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환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ig>成歡驛 / Seonghwan Station / 成欢 / ソンファン</big>
{{철도역 정보
{{정보상자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KR}}
|이름=철도역 정보
|글자색 = white
|전체모양 = width:285px;
|상단 =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역명 = <div style="line-height: 120%;">KORAIL 성환역<br /><small>(남서울대)</small></div>
|항목모양=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그림 =  
|항목1=운영주체
|역번호 = {{역번호/한국|P166|SM|1}}
|내용1=[[코레일]] 대전충남본부</td></tr>
|역코드 =
<tr><td colspan="2" style="margin: 0; padding:0;">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
{{정보상자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정보상자아님=
|폐지일 =
|전체속성 = collapsible collapsed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
|subbox = yes
|승강장 = 4면 6선
|작은제목= 세부 정보
|운임구역 =  
|작은제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이용객 =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노선 = [[경부선|경부본선]] <small>84.4 km</small>
|항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text-align:left;
|항목3=개업일
|내용3= 1905년 1월 1일
|항목4=등급
|내용4= [[보통역]] (3급)
}}
}}
}}
{{+1|성환역}}<br />成歡驛 / Seonghwan Statio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 '''[[경부선]]'''
|-
| style="width: 170px;" |<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br/>'''[[평택역|평 택]]'''
| style="width: 30px;" | <small>4.8<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성 환'''</big>
| style="width: 30px;"| <small>3.7<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br/>'''[[직산역|직 산]]'''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1}}; color: white;" | '''[[수도권 전철 1호선|<span style="color: white;">수도권 전철 1호선</span>]]'''
|-
| style="width: 170px;" |<small>[[소요산역|소요산]] 방면</small><br/>'''[[평택역|평 택]]'''<br/><small>P165</small>
| style="width: 30px;" | <small>4.8<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성 환'''</big><br/><small>(남서울대)</small><br/><small>P166</small>
| style="width: 30px;"| <small>3.7<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신창역|신창]] 방면</small><br/>'''[[직산역|직 산]]'''<br/><small>P167</small>
|}


== 개요 ==
== 개요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舊 [[성환리]] 449-128번지)에 위치한 지상역으로 부기역명은 [[남서울대학교]]에서 따왔다. 헌데 실제 거리는 그다지 가깝지 않다는게 함정. 참고로 이 역부터 [[충청남도]]에 속한다.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舊 [[성환리]] 449-128번지)에 위치한 지상역으로 부기역명은 [[남서울대학교]]에서 따왔다. 헌데 실제 거리는 그다지 가깝지 않다는게 함정. 참고로 이 역부터 [[충청남도]]에 속한다.


=== 주요 계통 ===
이 역 일대가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에, 경부선이 최초 개통했을 때,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성환역장을 임명할 때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했었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203011003</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KR|M}};" | '''[[무궁화호|<span style="color: white;">무궁화호</span>]]'''
이  역과 전 역(평택역)의 거리는 약 9.4km로 매우 길다. 덕분에 수도권 전철의 전동차도 이 구간에서는 최고속력으로 달려주는 것이 기본이다.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big>'''↔'''</big>
| style="width: 160px;" | 경부선
| style="width: 45px;"| <big>'''↔'''</big>
| style="width: 170px;" | [[천안역|천 안]]<br/><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용산역|용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big>'''↔'''</big>
| style="width: 160px;" | 호남선
| style="width: 45px;"| <big>'''↔'''</big>
| style="width: 170px;" | [[천안역|천 안]]<br/><small>[[목포역|목포]] 방면</small>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용산역|용산]]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big>'''↔'''</big>
| style="width: 160px;" | 전라선
| style="width: 45px;"| <big>'''↔'''</big>
| style="width: 170px;" | [[천안역|천 안]]<br/><small>[[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방면</small>
|}


