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판정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미완성 문서)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토막글}}
 
== 진술 ==
== 진술 ==
수열 <math>(a_n)</math>에 대해 <math>a_n \ge 0</math>이라고 하자. 이때
[[수열]] <math>(a_n)</math>에 대해 <math>a_n \ge 0</math>이라고 하자. 이때
* <math>\limsup_{n\to\infty}\sqrt[n]{a_n} < 1</math>이면 <math>\sum_{n=1}^{\infty}a_n</math>은 수렴한다.
* <math>\limsup_{n\to\infty}\sqrt[n]{a_n} < 1</math>이면 <math>\sum_{n=1}^{\infty}a_n</math>은 수렴한다.
* <math>\limsup_{n\to\infty}\sqrt[n]{a_n} > 1</math>이면 <math>\sum_{n=1}^{\infty}a_n</math>은 발산한다.
* <math>\limsup_{n\to\infty}\sqrt[n]{a_n} > 1</math>이면 <math>\sum_{n=1}^{\infty}a_n</math>은 발산한다.
== 증명 ==
== 증명 ==
[[추가바람]]
<math>\limsup_{n\to\infty}\sqrt[n]{a_n} = R</math>이라 하자. <math>R < 1</math>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임의의 <math>\varepsilon > 0</math>에 대해 [[자연수]] <math>N</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n > N</math>에 대해 <math>\left|\sup_{m \ge n} \sqrt[m]{a_m}-R\right| < \varepsilon</math>이다. [[절댓값]] 기호를 풀면 <math>\sup_{m\ge n}\sqrt[m]{a_m} < R+\varepsilon</math>이다. <math>R<\gamma < 1</math>인 <math>\gamma</math>를 하나 잡고 <math>\varepsilon = \gamma - R</math>으로 두자. 그러면 <math>\sup_{m\ge n}\sqrt[m]{a_m} < \gamma</math>이다. [[유계#상한과 하한|상한]]의 정의에 의해 적당한 <math>N</math>에 대해 <math>n > N</math>이면 <math>\sqrt[n]{a_n} < \gamma</math>, 즉 <math>a_n < \gamma^n</math>이다. <math>0 < \gamma < 1</math>이므로 <math>\sum_{n=1}^{\infty} \gamma^n </math>은 수렴하고 따라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sum_{n=1}^{\infty} a_n</math>은 수렴한다.


이제 <math>R > 1</math>이라고 가정하자. <math>\varepsilon = R -1</math>로 두면 <math>\sup_{m\ge n}\sqrt[m]{a_m} > 1</math>이다. 상한의 정의에 의해 적당한 <math>N</math>에 대해 <math>n > N</math>이면 <math>a_n > 1</math>이다. <math>\sum_{n=1}^{\infty}1</math>이 발산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sum_{n=1}^{\infty}a_n</math>은 발산한다.
== 따름정리 ==
== 따름정리 ==
수열 <math>(a_n)</math>에 대해 <math>a_n \ge 0</math>이라고 하자. 이때
수열 <math>(a_n)</math>에 대해 <math>a_n \ge 0</math>이라고 하자. 이때
14번째 줄: 15번째 줄:


