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리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행위을(를) 삭제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Vandalism'''
[[파일:동상반달중인is.jpg|섬네일|동상을 반달리즘 중인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IS]] 테러리스트]]
[[파일:동상반달중인is.jpg|섬네일|동상을 반달리즘 중인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IS]] 테러리스트 <s>미친 놈들...</s>]]
 
<gallery  widths="230" heights="230">
반달_리브렌.png|반달당한 리브렌<del>반달당해서 반달인거라 카더라</del>
</gallery>
 
{{ㅊ|Half Moonism}}


== 개요 ==
== 개요 ==
 
'''반달리즘(Vandalism, '''{{ㅊ|Half Moonism}}''')'''은 의도적으로 예술품, [[문화]] 등을 파괴 · 훼손 · 더럽히는 행위를 말한다. 21세기의 가장 유명한 반달리즘으로는 [[탈레반]]의 바미얀 석불 파괴<ref>[http://www.huffingtonpost.kr/2014/03/24/story_n_5018910.html 바미안 석불 복원은 대체 언제?], 연합뉴스, 2014.03.24</ref>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의 고대 문화유산·유적 파괴를 들 수 있다.<ref>[http://www.huffingtonpost.kr/2015/03/05/is------_n_6812764.html IS, 모술 박물관에 이어 고대 '아시리아' 도시 유적 파괴 개시], 허핑턴포스트, 2015.03.26</ref>
반달리즘은 의도적으로 예술품, [[문화]] 등을 파괴 · 훼손 · 더럽히는 행위를 말한다. 21세기의 가장 유명한 반달리즘으로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의 고대 문화유산·유적 파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공공기물 파손행위도 반달행위라고 할 수 있다. 당신이 무심코 발로 들고차서 찌그러트린 휴지통도 당신에게 반달을 당한 것이다! 고로 착한 [[위키니트]]라면 따라하지 말자.
[[위키위키]]에서는 '''문서를 의도적으로 삭제하거나 정보 왜곡, 파괴하는 짓'''을 반달리즘이라 일컫는다. [[#위키위키에서의 반달리즘]] 참고.


=== 이름의 유래 ===
=== 이름의 유래 ===
반달리즘은 5세기 유럽 민족 대이동 때 반달족이 이동하면서 이동한 지역을 약탈하고 파괴했다는 '''잘못 알려진 사실'''에서 유래했다. 반달족의 지도자들은 이미 로마 문화를 받아들여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였고, 그런 까닭에 파괴 행위는 극히 일부였다. 로마의 예술품은 오히려 로마 제국 말기의 노예나 일반인, 빈곤층, 후대의 예술가들이 더 많이 파괴했다. 그리고 관련성이 끊기며 내려오는 후예, 혹은 이주민들이 건축자재로서 문화재를 부숴다 쓴 사례는 역사속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대 유적들은 악의적인 의미가 아니고서야 이런 과정에서 파괴되었다.
반달리즘은 5세기 유럽 민족 대이동 때 반달족이 이동하면서 이동한 지역을 약탈하고 파괴했다는 '''잘못 알려진 사실'''에서 유래했다. 반달족의 지도자들은 이미 로마 문화를 받아들여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였고, 그런 까닭에 파괴 행위는 극히 드물었다. 로마의 예술품은 오히려 로마 제국 말기의 노예나 일반인, 빈곤층, 후대의 예술가들이 더 많이 파괴했다. 그리고 관련성이 끊기며 내려오는 후예, 혹은 이주민들이 건축자재로서 문화재를 부숴다 쓴 사례는 역사속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대 유적들은 악의적인 의미가 아니고서야 이런 과정에서 파괴되었다.


