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번 지방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도로표지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지방도\|(\d+)\}\} +|도로표지 = 50px))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도로 정보
{{도로 정보
|노선명 = 정선-연곡선
|도로이름 = 정선-연곡선
|노선번호명 = 지방도 제415호선
|원어이름 =  
|노선번호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지방도|415}}
|도로표지 = [[파일:Korea Local Route No.415.svg|50px]]
|기점 = [[강원도]] [[영월군]] [[북면 (영월)|북면]] 문곡리
|지도    =
|종점 =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지도설명 =
|연장 = 81.5km
|도로번호 =
|개통일 =  
|종류    =
|폐지일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 북면|북면]] 문곡리
|관할 = [[강원도]]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연장     = 81.5km
|개통일   =  
|폐지일   =  
|관할     = [[강원특별자치도]]
|비고    =
}}
}}
==개요==
==개요==
[[강원도]] [[영월군]] [[북면 (영월)|북면]] 문곡리 문곡삼거리에서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오봉삼거리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 북면|북면]] 문곡리 문곡삼거리에서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오봉삼거리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주요 경유지==
==주요 경유지==
*문곡 - 미탄(밤재로)구간
*문곡 - 미탄(밤재로)구간
**[[강원도]] [[영월군]] [[북면 (영월)|북면]] 문곡리 문곡삼거리(노선시점, [[국도 제31호선]]에서 분기) - 마차리(문곡면 소재지) - 밤재터널 - [[평창군]] [[미탄면]] 창리 창리삼거리([[국도 제42호선]]에 합류)
**[[강원도]] [[영월군]] [[영월 북면|북면]] 문곡리 문곡삼거리(노선시점, [[31번 국도]]에서 분기) - 마차리(문곡면 소재지) - 밤재터널 - [[평창군]] [[미탄면]] 창리 창리삼거리([[42번 국도]]에 합류)
*여량-왕산(노추산로, 왕산로)구간
*여량-왕산(노추산로, 왕산로)구간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아우리지삼거리([[국도 제42호선]]에서 분기) - 자개1교 남단 삼거리(자개골마을 입구)([[지방도 제410호선]]과 중첩구간 시작) -  [[구절리역]] -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 대기교 남단 삼거리(지방도 제410호선 중첩구간 종료) - 감자원종장 입구 - 닭목재(닭목령, 700m) - 왕산리 오봉삼거리(노선종점, [[국도 제35호선]] 구도로와 접속)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아우리지삼거리([[42번 국도]]에서 분기) - 자개1교 남단 삼거리(자개골마을 입구)([[410번 지방도]]과 중첩구간 시작) -  [[구절리역]] -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 대기교 남단 삼거리(410번 지방도 중첩구간 종료) - 감자원종장 입구 - 닭목재(닭목령, 700m) - 왕산리 오봉삼거리(노선종점, [[35번 국도]] 구도로와 접속)


==기타==
==기타==
*이 노선은 원래 [[강릉댐]]으로 생긴 호수인 오봉저수지쪽에서 [[국도 제35호선]]과 접속하는 노선이었으나 2016년 12월 22일 왕산터널의 개통으로 국도노선이 이설되면서 두 노선이 서로 간접접속하게 되었다.
*이 노선은 원래 [[강릉댐]]으로 생긴 호수인 오봉저수지쪽에서 [[35번 국도]]과 접속하는 노선이었으나 2016년 12월 22일 왕산터널의 개통으로 국도노선이 이설되면서 두 노선이 서로 간접접속하게 되었다.
*영월과 평창 사이의 구간은 원래 밤재라는 고개를 넘는 도로였으나 2016년 12월 16일 밤재터널을 비롯한 일부구간 2.86km가 우선 개통되면서 기존의 좁고 험했던 도로 구간의 통행이 많이 개선되었다. 이후로도 밤재로 해당 구간 13.2km에 대한 지속적인 선형개량 작업이 있을 예정이다.
*영월과 평창 사이의 구간은 원래 밤재라는 고개를 넘는 도로였으나 2016년 12월 16일 밤재터널을 비롯한 일부구간 2.86km가 우선 개통되면서 기존의 좁고 험했던 도로 구간의 통행이 많이 개선되었다. 이후로도 밤재로 해당 구간 13.2km에 대한 지속적인 선형개량 작업이 있을 예정이다.


26번째 줄: 31번째 줄:
{{강원도의 지방도}}
{{강원도의 지방도}}
[[분류:지방도]]
[[분류:지방도]]
[[분류:강원도의 도로]]
[[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도로]]

2023년 11월 10일 (금) 17:39 기준 최신판

정선-연곡선
Korea Local Route No.415.svg
도로 정보
기점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연장 81.5km
관할 강원특별자치도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 문곡삼거리에서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오봉삼거리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주요 경유지[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이 노선은 원래 강릉댐으로 생긴 호수인 오봉저수지쪽에서 35번 국도과 접속하는 노선이었으나 2016년 12월 22일 왕산터널의 개통으로 국도노선이 이설되면서 두 노선이 서로 간접접속하게 되었다.
  • 영월과 평창 사이의 구간은 원래 밤재라는 고개를 넘는 도로였으나 2016년 12월 16일 밤재터널을 비롯한 일부구간 2.86km가 우선 개통되면서 기존의 좁고 험했던 도로 구간의 통행이 많이 개선되었다. 이후로도 밤재로 해당 구간 13.2km에 대한 지속적인 선형개량 작업이 있을 예정이다.

각주

대한민국 강원도 관내 지방도
가로줄 : 폐지 또는 국도/국지도로 전환된 노선.
대한민국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