== 예시 ==
== 예시 ==
먼저, 근판정법을 쓰기 전에 아래 극한값을 알아 놓는 것이 좋다.
*<math>\lim_{n\to\infty}\sqrt[n]{C}=1,\,C>0</math>
*<math>\lim_{n\to\infty}\sqrt[n]{n^p}=1,\,p>0</math>
*<math>\lim_{n\to\infty}\sqrt[n]{\ln n}=1</math>
*<math>\lim_{n\to\infty}\sqrt[n]{n!}=\infty</math>
*<math>\lim_{n\to\infty}\sqrt[n]{n}=1</math>
다음 급수는 근판정법으로 수렴함을 증명할 수 있다.
다음 급수는 근판정법으로 수렴함을 증명할 수 있다.
* [[추가바람]]
*<math>\sum_{n=1}^\infty\frac{n^n}{2^\left(n^2\right)}</math>
*<math>\sum_{n=1}^\infty\frac{2^nn^3}{3^n}</math>
*<math>\sum_{n=1}^\infty\frac{5^n}{2^nn!}</math>
다음 급수는 근판정법으로 발산함을 증명할 수 있다.
다음 급수는 근판정법으로 발산함을 증명할 수 있다.
* [[추가바람]]
*<math>\sum_{n=1}^\infty\frac{5^n}{3^n\left(n^4+1\right)}</math>
다음 급수의 수렴성은 근판정법으로 판정되지 않는다.
다음 급수의 수렴성은 근판정법으로 판정되지 않는다.
* [[추가바람]]
*<math>\sum_{n=1}^\infty\frac{1}{n}</math>
*<math>\sum_{n=1}^\infty\frac{1}{n^2}</math>
 
== 근판정법과 비율판정법의 관계 ==
만약 어떤 급수의 수렴성이 [[비율판정법]]으로 판정된다면, 근판정법으로도 판정할 수 있다. 실수열 <math>(a_n)</math>에 대해 <math>a_n \ge 0</math>일 때,
: <math>\liminf_{n\to\infty}\frac{a_{n+1}}{a_n} \le\liminf_{n\to\infty}\sqrt[n]{a_n} \le \limsup_{n\to\infty}\sqrt[n]{a_n}\le \limsup_{n\to\infty}\frac{a_{n+1}}{a_n}</math>
임을 보이자.
<math>\liminf_{n\to\infty}\frac{a_{n+1}}{a_n}=r</math>이라 하자. 그러면 임의의 <math>\varepsilon > 0</math>에 대해 자연수 <math>N</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n > N</math>에 대해 <math>\left|\inf_{m\ge n}\frac{a_{n+1}}{a_n}-r\right| < \varepsilon</math>이다. 절댓값 기호를 풀면
: <math>r-\varepsilon < \inf_{m\ge n}\frac{a_{n+1}}{a_n}</math>
이다. 하한의 정의에 의해, <math>n > N</math>인 임의의 <math>n</math>에 대해
: <math>r-\varepsilon < \frac{a_{n+1}}{a_n}</math>
이다. 그러면
: <math>(r-\varepsilon)^{n-N-1} < \frac{a_n}{a_{n-1}}\frac{a_{n-1}}{a_{n-2}}\cdots\frac{a_{N+2}}{a_{N+1}}</math>
이고 따라서
: <math>\frac{a_n}{a_{N+1}} >(r-\varepsilon)^{n-N-1}</math>
이다. 그러면
: <math>\sqrt[n]{a_n} > \left(\frac{a_{N+1}}{(r-\varepsilon)^{N+1}}\right)^\frac{1}{n}(r-\varepsilon)</math>
이고 임의의 <math>p>0</math>에 대해 <math>\lim_{n\to\infty}p^{\frac{1}{n}}=1</math>이므로
: <math>\liminf_{n\to\infty} \sqrt[n]{a_n}\ge r-\varepsilon</math>
이고 임의의 <math>\varepsilon > 0</math>에 대해 식이 성립하므로
: <math>\liminf_{n\to\infty} \sqrt[n]{a_n}\ge r</math>
이다. 오른쪽 부등식에 대해서도 비슷한 과정을 거치면 된다.
 