=== 이런것도 반달인가? ===
=== 이런것도 반달인가? ===
반면 반달로 봐야할지 아니면 혁명으로 봐야할 지 조금 애매한 것들도 있다. 그리스도의 색채를 없앤다고 이슬람 풍으로 덧칠했다가 나중에 떼어지며 드러난 [[아야 소피아 성당]], 우상숭배를 배척한다고 대부분의 신상이 파괴당한 [[메카 신전]] 등이 대표적인 예시. <s>왜 둘 다 이슬람인거야?</s> 말하자면 꼴보기 싫은 적국것이니 없애버리자는 건데 뭐가 나쁘냐는 것. 이해가 안 된다면 현재 경복궁 자리에 있던 [[조선총독부]]의 존치논란을 떠올리면 된다.
반면 반달로 봐야할지 아니면 정당한 행위로 봐야할 지 조금 애매한 것들도 있다. [[비잔틴 제국]]이 멸망하고 [[오스만 제국]]이 들어서면서 콘스탄티노플(現 [[이스탄불]]에 있던 [[아야 소피아 성당]]을 [[기독교]]의 색채를 없애기 위해 기독교 양식의 벽화를 이슬람 풍으로 덧칠했던 [[아야 소피아 성당]], 우상숭배를 배척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함마드]]가 대부분의 신상을 파괴해 버린 [[메카 신전]], 그리고 [[일제강점기]]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1995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광복 50주년을 맞아 헐어버린 [[조선총독부]] 건물 등이 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81600209131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5-08-16&officeId=00020&pageNo=31&printNo=22940&publishType=00010 "「민족의 맥」 이제야 이었다" 일제통치 상징 구 총독부 첨탑 철거되던 날], 동아일보, 1995.08.16</ref> 이런 경우는 대개 그 나라 입장에서 보기 싫은 것들은 국가에서 직접 없애버리려고 한 것이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이를 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


