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RA: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기획자 = +|제작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 제목            = [[파일:Soviet-logo.png|20px|middle]]오픈RA
|게임이름 = 오픈RA
| 원제목          = [[파일:Soviet-logo.png|15px|middle]]OpenRA
|원어이름 = OpenRA
| 개발사         = [http://www.moddb.com/company/openra-developers OpenRA developers]
|배경색  =
|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3.0]]
|글자색  =
| 원작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br><s>[[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s><ref name="이식">추후에 이식 예정</ref><br>[[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br><s>[[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s><ref name="이식"/><br>[[듄 2000]]
|그림    =  
| 엔진            = OpenRA 엔진
|그림설명 =
| 버전            = Release 20151224
|배급사  =
| 플랫폼         = [[윈도우즈]], [[macOS]], [[리눅스]] 등등
|개발사   = [http://www.moddb.com/company/openra-developers OpenRA developers]
| 출시            = 2009년 9월 20일
|제작    =  
| 장르            =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RTS)]]
|작가    =
| 모드           = 싱글 플레이, 멀티 플레이
|미술    =  
| 언어           = [[영어]]
|작곡가  =  
|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장르    =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RTS)]]
|출시일  = 2009년 9월 20일
|종료일  =  
|플랫폼   = [[윈도우즈]], [[macOS]], [[리눅스]] 등등
|모드     = 싱글 플레이, 멀티 플레이
|언어     = [[영어]]
|엔진    = OpenRA 엔진
|시리즈  =
|이전작  =
|후속작  =
|웹사이트 =
|비고    =  
}}
}}
 
'''오픈RA'''는 [[웨스트우드 스튜디오]]가 만든 여러 [[실시간 전략 게임]](RTS)용 [[게임 엔진|엔진]]의 이름이자,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툴이다. 오픈RA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3.0]]으로 배포되며, [[GitHub]]를 통해 누구든지 자유롭게 기여를 할 수 있다.
== 개요 ==
오픈RA는 [[웨스트우드 스튜디오]]가 만든 여러 RTS 게임용 엔진의 이름이자,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툴이다. 오픈RA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3.0]]으로 배포되며, [[GitHub]]를 통해 누구든지 자유롭게 기여를 할 수 있다.


[[2016년]] 5월 8일 버전이 4개월간 유지되다가, 2016년 9월 5일에 새 버전의 베타 버전이 올라왔다.
[[2016년]] 5월 8일 버전이 4개월간 유지되다가, 2016년 9월 5일에 새 버전의 베타 버전이 올라왔다.
22번째 줄: 31번째 줄:
== 특징 ==
== 특징 ==
=== 저작권 ===
=== 저작권 ===
오픈RA는 특이하게도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배포되기 때문에, 누구나 [[저작권]]을 걱정하지 않고 다운받을 수 있다. 마침 [[Electronic Arts|EA]]가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타이베리안 돈]],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타이베리안 선]],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레드얼럿]],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레드얼럿 2]], [[듄 2000]]과 그 확장팩을 프리웨어로 배포하여 엔진 뿐만 아니라 게임도 문제없이 다운받을 수 있다.
오픈RA는 특이하게도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배포되기 때문에, 누구나 [[저작권]]을 걱정하지 않고 다운받을 수 있다. 마침 [[Electronic Arts|EA]]가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타이베리안 돈]],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선|타이베리안선]],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레드얼럿]],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레드얼럿 2]], [[듄 2000]]과 그 확장팩을 프리웨어로 배포하여 엔진 뿐만 아니라 게임도 문제없이 다운받을 수 있다.


다만, 용량문제로 게임 내 컷신과 BGM은 별도로 다운받아야 한다. 게임 CD를 컴퓨터에 삽입하고(또는 가상 CD를 웹 상에서 다운받고), 이를 이용해 오픈RA가 컷신과 BGM을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된다. 오픈RA 서버에 올라온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자.
다만, 용량문제로 게임 내 컷신과 BGM은 별도로 다운받아야 한다. 게임 CD를 컴퓨터에 삽입하고(또는 가상 CD를 웹 상에서 다운받고), 이를 이용해 오픈RA가 컷신과 BGM을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된다. 오픈RA 서버에 올라온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자.
33번째 줄: 42번째 줄:


=== 향상된 시스템 ===
=== 향상된 시스템 ===
오픈RA의 큰 장점 가운데 하나가 원래는 지원되지 않는 시스템이 제대로 구현되있다는 점이다. 현재 플레이할 수 있는 타이베리안 돈과 레드얼럿, 듄 2000 모두 [[어택땅]]정도는 기본으로 지원하며, 전장의 안개(Fog of War)와 건물 및 유닛의 생산 예약이 구현되있다. 거기에다, 유닛과 건물을 전부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원작보다 간결하다.<ref>듄 2000의 경우, 스타포트로 지원군을 요청하는 것도 별도의 분류로 지정해놨다.</ref> <s>대신 분류마다 단축키가 있어서 이거 외워야 한다는건 함정</s> 슈퍼무기 사용도 별도의 아이콘이 화면에 뜨도록 하여 원작보다 사용하기 편하다.  
오픈RA의 큰 장점 가운데 하나가 원래는 지원되지 않는 시스템이 제대로 구현되어있다는 점이다. 현재 플레이할 수 있는 타이베리안 돈과 레드얼럿, 듄 2000 모두 [[어택땅]]정도는 기본으로 지원하며, 전장의 안개(Fog of War)와 건물 및 유닛의 생산 예약이 구현되어있다. 거기에다, 유닛과 건물을 전부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원작보다 간결하다.<ref>듄 2000의 경우, 스타포트로 지원군을 요청하는 것도 별도의 분류로 지정해놨다.</ref> <s>대신 분류마다 단축키가 있어서 이거 외워야 한다는 건 함정</s> 슈퍼무기 사용도 별도의 아이콘이 화면에 뜨도록 하여 원작보다 사용하기 편하다.
 