그러나 급수가 근판정법으로 수렴하더라도 비율판정법으로 수렴하는지는 알 수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열 <math>(a_n)</math>의 일반항이
: <math>a_n=\begin{cases}
\frac{1}{2^n},&\text{if $n$ is odd}\\
\frac{1}{2^{n-1}},&\text{if $n$ is even}
\end{cases}</math>
라고 하자. 이 수열의 첫 여섯 항은
: <math>(a_n): \frac{1}{2}, \frac{1}{2}, \frac{1}{8}, \frac{1}{8}, \frac{1}{32},\frac{1}{32},\cdots</math>
이다. 그러면 <math>\sup_{m\ge n} \sqrt[m]{a_m} =2^{\frac{1}{2\lfloor \frac{n+1}{2}\rfloor}-1}</math>이므로 <math>\limsup_{n\to\infty} a_n =2^{-1}</math>이다. 따라서 근판정법에 의해 <math>\sum_{n=1}^\infty a_n</math>은 수렴한다. 그러나 <math>\limsup_{n\to\infty} \frac{a_{n+1}}{a_n}=1</math>이고 <math>\liminf_{n\to\infty} \frac{a_{n+1}}{a_n}=\frac{1}{4}</math>이므로 비율판정법을 이용하면 유효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다음 급수에 대해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직접 시도해 보라.<ref>{{서적 인용|성=Rudin|이름=Walter|저자고리=월터 루딘|제목=[[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연도=1976|출판사=McGraw-Hill Education|isbn=007054235X|판=3rd edition}}</ref>
* <math>\frac{1}{2}+\frac{1}{3}+\frac{1}{2^2}+\frac{1}{2^3}+\frac{1}{2^3}+\frac{1}{3^3}+\cdots</math>
* <math>\frac{1}{2}+1+\frac{1}{8}+\frac{1}{4}+\frac{1}{32}+\frac{1}{16}+\cdots</math>
 
== 거듭제곱급수의 수렴반경 ==
{{참고|수렴반지름}}
근판정법은 [[거듭제곱급수]]의 [[수렴반지름]]을 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거듭제곱급수 <math>\sum_{n=0}^{\infty} a_n x^n </math>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근판정법에 의해
: <math>\limsup_{n\to\infty} |a_n|^{\frac{1}{n}} |x| < 1</math>
, 즉
: <math>|x| < \frac{1}{\limsup_{n\to\infty} |a_n|^{\frac{1}{n}}}</math>
일 때 절대수렴한다.
 
거듭제곱급수 <math>\sum_{n=1}^{\infty} \frac{1}{n} x^n </math>이 수렴하는 <math>x\in \mathbb{R}</math>의 범위를 구해보자. <math>\limsup_{n\to\infty}n^{\frac{1}{n}}=1</math>이므로 <math>\sum_{n=1}^{\infty} \frac{1}{n} x^n </math>는 <math>|x| < 1</math>일 때 수렴하고, <math>|x|>1</math>일 때 발산한다. <math>|x|=1</math>일 때는 근판정법으로 수렴성을 판정할 수 없으므로 직접 시도해야 한다. <math>x=1</math>일 때 <math>\sum_{n=1}^{\infty}\frac{1}{n}</math>은 발산하고, <math>x=-1</math>일 때 <math>\sum_{n=1}^{\infty}\frac{(-1)^n}{n}</math>은 [[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 수렴한다. 따라서 <math>\sum_{n=1}^{\infty} \frac{1}{n} x^n </math>는 <math>-1 \le x < 1</math>일 때 수렴한다.
{{각주}}
{{수렴판정법}}
{{수렴판정법}}
[[분류:해석학]]
[[분류:해석학]]
[[분류:수학 정리]]
[[분류:수학 정리]]

2022년 5월 25일 (수) 18:50 기준 최신판


진술[편집 | 원본 편집]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ge 0 }[/math]이라고 하자. 이때

  •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sqrt[n]{a_n} \lt 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수렴한다.
  •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sqrt[n]{a_n} \gt 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발산한다.