반대 사례로 [[스페인]]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궁전]]은 이슬람 양식에 반해버린 소유주의 선견지명으로 엎어버리자는 카톨릭계의 반발을 까버리고 <ref>다만 거센 반발에 못이겨 딱 한 구역을 부수고 교회를 짓긴 했었다. 그런데 그걸 보고는 더욱 자괴감이 들어서 다시는 언급하지 말라는 엄명을 내리는 계기가 되었다.</ref> 보존하여 결과적으론 안달루시아 지방 최고의 명소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훼손된 문화재를 복구하려다가 원치 않게 원본보다 훼손되어 반달리즘으로 오인되는 사례도 있다. 19세기 [[스페인]] 화가인 엘리아스 가르시아 마르티네스가 그린 프레스코화 '에케호모'(이 사람을 보라)가 그것이다. 이 그림은 [[스페인]] [[사라고사]]의 한 성당에 전시되어 있었는데, [[2012년]]에 한 [[할머니]]가 습기로 인해 그림이 일부 훼손되어 이를 복원하려다가 미숙한 그림 실력 때문에 원본보다 더 안 좋은 결과물이 나왔던 사례가 있다.<ref>[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548463.html 스페인 주책 할머니 예수 벽화 복원하려다가…], 한겨레, 2012.08.23</ref>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박물관으로 이관하는 작업도 반달이라 보는 시각이 있다. 또는 쓸데없는 공사로 원본의 의미를 훼손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바깥에 방치되면 풍화현상으로 언젠간 사라지기 마련이니 설령 떼가는 건 이해한다지만, 정작 원판에다가 최소한의 레플리카조차 놓지 않아서 무의미하게 되는 것이 반달리즘과 다를게 없다는 것이 중점. 상황을 확장해 보자면 상관도 없는 외국인이 문화재를 무단으로 캐가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는 반달리즘과 다르지 않다고 본다. 때문에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과 [[영국]]의 대영박물관이 특히 욕을 많이 먹었다. 하지만 반대로 "우리가 미리 가져가지 않았으면 이미 사라졌을지도 모른다"라는 시각도 만만찮은데 실제로 19~20세기 초반까지 이집트와 그리스는 문화재가 너무 널려 있었던 탓인지 그저 돈벌이용으로 취급하거나 그다지 소중하게 여기는 시각이 덜했다고. 특히 이번 ISIL의 행적을 보다보면 뭔가 이상하지만 납득을 하지 않을 수도 없어서 논란거리가 지속되고 있다.
반대 사례로 [[스페인]] [[그라나다]]에 위치한 [[알함브라 궁전]]이 있다. 원래 이 곳은 11세기 경에 무어인들이 이베리아 반도에 세웠던 이슬람 국가인 그라나다의 영향으로 인해 이슬람 양식으로 지어진 궁전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슬람 국가가 멸망하고 카스티야, 아라곤 등의 가톨릭교 왕조가 강성해지고, 이들이 이슬람교를 몰아내기 위해 서로 힘을 합쳐  [[레콩키스타]](Reconquista·국토 회복 운동) 운동을 펼치면서 [[1492년]]에 이슬람 국가들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 때 나스르 왕조의 마지막 왕인 보아브딜 왕이 [[이사벨 여왕]]에게 항복하면서 첫째, 알함브라 궁전을 잘 보존 해달라, 둘째, 다 데리고 갈 수 없는 이슬람인들을 국민으로 받아 달라, 셋째, 남아 있는 사람들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해 달라라는 조건을 요구하였고<ref>[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7/10/2014071002322.html 이슬람 왕이 국가보다 더 사랑했던 알함브라 궁전], 김귀욱, 프리미엄조선, 2014.07.11</ref>, 비록 이슬람 주민들은 무참한 학살과 추방을 당했지만<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0214020001 <nowiki>[이슬람 문명과 도시]</nowiki>(3)알함브라 궁전을 지닌 스페인 그라나다], 서울신문, 2006.02.14</ref>, 궁전은 끝까지 남아 결과적으론 안달루시아 지방 최고의 관광 명소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위키위키에서의 반달리즘==
하지만 원판의 퀄리티를 살리지 못 할 망정, 레플리카만도 못 한 복원품 제작으로 인해 문화재 복원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사례도 있는데, 이것도 결과적으로는 반달리즘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오랜 세월 동안 바깥에 방치할 경우 [[산성비]]나 풍화작용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원형을 잃고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호하는 경우도 있다. 그 예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경천사지 10층 석탑]]과 산성비로 인한 부식과 조류 배설물로 인한 훼손을 막기 위해<ref>[http://news.donga.com/3/03/20150325/70309655/1 <nowiki>[신문과 놀자!/이광표 기자의 문화재 이야기]</nowiki>울고 있는 원각사지 10층 석탑], 동아일보, 2015.07.29</ref>
{{넘겨주기|문서 훼손|문단=y|받침=y}}
</ref> 탑 주변에 유리보호각을 둘러친 [[원각사지 10층 석탑]]이다.<ref>[http://senior.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8/19/2014081901001.html?senior <nowiki>[국보탐방] [2]</nowiki> 국보 제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시니어조선, 2014.08.19</ref>
[[위키위키]]에서의 반달리즘이란  '''문서를 의도적으로 삭제하거나 정보를 왜곡, 파괴(삭제)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어원은 위의 반달리즘, 위키백과에서 (비공식적이지만) 2001년 말부터 사용되었다.<ref>[https://meta.wikimedia.org/w/index.php?title=Wikipedia_vandalism&oldid=487 메타위키 '반달리즘'] 2001년 11월 29일 초판, 비공식 정책</ref> 위키위키에서의 반달은 이러한 문서 훼손 행위를 자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러|반달러]]<ref>반달+er</ref>라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한국식 조어로 '''잘못된 표기다'''. 올바른 명칭은 Vandal에서 온 '''반달'''. (영어권에서도 Vandal 이라고 표기하고, 복수형은 Vandals라 표기한다)


위키위키에서 반달이 자주 출현하면 쓸데없이 규정을 빡빡하게 만들고, 사용자들을 예민하게 만들어 위키 분위기를 망칠 수 있으며, 눈팅 사용자들에게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니 [[만악의 근원]]이라고 부르기에 부족함이 없다.  
또한, 외국의 문화재를 약탈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 원명원의 유물들을 약탈하여<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18/0200000000AKR20160718151200005.HTML <中정원 기행> ①훼손된 원명원, 복원작업 어떻게 이뤄지나], 연합뉴스, 2016.07.19</ref>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과 [[영국]] 대영박물관에 가겨간<ref name="snatch">[http://m.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928790&referer= 중국, 약탈 문화재 조사 착수...서방과 '문화 전쟁' 가능성], KoreaDaily, 2009.10.22</ref> 프랑스 및 영국 등 옛 서구 열강의 문화재 약탈행위가 그 예이다. 이 경우는 19세기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의 침략행위에 따른 일이라 옛 서구 열강 측에서는 쉽게 내줄 수 없다고 뻐팅기고 있어서 국제적 갈등이 빚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ref name="snatch"></ref>


