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번 지방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도로표지 = \{\{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지방도\|(\d+)\}\} +|도로표지 = 50px))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도로 정보
{{도로 정보
|노선명 = 고한-황지선
|도로이름 = 고한-황지선
|노선번호명 = 지방도 제414호선
|원어이름 =  
|노선번호 = {{지방도 노선 번호|414}}
|도로표지 = [[파일:Korea Local Route No.414.svg|50px]]
|기점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지도    =
|종점 = [[강원도]] [[태백시]] [[혈동]]<ref>도로현황조서에는 [[소도동]]으로 표기</ref>
|지도설명 =
|연장 = 21.8km
|도로번호 =
|개통일 =  
|종류    =
|폐지일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관할 = [[강원도]]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혈동]]<ref>도로현황조서에는 [[소도동]]으로 표기</ref>
|연장     = 21.8km
|개통일   =  
|폐지일   =  
|관할     = [[강원특별자치도]]
|비고    =
}}
}}
==개요==
==개요==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상갈래교차로에서 [[태백시]] [[혈동]] [[화방재]] 정상부까지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상갈래교차로에서 [[태백시]] [[혈동]] [[화방재]] 정상부까지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주요 경유지==
==주요 경유지==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상갈래교차로(노선시점, [[국도 제38호선]]에서 분기) - 못골 - 적조암입구 - 만항소공원 - 함백산소공원 - [[만항재]](1,330m) -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 장산등산로입구 - [[태백시]] [[혈동]] [[화방재]](950m, 노선종점, [[국도 제31호선]]에 합류)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상갈래교차로(노선시점, [[38번 국도]]에서 분기) - 못골 - 적조암입구 - 만항소공원 - 함백산소공원 - [[만항재]](1,330m) -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 장산등산로입구 - [[태백시]] [[혈동]] [[화방재]](950m, 노선종점, [[31번 국도]]에 합류)


==기타==
==기타==
23번째 줄: 28번째 줄:
{{강원도의 지방도}}
{{강원도의 지방도}}
[[분류:지방도]]
[[분류:지방도]]
[[분류:강원도의 도로]]
[[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도로]]

2023년 11월 10일 (금) 17:39 기준 최신판

고한-황지선
Korea Local Route No.414.svg
도로 정보
기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혈동[1]
연장 21.8km
관할 강원특별자치도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상갈래교차로에서 태백시 혈동 화방재 정상부까지를 연결하는 노선의 지방도이다

주요 경유지[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이 도로 노선이 지나가는 구간에 있는 만항재는 해발 1,330m로 대한민국 내 지방도 이상의 등급 도로 중 가장 높은 높이를 지나는 도로이다.[2]
  • 이 도로 노선은 인근 함백산을 비롯한 백두대간 등산객들의 종주구간 출입로 역할을 하고 있다. 함백산-만항재-화방재-태백산으로 이어지는 구간이 모두 백두대간 능선 구간에 포함되기 때문. 덕분에 길이가 얼마 되지 않는 지방도임에도 백두대간 고갯길을 2개나 보유하고 있다.

각주

  1. 도로현황조서에는 소도동으로 표기
  2. 차량접근 가능 도로 기준으로는 인근 함백산 KBS 중계소로 가는 도로로 이쪽은 해발 1,530m지점까지 올라간다
대한민국 강원도 관내 지방도
가로줄 : 폐지 또는 국도/국지도로 전환된 노선.
대한민국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