증명[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sqrt[n]{a_n} = R }[/math]이라 하자. [math]\displaystyle{ R \lt 1 }[/math]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 \gt 0 }[/math]에 대해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left|\sup_{m \ge n} \sqrt[m]{a_m}-R\right| \lt \varepsilon }[/math]이다. 절댓값 기호를 풀면 [math]\displaystyle{ \sup_{m\ge n}\sqrt[m]{a_m} \lt R+\varepsilon }[/math]이다. [math]\displaystyle{ R\lt \gamma \lt 1 }[/math][math]\displaystyle{ \gamma }[/math]를 하나 잡고 [math]\displaystyle{ \varepsilon = \gamma - R }[/math]으로 두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sup_{m\ge n}\sqrt[m]{a_m} \lt \gamma }[/math]이다. 상한의 정의에 의해 적당한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qrt[n]{a_n} \lt \gamma }[/math], 즉 [math]\displaystyle{ a_n \lt \gamma^n }[/math]이다. [math]\displaystyle{ 0 \lt \gamma \lt 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gamma^n }[/math]은 수렴하고 따라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a_n }[/math]은 수렴한다.

이제 [math]\displaystyle{ R \gt 1 }[/math]이라고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varepsilon = R -1 }[/math]로 두면 [math]\displaystyle{ \sup_{m\ge n}\sqrt[m]{a_m} \gt 1 }[/math]이다. 상한의 정의에 의해 적당한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_n \gt 1 }[/math]이다. [math]\displaystyle{ \sum_{n=1}^{\infty}1 }[/math]이 발산하므로, 비교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발산한다.

따름정리[편집 | 원본 편집]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ge 0 }[/math]이라고 하자. 이때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a_n} \lt 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수렴한다.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a_n} \gt 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a_n }[/math]은 발산한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먼저, 근판정법을 쓰기 전에 아래 극한값을 알아 놓는 것이 좋다.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C}=1,\,C\gt 0 }[/math]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n^p}=1,\,p\gt 0 }[/math]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ln n}=1 }[/math]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n!}=\infty }[/math]
  •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sqrt[n]{n}=1 }[/math]

다음 급수는 근판정법으로 수렴함을 증명할 수 있다.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n^n}{2^\left(n^2\right)}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2^nn^3}{3^n}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5^n}{2^nn!} }[/math]

다음 급수는 근판정법으로 발산함을 증명할 수 있다.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5^n}{3^n\left(n^4+1\right)} }[/math]

다음 급수의 수렴성은 근판정법으로 판정되지 않는다.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 }[/math]
  •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2} }[/math]

근판정법과 비율판정법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만약 어떤 급수의 수렴성이 비율판정법으로 판정된다면, 근판정법으로도 판정할 수 있다. 실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_n \ge 0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liminf_{n\to\infty}\frac{a_{n+1}}{a_n} \le\liminf_{n\to\infty}\sqrt[n]{a_n} \le \limsup_{n\to\infty}\sqrt[n]{a_n}\le \limsup_{n\to\infty}\frac{a_{n+1}}{a_n} }[/math]

임을 보이자. [math]\displaystyle{ \liminf_{n\to\infty}\frac{a_{n+1}}{a_n}=r }[/math]이라 하자. 그러면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 \gt 0 }[/math]에 대해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해 임의의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left|\inf_{m\ge n}\frac{a_{n+1}}{a_n}-r\right| \lt \varepsilon }[/math]이다. 절댓값 기호를 풀면

[math]\displaystyle{ r-\varepsilon \lt \inf_{m\ge n}\frac{a_{n+1}}{a_n} }[/math]

이다. 하한의 정의에 의해, [math]\displaystyle{ n \gt N }[/math]인 임의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r-\varepsilon \lt \frac{a_{n+1}}{a_n} }[/math]

이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r-\varepsilon)^{n-N-1} \lt \frac{a_n}{a_{n-1}}\frac{a_{n-1}}{a_{n-2}}\cdots\frac{a_{N+2}}{a_{N+1}} }[/math]

이고 따라서

[math]\displaystyle{ \frac{a_n}{a_{N+1}} \gt (r-\varepsilon)^{n-N-1} }[/math]

이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sqrt[n]{a_n} \gt \left(\frac{a_{N+1}}{(r-\varepsilon)^{N+1}}\right)^\frac{1}{n}(r-\varepsilon) }[/math]

이고 임의의 [math]\displaystyle{ p\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lim_{n\to\infty}p^{\frac{1}{n}}=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liminf_{n\to\infty} \sqrt[n]{a_n}\ge r-\varepsilon }[/math]

이고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 \gt 0 }[/math]에 대해 식이 성립하므로

[math]\displaystyle{ \liminf_{n\to\infty} \sqrt[n]{a_n}\ge r }[/math]

이다. 오른쪽 부등식에 대해서도 비슷한 과정을 거치면 된다.