역으로 과장이나 틀린 정보 등을 보이는, 문제가 있는 문서를 수정했는데 '''위키 내 여론에 반대되는''' 이유로 반달리즘 취급을 받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반대로 "우리가 미리 가져가지 않았으면 이미 사라졌을지도 모른다"라는 시각도 만만찮은데 실제로 19~20세기 초반까지 이집트와 그리스는 문화재가 너무 널려 있었던 탓인지 그저 돈벌이용으로 취급하거나 그다지 소중하게 여기는 시각이 덜했다고 한다. 또한, [[현대]]에는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조직인 [[ISIL]]가 모술 박물관의 문화재를 파괴하면서 국제사회로부터 공분을 산 적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대부분 모조품이라 [[이라크]] 정부측에서 그리 중요하게 여긴 것 같지 않다는 반전이 있기도 했다. 모술이 속해 있는 니네베 주의 주지사를 맡고 있는 나틸 알누자이피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한 말에 따르면, 동영상에서 훼손된 유물 중 진품은 모술 고고학 공원에 있는 아시리아 시대의 '독수리 날개 달린 황소''로즈한의 신'(the God of Rozhan) 등 2점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2/28/0200000000AKR20150228051051070.HTML "'IS 파괴' 모술박물관 유물은 대부분 모조품"(종합)], 연합뉴스, 2015.03.01</ref>
다른 예로는 대중적으로 의견이 갈리는 떡밥들.. 옳고 그름을 따지기 힘든 주제들에 대해서는 반달인지 아닌지 구분하기 힘들기에 대개는 위키 안의 대세 여론에 따라 반달 여부를 가리거나, [[MPOV|갈리는 여론들을 모두 적어놓기도 한다.]] 사실 [[위키위키]], 더 나아가 사람 사는 곳이 대개 그렇지만..


문서를 고의적으로 훼손하려고 의도하지 않아도 간혹 반달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 있으니 문서를 편집할 때는 특정 집단을 폄하하거나 특정 집단만이 옳다는 식의 주장, 허위 내용 기록 또는 무분별한 내용 삭제를 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위키위키에서의 반달리즘==
=== 문제점 ===
{{참조|문서 훼손}}
말 그대로 문서에 적힌 내용을 왜곡하거나 지워버리므로, 다른 사용자의 정상적인 열람을 방해하게 된다. 문서를 지워버리기만 하면 못 보는것으로 끝나지만, 내용을 교묘하게 왜곡하면 그걸 본 사용자들이 잘못된 내용으로 인식하고, (허위사실을) 다른 사람들에게 의도치 않게 배포해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흔히 말하는 위키에 대한 비판으로 이런 반달을 보고 '아무나 이런 잘못된 내용을 쓸 수 있으니 못믿겠다'는 주장을 뒷받침 한다.
 
다른 문제로 이런 반달리즘과 복구를 반복하면 편집 횟수와 분량이 부풀려져서 해당 위키 또는 문서가 활발히 편집되고 있다는 착각마저 발생하게 된다. [http://sapzil.org/wikistat/ 위키 스탯]을 보면 알 수 있는데, 가끔 봇 또는 반달로 인한 의도치 않은 편집횟수 부풀리기가 발생한다. 반달은 아니지만 [[오리위키]]봇의 경우가 특히 심해서, (50명쯤 있던) 오리봇이 돌아갈 당시의 편집횟수는 한국어 위키백과 (약 2500명)의 편집횟수의 2배에 달했다.
 
