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추가 및 정리)
(사용 문단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Web + Log = Blog<br />
Web + Log = Blog<br />
웹에서 기록을 남기는 개인 공간을 블로그라고 부른다.<br />
웹에서 기록을 남기는 개인 공간이다.<br />
인터넷 카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카페가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면 블로그는 그러한 사람들의 개별적인 공간이다.  
인터넷 카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카페가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면 블로그는 그러한 사람들의 개별적인 공간이다.  
아기자기한 것들을 게시하기 좋은 공간이기에  여성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물론 불순한 의도를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s>[[잡았다 요놈!|당신 해봤구나!!!]]</s>


== 역사 ==
== 역사 ==
11번째 줄: 9번째 줄:
2010년대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향으로 인터넷에서 블로그가 차지하는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장문의 글을 보관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는 블로그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중심이 되는  
2010년대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향으로 인터넷에서 블로그가 차지하는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장문의 글을 보관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는 블로그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중심이 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7년 시작된 서비스형 블로그인 [[텀블러 (블로그)|텀블러]]는 태그와 리블로그 기능을 통한 블로그간의 연결과 공유를 특징으로 삼았고, 각각 2012년과 2015년 시작된 [[미디엄]]과 [[브런치]]는 글쓰기에 특화된 온라인 글쓰기·발행 플랫폼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7년 시작된 서비스형 블로그인 [[텀블러 (블로그)|텀블러]]는 태그와 리블로그 기능을 통한 블로그간의 연결과 공유를 특징으로 삼았고, 각각 2012년과 2015년 시작된 [[미디엄]]과 [[브런치]]는 글쓰기에 특화된 온라인 글쓰기·발행 플랫폼이라는 점과 간결한 디자인을 내세웠다. 2012년 기획된 [[포스타입]]은 콘텐츠의 판매가 가능한 콘텐츠 유통 블로그 플랫폼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 사용 ==
일기, 메모,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정보 전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보편화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짧고 간단하거나 가볍고 휘발성 있는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올리고, 내용이 길거나 기록·확인 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블로그에 올리는 식이다. 블로그에 올린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기도 한다.
 
아기자기한 것들을 게시하기 좋은 공간이기에  여성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물론 불순한 의도를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s>[[잡았다 요놈!|당신 해봤구나!!!]]</s>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구독하려면 [[네이버 블로그]]나 [[텀블러 (블로그)|텀블러]]와 같이 자체적인 구독 기능을 통해 구독하는 방법도 있으나, [[RSS]] 리더를 사용하면 블로그 서비스와 관계 없이 글을 구독할 수 있다.
 
[[바이럴 마케팅]]이나 광고·판매 수익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저품질의 정보가 유통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블로그]]가 최대 규모이다 보니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검색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블로그를 자체적으로 필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https://twitter.com/wns428/status/580375140023689216 정보]가 공유되기도 한다.  


== 분류 ==
== 분류 ==
29번째 줄: 36번째 줄:


==== 외국 ====
==== 외국 ====
* [[텀블러 (블로그)|텀블러]] - '마이크로 블로그'로 분류되곤 한다. [[야후!|야후]]가 인수했으나 Tumblr, Inc.의 이름으로 운영된다.
* [[텀블러 (블로그)|텀블러]] - '마이크로 블로그'로 분류되곤 한다. [[야후!|야후]]가 인수했으나 여전히 Tumblr, Inc.의 이름으로 운영된다.
* [[블로거]] - 블로그 스팟이라고도 하며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
* [[블로거]] - 블로그 스팟이라고도 하며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
* [[워드프레스닷컴]]  
* [[워드프레스닷컴]]  

2016년 8월 1일 (월) 23:34 판

개요

Web + Log = Blog
웹에서 기록을 남기는 개인 공간이다.
인터넷 카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카페가 같은 취미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라면 블로그는 그러한 사람들의 개별적인 공간이다.

역사

2000년대 초반까지 일부에서 개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던 것이 블로그의 시초다. 한국에서는 2002년 8월 에이블클릭을 시작으로 2003년 6월 네이버가 '페이퍼'를, 온네트가 이글루스를 열며 서비스형 블로그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2010년대에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향으로 인터넷에서 블로그가 차지하는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장문의 글을 보관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소라는 점에서는 블로그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셜 미디어가 중심이 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7년 시작된 서비스형 블로그인 텀블러는 태그와 리블로그 기능을 통한 블로그간의 연결과 공유를 특징으로 삼았고, 각각 2012년과 2015년 시작된 미디엄브런치는 글쓰기에 특화된 온라인 글쓰기·발행 플랫폼이라는 점과 간결한 디자인을 내세웠다. 2012년 기획된 포스타입은 콘텐츠의 판매가 가능한 콘텐츠 유통 블로그 플랫폼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사용

일기, 메모,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정보 전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보편화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짧고 간단하거나 가볍고 휘발성 있는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올리고, 내용이 길거나 기록·확인 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블로그에 올리는 식이다. 블로그에 올린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기도 한다.

아기자기한 것들을 게시하기 좋은 공간이기에 여성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물론 불순한 의도를 노리고 접근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있다.당신 해봤구나!!!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구독하려면 네이버 블로그텀블러와 같이 자체적인 구독 기능을 통해 구독하는 방법도 있으나, RSS 리더를 사용하면 블로그 서비스와 관계 없이 글을 구독할 수 있다.

바이럴 마케팅이나 광고·판매 수익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저품질의 정보가 유통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블로그가 최대 규모이다 보니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검색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블로그를 자체적으로 필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정보가 공유되기도 한다.

분류

일반적으로 서비스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로 분류된다. 서비스형 블로그는 사용자가 블로그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서 가지게 되는 블로그로, 사용이 쉽지만 테마 편집의 자유도나 용량 등의 제약이 있다. 설치형 블로그는 소프트웨어를 호스팅 서비스나 자신의 서버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블로그이며, 서비스형 블로그와 달리 자유로운 반면 유지·관리의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지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블로그 서비스 목록

서비스형 블로그

한국

  • 네이버 블로그
  • 다음 블로그
  • 티스토리 - 블로그 전문 기업인 태터앤컴퍼니(현제 구글 코리아로 인수 통합)와 다음에서 지분을 반반씩 소유하여 포탈과 관계가 별로 없었으나 태터앤컴퍼니에서 다음으로 모든 지분을 인수하여서 포털 다음에서 서비스하는 2번째 블로그 서비스가 되었다.
  • 이글루스
  • 브런치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글쓰기 위주의 블로그 서비스. 2016년 8월 1일 기준 베타 서비스 중.
  • 포스타입 - 콘텐츠를 유료로 판매할 수 있다.
  • 네이버 포스트 - 네이버 블로그의 포스트 부분만 뽑아서 미디엄처럼 만든 블로그 서비스
  • 플레인 - 카카오(구 다음카카오)의 모바일 블로그 서비스.

외국

설치형 블로그

한국

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