== OpenRA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 ==
== OpenRA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 ==
=== 현재 플레이 가능한 게임 ===
=== 현재 플레이 가능한 게임 ===
41번째 줄: 51번째 줄:


=== 현재 이식 중인 게임 ===
=== 현재 이식 중인 게임 ===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선]]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파이어스톰]]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파이어스톰]]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
60번째 줄: 70번째 줄:
* C&C Tiberian Sun Crystallized Doom
* C&C Tiberian Sun Crystallized Doom


== 링크 ==
== 관련 사이트 ==
* [http://www.openra.net/ OpenRA 사이트]
* [http://www.openra.net/ OpenRA 사이트]
* [http://resource.openra.net/ OpenRA 리소스 센터]<ref>각종 맵과 리플레이를 올리는 곳이다.</ref>
* [http://resource.openra.net/ OpenRA 리소스 센터]<ref>각종 맵과 리플레이를 올리는 곳이다.</ref>
68번째 줄: 78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실시간 전략 게임]]
[[분류:실시간 전략 게임]]
[[분류:게임 엔진]]
[[분류:게임 엔진]]
[[분류:프리웨어 게임]]
[[분류:프리웨어 게임]]
[[분류:2009년 소프트웨어]]

2022년 1월 23일 (일) 07:18 기준 최신판

오픈RA
OpenRA
게임 정보
개발사 OpenRA developers
장르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RTS)
출시일 2009년 9월 20일
플랫폼 윈도우즈, macOS, 리눅스 등등
모드 싱글 플레이, 멀티 플레이
언어 영어
엔진 OpenRA 엔진

오픈RA웨스트우드 스튜디오가 만든 여러 실시간 전략 게임(RTS)용 엔진의 이름이자,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툴이다. 오픈RA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3.0으로 배포되며, GitHub를 통해 누구든지 자유롭게 기여를 할 수 있다.

2016년 5월 8일 버전이 4개월간 유지되다가, 2016년 9월 5일에 새 버전의 베타 버전이 올라왔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저작권[편집 | 원본 편집]

오픈RA는 특이하게도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로 배포되기 때문에, 누구나 저작권을 걱정하지 않고 다운받을 수 있다. 마침 EA타이베리안 돈, 타이베리안선, 레드얼럿, 레드얼럿 2, 듄 2000과 그 확장팩을 프리웨어로 배포하여 엔진 뿐만 아니라 게임도 문제없이 다운받을 수 있다.

다만, 용량문제로 게임 내 컷신과 BGM은 별도로 다운받아야 한다. 게임 CD를 컴퓨터에 삽입하고(또는 가상 CD를 웹 상에서 다운받고), 이를 이용해 오픈RA가 컷신과 BGM을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된다. 오픈RA 서버에 올라온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자.

OpenRA 프로젝트[편집 | 원본 편집]

오픈RA는 누구나 제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GitHub에 올라와있다. 또한, 오픈RA는 Lua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프로그래밍을 할 줄 안다면, 누구나 기여할 수 있다. 당연히 라이선스만 잘 지키면 클릭 한 번으로 쉽게 소스를 포킹해갈 수 있다.

운영체제 호환성[편집 | 원본 편집]

오픈RA의 운영체제 호환성은 매우 엄청나다. 윈도우즈, OS X는 물론이고, 리눅스(데비안과 우분투, 아치 리눅스, 젠투 리눅스, 페도라, openSUSE), FreeBSD까지 지원되는 무지막지한 호환성을 자랑한다! 특히, 리눅스의 여러 배포판은 리눅스라는 기본 틀이 잡혀있어 능력만 되면 다른 배포판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이 엄청난 OS 호환성 덕분에 윈도우즈 외의 다른 운영체제에서는 돌리기 힘들었던 C&C를 마음껏 할 수 있다.

향상된 시스템[편집 | 원본 편집]

오픈RA의 큰 장점 가운데 하나가 원래는 지원되지 않는 시스템이 제대로 구현되어있다는 점이다. 현재 플레이할 수 있는 타이베리안 돈과 레드얼럿, 듄 2000 모두 어택땅정도는 기본으로 지원하며, 전장의 안개(Fog of War)와 건물 및 유닛의 생산 예약이 구현되어있다. 거기에다, 유닛과 건물을 전부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원작보다 간결하다.[1] 대신 분류마다 단축키가 있어서 이거 외워야 한다는 건 함정 슈퍼무기 사용도 별도의 아이콘이 화면에 뜨도록 하여 원작보다 사용하기 편하다.

OpenRA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게임[편집 | 원본 편집]

현재 플레이 가능한 게임[편집 | 원본 편집]

현재 이식 중인 게임[편집 | 원본 편집]

설치 가능한 모드[편집 | 원본 편집]

모드의 자세한 정보는 ModDB의 OpenRA 항목 참고.

  • C&C Re☆Image
  • C&C Meets Star Wars
  • Openra: Beyond The Dawn
  • OpenRA-Crossfire
  • Command & Conquer - Tiberian Origins
  • Command and Conquer: The Forgotten Chapter
  • C&C - Fanwars
  • Enigma (SC)
  • Attacque Supérior
  • Shattered Paradise
  • C&C Tiberian Sun Crystallized Doom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듄 2000의 경우, 스타포트로 지원군을 요청하는 것도 별도의 분류로 지정해놨다.
  2. 각종 맵과 리플레이를 올리는 곳이다.
  3. 다른 플레이어의 리플레이와 비디오가 올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