역의 북서쪽에서 분기하여 고가를 따라 북동쪽(학정리)으로 가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가 있는데, 이는 인근 탄약창으로 들어가는 군 전용선이다.
== 역사 ==
* [[1905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92년]] [[6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1992년]] [[12월 14일]] : 군전용선 부설
* [[2003년]] [[11월 6일]] : 현재의 역사 신축
*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 [[2006년]] [[9월 1일]] : 부역명으로 '남서울대' 제정
* [[2009년]] [[6월 1일]] : 누리로 열차 운행 개시
* [[2010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
== 역 구조 ==
4면 6선의 승강장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KR|N}};" | '''[[누리로|<span style="color: white;">누리로</span>]]'''
|+ ↑ 역사 방향 (동쪽)
|-
! 1 · 2
| style="text-align: center;" | 201 [[경부선|경부본선]] 2선 전철선 하행
| <span style="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 완행
| [[두정역|두정]]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
! 3 · 4
| style="width: 45px;" | <big>'''↔'''</big>
| style="text-align: center;" | 201 경부본선 1선 열차선 하행
| style="width: 160px;" | 장항선
| 일반열차
| style="width: 45px;"| <big>'''↔'''</big>
| [[대전역|대전]] ·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방면
| style="width: 170px;" | [[천안역|천 안]]<br/><small>[[신창역|신창]] 방면</small>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철도 노선색|S|1}}; color:white;"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용산역|용산]] 방면</small>
! 5 · 6
| style="width: 45px;" | <small>'''1 역'''</small><br/><big>'''↔'''</big>
| style="text-align: center;" | 201 경부본선 1선 열차선 상행
| style="width: 160px;" | '''용산-천안 A급행'''<br/>
| 일반열차
| style="width: 45px;"| <small>'''2 역'''</small><br/><big>'''↔'''</big>
| [[영등포역|영등포]] · [[용산역|용산]] · [[서울역|서울]] 방면
| style="width: 170px;" | '''[[두정역|두 정]]'''<br/><small>[[천안역|천안]] 방면</small>
|-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서울역]] (지상) 방면</small>
! 7 · 8
| style="width: 45px;" | <small>'''1 역'''</small><br/><big>'''↔'''</big>
| style="text-align: center;" | 201 경부본선 2선 전철선 상행
| style="width: 160px;" | '''용산-천안 B급행'''<br/>
| <span style="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 완행
| style="width: 45px;"| <small>'''2 역'''</small><br/><big>''''''</big>
| [[수원역|수원]] · [[구로역|구로]]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style="width: 170px;" | '''[[두정역|두 정]]'''<br/><small>[[천안역|천안]] 방면</small>
|-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청량리역|청량리]]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small>
| style="width: 45px;" | ↔
| style="width: 160px;" | 광운대-천안·신창 완행
| style="width: 45px;"| ↔
| style="width: 170px;" | [[평택역|평 택]]<br/><small>[[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small>
|}
|}


== 역사 ==
== 주변 정보 ==
[[1905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br/>
{{빈 문단}}
[[1992년]] [[6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br/>
== 경유 노선 ==
[[1992년]] [[12월 14일]] : 군전용선 부설<br/>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2003년]] [[11월 6일]] : 현재의 역사 신축<br/>
{{경유 노선/관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관할=한국철도공사 (KORAIL)|링크=한국철도공사}}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br/>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2006년]] [[9월 1일]] : 부역명으로 '남서울대' 제정<br/>
|노선폭=8em|노선명=201 경부본선|노선링크=경부선|노선거리=84.4 km
[[2009년]] [[6월 1일]] : 누리로 열차 운행 개시<br/>
|전역폭=10em|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평택역|평택]]|전거리=9.4 km
[[2010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
|당역폭=8em|당역='''성환'''
|후역폭=10em|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직산역|직산]]|후거리=5.4 km}}
{{경유 노선/닫기}}


