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족 탄화수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ile|file): +[[파일:))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Aromatic hydrocarbon
*Aromatic hydrocarbon


[[File:Benzene Structural diagram.svg|섬네일|벤젠 고리모형중 하나.]]
[[파일:Benzene Structural diagram.svg|섬네일|벤젠 고리모형중 하나.]]
==개요==
==개요==
방향족 [[탄화수소]]는 [[방향성]]을 띈 탄화수소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방향족 [[탄화수소]]는 [[방향족성]]을 띤 [[탄화수소]]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여기서 방향족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전후좌후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이 아니라 특유의 냄새를 발산하는 물질이라고 하여서 방향이라고 한다. 화학에서 방향성(芳香性, Aromaticity)은 향기를 내는 성질이라는 본래의 뜻에서 벗어나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이 고리 전체에 공명을 이뤄서 특별히 안정해지는 성질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대부분은 평면 육각형 벤젠 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나<ref>방향족 탄화수소 중 가장 간단한 물질이 [[벤젠]](C<sub>6</sub>H<sub>6</sub>)이어서 통상 이 고리를 벤젠 고리라 한다.</ref> 7각형과 5각형고리가 붙어있는 [[아줄렌]]처럼 벤젠 고리를 포함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도 있다.
여기서 방향족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전후좌우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이 아니라 특유의 냄새를 발산하는 물질이라고 하여서 방향이라고 한다. 화학에서 방향족성(芳香族性, Aromaticity)은 향기를 내는 성질이라는 본래의 뜻에서 벗어나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이 고리 전체에 공명을 이뤄서 특별히 안정해지는 성질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대부분은 평면 육각형 벤젠 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나<ref>방향족 탄화수소 중 가장 간단한 물질이 [[벤젠]](C<sub>6</sub>H<sub>6</sub>)이어서 통상 이 고리를 벤젠 고리라 한다.</ref> 7각형과 5각형고리가 붙어 있는 [[아줄렌]]처럼 벤젠 고리를 포함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도 있다.


화학식으로 나타낼 때는 육각형 안에 원을 그려넣은 방식으로 간략화시켜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화학식으로 나타낼 때는 육각형 안에 원을 그려넣은 방식으로 간략화시켜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물질==
==물질==
방향족의 기본 [[탄소]]고리는 유지하면서 여기에 붙어 있는 [[수소]] 원자가 다른 분자나 원자로 치환되는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이외에 벤젠고리가 2개 이상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어 낸다.
방향족의 기본 [[탄소]]고리는 유지하면서 여기에 붙어 있는 [[수소]] 원자가 다른 분자나 원자로 치환되는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이외에 벤젠고리가 2개 이상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어 낸다.
*1개의 고리를 기본으로 하는 경우
*1개의 고리를 기본으로 하는 경우
**[[벤젠]]
**[[벤젠]]
25번째 줄: 23번째 줄:
**[[안트라센]] : 3개의 벤젠고리 결합
**[[안트라센]] : 3개의 벤젠고리 결합
**[[벤조피렌]] : 5개의 벤젠고리 결합
**[[벤조피렌]] : 5개의 벤젠고리 결합
**[[피렌]]
**[[페난트렌]]
**[[트라이페닐렌]]
**[[테트라센]]
*벤젠 고리가 없는 경우
** [[아줄렌]]
** [[사이클로옥타데카노나엔]]
** [[트랜스-바이칼리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휘켈 규칙]]
* [[휘켈 규칙]]
----
<references/>


[[분류:화학]][[분류:유기화학]][[분류:방향족 탄화수소]]
{{각주}}
 
[[분류:유기화학]]  
[[분류:방향족 탄화수소| ]]
[[분류:방향족 화합물]]

2022년 8월 29일 (월) 00:31 기준 최신판

  • 방향족 탄화 수소
  • 芳香族 炭化水素
  • Aromatic hydrocarbon
벤젠 고리모형중 하나.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방향족 탄화수소방향족성을 띤 탄화수소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여기서 방향족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전후좌우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이 아니라 특유의 냄새를 발산하는 물질이라고 하여서 방향이라고 한다. 화학에서 방향족성(芳香族性, Aromaticity)은 향기를 내는 성질이라는 본래의 뜻에서 벗어나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이 고리 전체에 공명을 이뤄서 특별히 안정해지는 성질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대부분은 평면 육각형 벤젠 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나[1] 7각형과 5각형고리가 붙어 있는 아줄렌처럼 벤젠 고리를 포함하지 않은 방향족 탄화수소도 있다.

화학식으로 나타낼 때는 육각형 안에 원을 그려넣은 방식으로 간략화시켜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물질[편집 | 원본 편집]

방향족의 기본 탄소고리는 유지하면서 여기에 붙어 있는 수소 원자가 다른 분자나 원자로 치환되는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이외에 벤젠고리가 2개 이상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어 낸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방향족 탄화수소 중 가장 간단한 물질이 벤젠(C6H6)이어서 통상 이 고리를 벤젠 고리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