이런 경우, 편집에 대한 데이터 분석마저 왜곡될 가능성이 있는데, 치킨이라는 문서가 있다고 가정하고, 아래와 같은 반달과 그 복구가 발생했다.
#반달이 '[[초고속즉시삭제머신]]'만 5천번 반복해서 가득 채운 글자수 +4.5만자
#관리자가 1.을 복구하면서 지운 글자수 -4.5만자
#1~2.를 10번 반복
그리고 위 과정이 진행될 동안 아래와 같은 편집이 시행되었다고 하자.
#치킨의 종류에 대해서 추가 +100자
#치킨을 판매하는 프랜차이즈에 대해서 추가 +500자
#치킨 요리법에 대해서 추가 +2,000자
그러면 이걸 바로 분석했다가는
*가장 많이 추가된 단어 : '초고속즉시삭제머신' - 5천회
*가장 많이 추가된 단어 : '초고속즉시삭제머신' - 5천회
*'초고속즉시삭제머신' 이라는 단어가 전체 편집에서 99.7%를 차지한다.
는 말도 안되는 결과가 성립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분석을 하는 사람이 여기서 의문을 느끼고, 이 이상값이 '반달리즘'에 의한 왜곡된 결과임을 알아채고 특정 키워드를 제거하고 분석을 할 수 있다)
 
==유형==
===행동 방법===
*정보 훼손형: 문서 내용을 통째로 혹은 일부분을 그냥 지워버리는 유형이다. 가장 흔한 반달 유형으로, 비교적 쉽게 발견 및 차단이 가능하다. 문서 내용을 비우는 것 외에는 문서를 뻘글로 채우는 등의 장난성 문서 훼손도 있다.
*정보 왜곡형: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을 골라 조작하거나, 극도로 편향된 일방적인 주장을 위키 본문에 삽입하는 유형이다. 문서 내에 쓰여있는 숫자(ex 데이터 값, 연도, 나이) 정보를 교묘하게 바꿔 잘못된 정보가 기재되었음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는 유형도 있는데 이런 식으로 교묘하게 바꾸는 유형은 차단도 발견도 쉽지 않기에 가장 악질적인 형태의 반달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 끼워넣기: 바이트로만 봐서는 반달인지 알 방법이 없지만 문서를 살펴보면 무의미한 내용이나 문서와 전혀 무관한 내용, [[야짤]], [[혐짤]]을 채워넣는 유형. [[2015 리그베다 영리화 사태]] 당시 틀 '영리 활동' 에 대해 가해진 대대적인 반달리즘이 이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반달들이 한 번쯤은 사용하는 방법. 정보 훼손형과 병행되는 일도 많다. 이런 유형의 반달은 심각해지면 차단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짤을 보고 충격 받은 위키 이용자들의 정신적인 피해 보상으로 해당 반달을 추적해 [[고소]] 문제까지 갈 수 있으니 하지 말자.
*이미지 교체 테러: 이미지 파일을 혐짤 등으로 교체하는 유형. 특히 해당 이미지가 여러 문서 또는 공식문서에서 쓰이면 여러 문서/주요문서에 대한 반달에 해당된다. [[나무위키]]에서는 FrontPage 문서를 징징이의 자살 사진으로 바꾼 반달도  있었다. 위의 내용 끼워넣기와 비슷하다.
 
===행동 방식===
*조직형ᆞ몹몰이형: 특정 사이트에 위키 문서의 좌표(링크)가 찍혀서, 그 사이트의 사람들이 몰려와 자신들에게 유리한 내용으로 편집하는 행위. 정보 왜곡형의 일종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 현재진행형이거나 논란중인 항목인 경우에는 이 정도가 심하다. 그러나 이 경우, 역풍을 맞아서 그 집단에 대한 비판이 과도하게 증가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리그베다 위키의 [http://rigvedawiki.net/%EC%95%88%EC%A0%84%ED%95%9C%20%EC%98%88%EB%B0%A9%EC%A0%91%EC%A2%85%EC%9D%84%20%EC%9C%84%ED%95%9C%20%EB%AA%A8%EC%9E%84 이 항목]이나 나무위키의 [[나무위키:여성시대|이 항목이]] 그 예시다.
*광고형: 명백히 홍보의 목적이 보이는 광고성 문서를 생성하거나 일반 문서에 광고성 내용을 넣는 유형. <s>리브레 여행 시리즈 문서들에 있는 식당 리뷰는 예외다.</s>
*정신이상자형: 고의적인 반달리즘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보편상식에 맞지 않는 편집을 가하며 [[총의]]를 무시하고 그런 편집을 '''지속'''하는 경우. [[만하다 반달]]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대처법==
===운영자===
*중요 파일(마스코트, 로고)이나 문서(규정같은 공식 문서)는 편집권한을 올리거나 동결(보호처리) 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대문(Frontpage)에 대한 반달리즘을 막기위해 아예 위키 개장 전 부터 운영자 전용으로 권한을 올려버리는 경우가 절대다수다.
*<s>차단권한이 있으니 차단하면 된다</s>
=== 일반사용자 ===
반달이 되어있는 문서를 보면 즉시 반달이 일어나기 전 버전으로 되돌려주고 신고를 하면 좋겠지만, 반달이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반달리즘을 행한다면 [[리브레 위키:운영진 요청]]에 반달 신고를 넣으면 된다. <s>신고부터 하자</s>
 
