좁은 토지에 있는 역에서 [[상대식 승강장]]으론 보통 넓이인 공간에, [[섬식 승강장]]에선 넓은 승강장으로 건설이 가능하다.
* 종착역 같이 도착 선로가 다양한 역에서 번갈아가면서 승객을 받을 수 있다.
** 오리카에시라고도 부르는 승강장에서의 [[회차|되돌림 운행]]시 이용에 편리하다.<ref>[[상대식 승강장]]에선 갑자기 도착 승강장이 변경되면 기다리던 승객이 계단을 이용해서 건너편 승강장으로 가야 한다.</ref>
* [[남태령역]] 등 단선 쌍굴 방식의 지하 구간에서 역을 만들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 가운데 기둥 같은 지장물이 있거나, 고가 도로 아래에선 선로 사이를 멀리 둘 수 있는 섬식 승강장이 적합하다.
== 단점 ==
* 양방향으로 수요가 많은 승강장에선 {{ㅊ|[[헬게이트]]}} 양쪽 승객으로 매우 혼잡하다.
* 승강장 확장시 선로를 먼저 벌려야 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석계역]]은 승강장 확장을 위해 임시 승강장을 다른 곳에 만들고 선로를 공사한 다음 나중에 승강장을 다시 이설했다.
** 이런 귀찮음으로 인해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외대앞역]]과 [[신도림역]]은 섬식 승강장에 한쪽 선로에만 승강장을 덧붙이는 식으로 혼잡을 해결했다.
** 이런 역에선 상행과 하행의 열리는 문이 달라진다. 차내 노선도에선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아예 표시를 하지 않는다.<ref> 오른쪽 문 열림과 구분할 수 없게 되어 있다.</ref>
* 열차 안내 방송이 양쪽 모두 나와서 구분이 어렵다. {{ㅊ|계단에서 뛰어오면 꼭 헛걸음}}
[[분류:철도 승강장]]
[[분류:철도 승강장]]

2015년 6월 14일 (일) 12:31 판

섬식 승강장.PNG

개요

섬식 승강장은 선로를 벌려 그 사이에 승강장을 건설하는 방식으로 한 승강장에서 양 방향이 같이 승차를 하는 방식의 승강장이다. 반대의 개념으로는 상대식 승강장이 있다. 플랫폼이 하나이기 때문에 승객 입장에서는 편리하다. 열차를 잘못된 방향으로 탔을 경우,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가기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승강장의 확장을 하려면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확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벽 한쪽을 파내서 승강장을 하나 더 만들거나, 석계역처럼 돈 왕창 들여서 확장한다.

승강장 가운데 기둥을 두껍게 만들면 위의 하중을 떠받들 수 있기 때문에, 고가차도 아래에 역을 짓거나 깊은 곳에 역을 지을 때에 섬식 승강장이 자주 이용된다. 무엇보다도 고가차로 아래에 승강장을 건설할려면, 고가차로 기둥의 골조를 지하로 내려야하기 때문에 섬식 승강장이 애용된다. 실제로 서울 지하철 2호선 섬식 승강장 역들 거의 대부분은 옛날에 고가차로 건설 계획이 잡혀있던 곳이었다. 물론 거의 대부분은 계획이 취소되면서 백지계획이 되어버렸지만.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모든 역들(시 외곽과 경산연장 제외)이 섬식 승강장인 이유도 달구벌대로 고가차로 건설계획을 고려해서 그런거다.

예시

수도권 전철

  • 상부 도로의 협소
  • 상부 하중 지탱
  • 특정 시간에 한 방향으로만 이용객이 쏠리는 경우 : 이용객이 쏠리는 시간에 섬식 승강장의 플랫폼 전체를 그 방향의 탑승객을 처리하는 데 쓸 수 있어 공간활용이 효율적이 된다.
    • 서울 지하철 5호선 도심 구간
  • 환승통로 공사의 효율성을 위하여

대구 도시철도

장점

  • 반대편으로 횡단이 간편하다.
  • 한 개 승강장으로 모두 대응하므로 건설비가 절감된다.
    • 다만, 역 전후로 선로를 넓히는 부분 탓에 지하역에서 건설비가 더 들 수도 있다.
  • 한 방향으로만 혼잡한 역에서 효율적으로 승객을 받을 수 있다.
    • 상부가 협소한 도로 등의 지하나 좁은 토지에 있는 역에서 상대식 승강장으론 보통 넓이인 공간에, 섬식 승강장에선 넓은 승강장으로 건설이 가능하다.
  • 종착역 같이 도착 선로가 다양한 역에서 번갈아가면서 승객을 받을 수 있다.
    • 오리카에시라고도 부르는 승강장에서의 되돌림 운행시 이용에 편리하다.[1]
  • 남태령역 등 단선 쌍굴 방식의 지하 구간에서 역을 만들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 가운데 기둥 같은 지장물이 있거나, 고가 도로 아래에선 선로 사이를 멀리 둘 수 있는 섬식 승강장이 적합하다.

단점

  • 양방향으로 수요가 많은 승강장에선 헬게이트 양쪽 승객으로 매우 혼잡하다.
  • 승강장 확장시 선로를 먼저 벌려야 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석계역은 승강장 확장을 위해 임시 승강장을 다른 곳에 만들고 선로를 공사한 다음 나중에 승강장을 다시 이설했다.
    • 이런 귀찮음으로 인해 1호선 외대앞역신도림역은 섬식 승강장에 한쪽 선로에만 승강장을 덧붙이는 식으로 혼잡을 해결했다.
    • 이런 역에선 상행과 하행의 열리는 문이 달라진다. 차내 노선도에선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아예 표시를 하지 않는다.[2]
  • 열차 안내 방송이 양쪽 모두 나와서 구분이 어렵다. 계단에서 뛰어오면 꼭 헛걸음
  1. 상대식 승강장에선 갑자기 도착 승강장이 변경되면 기다리던 승객이 계단을 이용해서 건너편 승강장으로 가야 한다.
  2. 오른쪽 문 열림과 구분할 수 없게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