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창공원앞역

Jh3711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2일 (토) 01:25 판

孝昌公園앞驛 / Hyochang Park Station 박효창역이 아니다!

효창공원앞 / 孝昌公園앞 / Hyochang Park
colspan="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627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백범로 지하 287
(舊 효창동 80번지)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2000년 12월 15일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섬식 승강장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역번 K311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55길 8
(舊 용문동 5-133번지)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개업일 1978년 7월 15일
2015년 6월(재개업)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용산선
용 산
1.8km
효창공원앞 공 덕
0.7km
효창선
용 산
1.8km
효 창 시종착역
colspan="3"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
공 덕
0.9km
효창공원앞 삼각지
1.2km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산선)
공 덕
0.7km
효창공원앞 용 산
1.8km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과 용문동에 걸쳐 있는 지하철역.

본래 용산선 역으로 개업할 당시 역명은 효창역이었다.

연혁

본래 일제강점기용산선 상에는 미생정역(彌生町驛 / Yayoichō Station)이 있었다. 그러나 1944년 희대의 막장 일본군답게 태평양 전쟁으로 전쟁물자 공출을 위해 폐역되어 역 건물이 뜯겨나갔다(...) 이후 1978년 용산역의 화물열차를 처리할 신호장이 필요하게 되자, 이 미생정역 자리에 효창역을 세우게 된다.

이후 1989년 2기 지하철 계획으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효창역이 계획되었고, 이 역은 2000년 12월 15일 "효창공원앞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

2004년 용산선 지하화 공사가 결정되면서 이 역은 영업 자체를 중단했고, 애당초 승객 업무는 본 적도 없었지만 반지하역으로 건립을 하기로 한다. 그런데...

효창역 주민들이 자리깔고 안 비키게 되고 철시공"5월까지 철수 안 하면 그냥 공덕~용산간 터널을 뚫고 효창역은 백지화하겠다"고 밝혔다. 엄포에 쫄았는지 경고를 한 후 협상이 광속으로 진행, 2012년 8월 1일부로 전철연 및 효창역 주변 주민들과 한국철도시설공단 간에 보상문제가 완전히 타결되면서 보상금을 바로 지급하고 전철연이 물러났다. 그리고 광속으로 공사 시작.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직결이 완료되었지만 이 역의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관계로 경의중앙선 전동차는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고 있다. 경의중앙선 역은 2015년 6월중 개통 예정.

2015년 1월 16일 철도시설공단에서 경의중앙선 전철역 명칭을 효창공원앞역으로 결정했다.

특징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