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나미

Dandelio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월 12일 (목) 17:30 판

코나미(コナミ, KONAMI)는 1969년에 창업하여 1972년 법인화한 일본의 기업이다. 코나미라는 사명은 공동 창업자 3명의 이름인 코즈키 카게마사, 나카무라 요시노부, 미야사코 타츠오의 영문 로마자 표기에서 두 글자씩 따서 만든 것이다.

2019년 기준 도쿄 미나토구 아카사카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역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업

게임으로 유명하며 애니메이션 사업도 어느 정도 손을 뻗치고 있다. 《도키메키 메모리얼》로 전설을 찍었다가 그 전설이 끝난후에 《러브플러스》로 전설을 찍었다가 또 그 전설이 끝난걸로 유명하다. 물론 원인은 코나미 그 자체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자마자 게임 발매 비중을 대폭 줄이면서, 더 이상 게임 업체로 볼수 없게 되었다.

현재 주력 업종

현재 주력하고 있는 업종을 비중 순으로 나열하였다.

문제점

코나미는 다른 게임 회사들에 비해 비상식적일 정도로 직원들을 통제하기도 한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다. 그래서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블랙기업이라는 소문이 있다. 아래는 '졸렬나미' 라고도 불리며, 해외 게임계에서는 "XXcKONAMI" 라고 불릴 정도이다.

아래는 팬들에게 까이는 이유를 설명한 항목들이다.

저작권을 악용한 보복

게임 회사 코나미의 경우 도키메키 메모리얼 시리즈의 히트 이후 자사 게임들의 2차 창작 활동을 금지시켰으며 저작권을 엄격하게 적용시켰던 때가 있었다.

코믹 마켓에서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2차 창작물을 제작한 사람들을 고소해 구속당한 사람도 있을 정도. 하지만 더 많은 이익을 얻기는커녕 팬덤 이탈이 심해져 이전과 같은 무분별한 제재는 하고 있지 않다.[2] 사실 코나미가 원했던 건 정의가 아니라 돈이었다. 보면 알겠지만 일본의 코믹 마켓은 한 번 제대로 잡으면 1억을 벌 수 있다는 소리까지 있다.[3] 코나미의 목적은 돈과 평생 무보수로 부릴 사람이 필요했는데 그 결과는 안 봐도 뻔했다. 심지어 2009년까지 고소로 끈질기게 달라붙었던 네오플의 《신야구》 저작권 위반 고소의 목적도 법이 아니라 《던전앤파이터》 지분이 목적이었다.[4] 그 증거로 《신야구》와 비슷한 《마구마구》와 《슬러거》는 단 한 번도 고소한 적이 없다.

일본에서는 이 사건 이후 2차 창작을 금지하거나 창작물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처럼 저작권은 강력하게 적용한다고 모두 저작권자의 이익으로 돌아가지 않으며 코나미의 사례처럼 오히려 손해가 될수도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저작권의 타협은 저작권자와 2차 장작자 모두 윈-윈하는 결과가 된다. 사실상 저작권법이 양날의 검으로 평가받는 이유가 이거다.(...)

그리고 정작 코나미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초상권을 겁도 없이 침해했다가 돈만 바가지로 날렸으며 Leaf가 만든 비주얼 노벨을 본인들의 고유 상표로 등록하려다가 Leaf의 고소를 먹고 기각을 당했었다. 그러고도 오히려 꼴 좋다고 말하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을 정도로 욕을 먹었다.

시궁창같은 근무 환경

대한민국의 인터넷 커뮤니티 루리웹에 올라온 [제작사] 왈, 게임 업계 사람들이 말하는 각 개발사 분위기라는 글에 의하면, 언제 해고당할지 모르며, 인력을 쓰고 버린다는 인상이 강하다고 한다.

퇴사자에 대한 보복

퇴사자가 나오면 보복에 가까운 행패를 부리는데 일부를 설명한다.

  • 러브플러스 시리즈로 유명한 미노☆타로는 퇴사 후에 자신의 이름의 저작권이 코나미에 있다고 코나미가 그 이름을 못쓰게 해서 미노보시 타로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제는 코나미가 자기 것이라고 주장한 미노☆타로가 그의 본명이다. 三野太郎라고 쓴다. 참고로 코나미가 저렇게 한 이유는 러브플러스 캐릭터 디자이너라는 이름빨로 편히 살지못하게 하려는 졸렬한 조치이다. 미노 타로 이전에도 퇴사한 일러스트레이터나 만화가나 캐릭터 디자이너가 있지만 그 누구도 미노 타로와 같은 꼴을 당하지 않았다. 졸렬나미의 극을 보여준다. 홍길동의 심정이 이해될 것이다.

그 외

뻔뻔스럽게도 표절성 게임이 몇 개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은 《서프라이즈 어택》과 《월풍마전》이다.

각주

  1. 특히 오락실 게임에 집중하고 있다.
  2. 제재를 예전처럼 타이트하게 하지 않는 것뿐이지 어느 정도 관리는 하고 있다고. 그러나 사실상 못 건드린다가 맞다고 보면 된다. TMA가 영상을 만들었는데 건들지도 못했다.
  3. 단, 저 정도의 돈은 엄청 유명한 네임드에 해당년도의 인기 히트작을 소재로 엄청난 운의 영향 등이 따라줘야 나오는 흥행이다.
  4. 그 결과로 네오플은 여러 작품의 아바타를 만들어도 코나미 작품의 아바타를 만드는 일은 없다. 저작권 교섭이 가장 난해한 회사인데다가 가장 치명적인건 현재의 코나미는 사실상 히트작이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