== 특징 ==
=== 수도권 전철 ===
*역의 북서쪽에서 분기하여 고가를 따라 북동쪽(학정리)으로 가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가 있는데, 이는 인근 탄약창으로 들어가는 군 전용선이다.
{{경유 계통/열기}}
*이 역 일대가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에, 경부선이 최초 개통했을 때,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성환역장을 임명할 때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했었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203011003</ref>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링크=수도권 전철 1호선}}
*이  역과 전 역(평택역)의 거리는 약 9.4km로 매우 길다. 덕분에 수도권 전철의 전동차도 이 구간에서는 최고속력으로 달려주는 것이 기본이다.
{{경유 계통|전역폭=12em|전방면=[[서울역|서울]] · [[용산역|용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P165|SM|1}} [[평택역|평택]]|전거리=9.4 km
|당역폭=8em|당역={{역번호/한국|P166|SM|1}} '''성환'''|등급=A · B급행
|후역폭=12em|후방면=[[천안역|천안]]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68|SM|1}} [[두정역|두정]]|후거리=9.2 km}}
{{경유 계통|전방면=[[광운대역|광운대]] 방면|전역={{역번호/한국|P165|SM|1}} [[평택역|평택]]|전거리=9.4 km
|당역={{역번호/한국|P166|SM|1}} '''성환'''|등급=완행
|후방면=[[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67|SM|1}} [[직산역|직산]]|후거리=5.4 km}}
{{경유 계통/닫기}}


=== 경유 열차 ===
* '''기준일자''' 2016년 12월 9일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닫기=닫음}}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여객본부|7}}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br />[[누리로]]|3}}
{{경유 열차 목록/한국/1200|표시=표시|계통칸=1|평택=1|성환=1|운행편수=}}
{{경유 열차 목록/한국/1420|표시=표시|계통칸=1|성환=1|운행편수=}}
{{경유 열차 목록/한국/1500|표시=표시|계통칸=1|성환=1|운행편수=}}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각주}}
{{각주}}
{{퍼온문서|||일부}}
[[분류:경부선]]
[[분류:경부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충청남도의 철도역]]
[[분류:충청남도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분류:전철역]]

2016년 12월 4일 (일) 00:31 판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
노선 경부본선 84.4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업일 1905년 1월 1일
승강장 4면 6선

성환역
成歡驛 / Seonghwan Station

개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舊 성환리 449-128번지)에 위치한 지상역으로 부기역명은 남서울대학교에서 따왔다. 헌데 실제 거리는 그다지 가깝지 않다는게 함정. 참고로 이 역부터 충청남도에 속한다.

이 역 일대가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에, 경부선이 최초 개통했을 때,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성환역장을 임명할 때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했었다.[1]

이 역과 전 역(평택역)의 거리는 약 9.4km로 매우 길다. 덕분에 수도권 전철의 전동차도 이 구간에서는 최고속력으로 달려주는 것이 기본이다.

역의 북서쪽에서 분기하여 고가를 따라 북동쪽(학정리)으로 가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가 있는데, 이는 인근 탄약창으로 들어가는 군 전용선이다.

역사

역 구조

4면 6선의 승강장이다.

↑ 역사 방향 (동쪽)
1 · 2 201 경부본선 2선 전철선 하행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 완행 두정 · 천안 · 신창 방면
3 · 4 201 경부본선 1선 열차선 하행 일반열차 대전 · 동대구 · 부산 방면
5 · 6 201 경부본선 1선 열차선 상행 일반열차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7 · 8 201 경부본선 2선 전철선 상행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 완행 수원 · 구로 · 광운대 방면

주변 정보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olspan="4"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한국철도공사 (KORAIL)
class="tp_link" style="width: 8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01 경부본선
(84.4 km)
서울 방면
평택 9.4 km
성환 부산 방면
직산 5.4 km

수도권 전철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 용산 방면
 P165  평택
 P166  성환
A · B급행
천안 방면
 P168  두정
광운대 방면
 P165  평택
 P166  성환
완행
신창 방면
 P167  직산

경유 열차

  • 기준일자 2016년 12월 9일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2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42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5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