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진부-고단선 | |
---|---|
도로 정보 |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신기리[1]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고단리 |
연장 | 45.6km |
관할 | 강원도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신기교차로[2]와 강릉시 왕산면 고단리 고단삼거리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주요 경유지[편집 | 원본 편집]
- 평창군 진부면 송정리 신기교차로(노선시점, 59번 국도에서 분기) - 신기리 - 910고개(고개명 미상) - 대광사 인근(비포장 구간 시작) - 두루교 - 정선군 여량면 구절리 - 비포장구간 종료 - 정선레일바이크 자개골캠핑장 - 유천리 - 자개1교 남단 삼거리(415번 지방도과 중첩구간 시작) - 구절리역 -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 대기교 남단 삼거리(415번 지방도 중첩구간 종료) - 비오치(약 830m) - 고단리 - 고단 보건진료소 - 고단삼거리(노선종점, 35번 국도에 합류)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이 도로 구간 중 진부면 봉산리에서 정선군 여량면 유천리 자개골까지의 8.7km구간은 2016년 기준으로 비포장 1차로 구간이다. 이 때문에 오프로드 마니아들이 이 도로를 자주 찾고 있는 상황이다.(일반차량은 들어가는 건 자유지만 나오는 것은 책임지지 못한다) 다만 도로 노선 인근 거주 11가구의 경우 비포장 도로로 인한 흙먼지 피해가 많아 일부 구간에 한해 1차로 아스팔트 포장이라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는 하는데 문제는 그놈의 예산 덕분에 언제쯤 완료될지는 알 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포장구간이라고 해서 안심하기 어려운게... 이 도로 노선 중 비포장 구간 거리에 육박하는 7.1km구간은 2차로도 아닌 1차선 도로이다. 그냥 임도에 시멘트나 콘크리트를 발라놓은 수준.
- 고속도로 길이 막혀 우회로로 이 길을 타고 들어갔던 사람의 생생한 오지체험(?) 후기가 있다. 거의 납량특집 수준. 심지어 2014년 대한민국에서 3G 핸드폰이 터지지 않는 지역이었다고...
각주
강원도 관내 지방도 |
---|
|
대한민국의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