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계역

Zlzleking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0월 19일 (월) 00:38 판 (→‎특징)

石溪驛 / Seokgye Station / 石溪 / ソッケ

운영주체 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경원선
용산 방면
신이문
1.4
km

석 계 1.1
km

백마고지 방면
광운대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방면
광운대
643
1.1
km

석 계
644
1.4
km

인천 · 서동탄 · 신창 방면
신이문
645



운영주체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순환 방면
돌곶이
643
0.8
km

석 계
644
1.0
km

봉화산 방면
태릉입구
645

개요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341(舊 월계동 36-4번지)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 347-1(舊 월계동 25-2번지)에 위치한 지상(선하역)-지하 환승역.

이름은 성북구 석관동의 석(石) 자와 노원구 월계동의 계(溪) 자를 합친 것이다. 실제로 역이 두 동에 걸쳐있다.

역사

1984년 12월 28일 : 역사 신축 준공
1985년 1월 14일 : 경원선 석계역 영업 개시 (보통역)
2000년 8월 7일 : 6호선 석계역 영업 개시
2002년 12월 15일 : 승강장 확장 공사로 인해 하행(인천방향) 승강장 이전
2004년 : 1호선(경원선) 승강장 확장 공사 완료
2005년 12월 21일 :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21에서 120으로 변경
2010년 : 한국철도공사 석계역 스크린도어 설치

특징

경춘선(망우선)이 1호선 승강장 옆을 지나가지만, 승강장이 없어 다음역인 광운대역에 열차가 정차한다.

역 근처는 주거지역이며, 성계역 문화공원 밑으로 우이천이 흐르고, 중랑천과 합류한다.

광운대학교 학생이라면 이 역에서 광운대학교 정문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탑승할 수 있다.

역 주변의 도로가 꽤나 특이한데, 역 위로 북부간선도로화랑로가 지나고, 화랑고가차도에서 빠진 도로가 석계역 남쪽 부분을 지하로 통과한다. 참고로 덧붙이자면, 네이버 지도는 좀 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