그러나 급수가 근판정법으로 수렴하더라도 비율판정법으로 수렴하는지는 알 수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열 [math]\displaystyle{ (a_n) }[/math]의 일반항이

[math]\displaystyle{ a_n=\begin{cases} \frac{1}{2^n},&\text{if $n$ is odd}\\ \frac{1}{2^{n-1}},&\text{if $n$ is even} \end{cases} }[/math]

라고 하자. 이 수열의 첫 여섯 항은

[math]\displaystyle{ (a_n): \frac{1}{2}, \frac{1}{2}, \frac{1}{8}, \frac{1}{8}, \frac{1}{32},\frac{1}{32},\cdots }[/math]

이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sup_{m\ge n} \sqrt[m]{a_m} =2^{\frac{1}{2\lfloor \frac{n+1}{2}\rfloor}-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 a_n =2^{-1} }[/math]이다. 따라서 근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a_n }[/math]은 수렴한다. 그러나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 \frac{a_{n+1}}{a_n}=1 }[/math]이고 [math]\displaystyle{ \liminf_{n\to\infty} \frac{a_{n+1}}{a_n}=\frac{1}{4} }[/math]이므로 비율판정법을 이용하면 유효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다음 급수에 대해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직접 시도해 보라.[1]

  • [math]\displaystyle{ \frac{1}{2}+\frac{1}{3}+\frac{1}{2^2}+\frac{1}{2^3}+\frac{1}{2^3}+\frac{1}{3^3}+\cdots }[/math]
  • [math]\displaystyle{ \frac{1}{2}+1+\frac{1}{8}+\frac{1}{4}+\frac{1}{32}+\frac{1}{16}+\cdots }[/math]

거듭제곱급수의 수렴반경[편집 | 원본 편집]

근판정법은 거듭제곱급수수렴반지름을 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거듭제곱급수 [math]\displaystyle{ \sum_{n=0}^{\infty} a_n x^n }[/math]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근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 |a_n|^{\frac{1}{n}} |x| \lt 1 }[/math]

, 즉

[math]\displaystyle{ |x| \lt \frac{1}{\limsup_{n\to\infty} |a_n|^{\frac{1}{n}}} }[/math]

일 때 절대수렴한다.

거듭제곱급수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frac{1}{n} x^n }[/math]이 수렴하는 [math]\displaystyle{ x\in \mathbb{R} }[/math]의 범위를 구해보자. [math]\displaystyle{ \limsup_{n\to\infty}n^{\frac{1}{n}}=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frac{1}{n} x^n }[/math][math]\displaystyle{ |x| \lt 1 }[/math]일 때 수렴하고, [math]\displaystyle{ |x|\gt 1 }[/math]일 때 발산한다. [math]\displaystyle{ |x|=1 }[/math]일 때는 근판정법으로 수렴성을 판정할 수 없으므로 직접 시도해야 한다. [math]\displaystyle{ x=1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 }[/math]은 발산하고, [math]\displaystyle{ x=-1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sum_{n=1}^{\infty}\frac{(-1)^n}{n} }[/math]교대급수판정법에 의해 수렴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sum_{n=1}^{\infty} \frac{1}{n} x^n }[/math][math]\displaystyle{ -1 \le x \lt 1 }[/math]일 때 수렴한다.

각주

  1. Rudin, Walter (1976).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3rd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ISBN 00705423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