== 위키에서의 관련사례 ==
* [[성승헌]]: 한국어 위키백과, 2008년 12월 18일
* [[만하다 반달]]: 리그베다 위키, 2014년 초 ~
*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 리그베다 위키, 2015년 4월 17일
* [[준큰풍 사건]]: 나무위키, 2016년 5월 17일
 
== 같이 보기 ==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 [[탈레반]]
* [[문화대혁명]]
* [[분서갱유]] : 이것도 엄연한 반달리즘이다.
 
 
{{각주}}


[[분류:위키위키 용어]]
[[위키피디아]]의 영향으로 인해 [[대한민국]] [[네티즌]]들에게는 반달리즘이 [[위키위키]]에서의 문서 훼손행위로 알려져 있지만<ref>[[Wikipedia:Vandalism]]</ref>, 정식 명칭은 '''문서 훼손'''이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위키위키 문서를 훼손하는 행위는 문서 훼손이라는 표제어를 설정하여 반달리즘과 명확히 구별하고 있다.<ref>[[위키백과:반달리즘]], [[위키백과:문서_훼손]]</ref>
[[분류:규범]]

2017년 2월 5일 (일) 02:22 판

동상을 반달리즘 중인 IS 테러리스트

개요

반달리즘(Vandalism, Half Moonism)은 의도적으로 예술품, 문화 등을 파괴 · 훼손 · 더럽히는 행위를 말한다. 21세기의 가장 유명한 반달리즘으로는 탈레반의 바미얀 석불 파괴[1]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의 고대 문화유산·유적 파괴를 들 수 있다.[2]

이름의 유래

반달리즘은 5세기 유럽 민족 대이동 때 반달족이 이동하면서 이동한 지역을 약탈하고 파괴했다는 잘못 알려진 사실에서 유래했다. 반달족의 지도자들은 이미 로마 문화를 받아들여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였고, 그런 까닭에 파괴 행위는 극히 드물었다. 로마의 예술품은 오히려 로마 제국 말기의 노예나 일반인, 빈곤층, 후대의 예술가들이 더 많이 파괴했다. 그리고 관련성이 끊기며 내려오는 후예, 혹은 이주민들이 건축자재로서 문화재를 부숴다 쓴 사례는 역사속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대 유적들은 악의적인 의미가 아니고서야 이런 과정에서 파괴되었다.

이런것도 반달인가?

반면 반달로 봐야할지 아니면 정당한 행위로 봐야할 지 조금 애매한 것들도 있다. 비잔틴 제국이 멸망하고 오스만 제국이 들어서면서 콘스탄티노플(現 이스탄불에 있던 아야 소피아 성당기독교의 색채를 없애기 위해 기독교 양식의 벽화를 이슬람 풍으로 덧칠했던 아야 소피아 성당, 우상숭배를 배척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함마드가 대부분의 신상을 파괴해 버린 메카 신전, 그리고 일제강점기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1995년 8월 15일대한민국 광복 50주년을 맞아 헐어버린 조선총독부 건물 등이 있다.[3] 이런 경우는 대개 그 나라 입장에서 보기 싫은 것들은 국가에서 직접 없애버리려고 한 것이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이를 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훼손된 문화재를 복구하려다가 원치 않게 원본보다 훼손되어 반달리즘으로 오인되는 사례도 있다. 19세기 스페인 화가인 엘리아스 가르시아 마르티네스가 그린 프레스코화 '에케호모'(이 사람을 보라)가 그것이다. 이 그림은 스페인 사라고사의 한 성당에 전시되어 있었는데, 2012년에 한 할머니가 습기로 인해 그림이 일부 훼손되어 이를 복원하려다가 미숙한 그림 실력 때문에 원본보다 더 안 좋은 결과물이 나왔던 사례가 있다.[4]

반대 사례로 스페인 그라나다에 위치한 알함브라 궁전이 있다. 원래 이 곳은 11세기 경에 무어인들이 이베리아 반도에 세웠던 이슬람 국가인 그라나다의 영향으로 인해 이슬람 양식으로 지어진 궁전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슬람 국가가 멸망하고 카스티야, 아라곤 등의 가톨릭교 왕조가 강성해지고, 이들이 이슬람교를 몰아내기 위해 서로 힘을 합쳐 레콩키스타(Reconquista·국토 회복 운동) 운동을 펼치면서 1492년에 이슬람 국가들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 때 나스르 왕조의 마지막 왕인 보아브딜 왕이 이사벨 여왕에게 항복하면서 첫째, 알함브라 궁전을 잘 보존 해달라, 둘째, 다 데리고 갈 수 없는 이슬람인들을 국민으로 받아 달라, 셋째, 남아 있는 사람들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해 달라라는 조건을 요구하였고[5], 비록 이슬람 주민들은 무참한 학살과 추방을 당했지만[6], 궁전은 끝까지 남아 결과적으론 안달루시아 지방 최고의 관광 명소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원판의 퀄리티를 살리지 못 할 망정, 레플리카만도 못 한 복원품 제작으로 인해 문화재 복원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사례도 있는데, 이것도 결과적으로는 반달리즘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오랜 세월 동안 바깥에 방치할 경우 산성비나 풍화작용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문화재가 훼손되거나 원형을 잃고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호하는 경우도 있다. 그 예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경천사지 10층 석탑과 산성비로 인한 부식과 조류 배설물로 인한 훼손을 막기 위해[7] </ref> 탑 주변에 유리보호각을 둘러친 원각사지 10층 석탑이다.[8]

또한, 외국의 문화재를 약탈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 원명원의 유물들을 약탈하여[9]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과 영국 대영박물관에 가겨간[10] 프랑스 및 영국 등 옛 서구 열강의 문화재 약탈행위가 그 예이다. 이 경우는 19세기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의 침략행위에 따른 일이라 옛 서구 열강 측에서는 쉽게 내줄 수 없다고 뻐팅기고 있어서 국제적 갈등이 빚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10]

하지만 반대로 "우리가 미리 가져가지 않았으면 이미 사라졌을지도 모른다"라는 시각도 만만찮은데 실제로 19~20세기 초반까지 이집트와 그리스는 문화재가 너무 널려 있었던 탓인지 그저 돈벌이용으로 취급하거나 그다지 소중하게 여기는 시각이 덜했다고 한다. 또한, 현대에는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조직인 ISIL가 모술 박물관의 문화재를 파괴하면서 국제사회로부터 공분을 산 적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대부분 모조품이라 이라크 정부측에서 그리 중요하게 여긴 것 같지 않다는 반전이 있기도 했다. 모술이 속해 있는 니네베 주의 주지사를 맡고 있는 나틸 알누자이피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한 말에 따르면, 동영상에서 훼손된 유물 중 진품은 모술 고고학 공원에 있는 아시리아 시대의 '독수리 날개 달린 황소'와 '로즈한의 신'(the God of Rozhan) 등 2점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11]

위키위키에서의 반달리즘

위키피디아의 영향으로 인해 대한민국 네티즌들에게는 반달리즘이 위키위키에서의 문서 훼손행위로 알려져 있지만[12], 정식 명칭은 문서 훼손이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위키위키 문서를 훼손하는 행위는 문서 훼손이라는 표제어를 설정하여 반달리즘과 명확히 구별하고 있다.[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