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2022년: 두 판 사이의 차이

< 설날
(새 문서: {|class="wikitable" |+연도별 명절 |설날/2021년 추석/2021년 설날/2022년 추석/2022년 설날/2023년 |} == 교통 == === 2021년 추석과 달라진...)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설날/2021년]] [[추석/2021년]] [[설날/2022년]] [[추석/2022년]] [[설날/2023년]]  
|[[설날/2021년]] [[추석/2021년]] [[설날/2022년]] [[추석/2022년]] [[설날/2023년]]  
|}
|}
{|class="wikitable"
|[[1월 29일]]||{{색|red|토}}||
|-
|[[1월 30일]]||{{색|red|일}}||
|-
|[[1월 31일]]||{{색|red|월}}||설날 연휴
|-
|[[2월 1일]]||{{색|red|화}}||'''[[설날]]'''
|-
|[[2월 2일]]||{{색|red|수}}||설날 연휴
|}
== 역대급 코로나19 대유행 ==
[[오미크론 변이]] 때문에 이 연휴 기간동안에 신규 확진자 수가 역대 최다를 경신하고 있다. 귀성을 자제하고 집콕하도록 하자. 특히 고령의 부모님이 백신 추가접종(3차접종)까지 받지 않았다면 위중증 예방을 위해 만나뵈러 가는 것을 더더욱 자제해야 한다.
사적모임은 백신 접종 여부, 지역에 상관없이 6인까지만 허용된다.
== 교통 ==
== 교통 ==
[[추석/2021년]]과 똑같이 서울 대중교통의 막차 연장을 하지 않고 고속도로 통행료가 유료로 유지되고 고속도로 휴게소의 실내 취식이 금지되고 기차표는 창가 좌석만 발매한다.
=== 2021년 추석과 달라진 점 ===
=== 2021년 추석과 달라진 점 ===
* [[경의중앙선]] [[임진강역]]~[[도라산역]] 구간 개통.
* [[경의중앙선]] [[임진강역]]~[[도라산역]] 구간 개통.
*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개통.
*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개통.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역]]~[[태화강역]] 구간 개통.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역]]~[[태화강역]] 구간 개통.
* [[중부내륙선]] [[부발역]]~[[충주역]] 구간 개통.


{{각주}}
{{각주}}
[[분류:2022년 대한민국]]
[[분류:2022년 대한민국]]
[[분류:연도별 설날]]
[[분류:연도별 설날|22]]

2023년 1월 24일 (화) 20:15 기준 최신판

연도별 명절
설날/2021년 추석/2021년 설날/2022년 추석/2022년 설날/2023년
1월 29일
1월 30일
1월 31일 설날 연휴
2월 1일 설날
2월 2일 설날 연휴

역대급 코로나19 대유행[편집 | 원본 편집]

오미크론 변이 때문에 이 연휴 기간동안에 신규 확진자 수가 역대 최다를 경신하고 있다. 귀성을 자제하고 집콕하도록 하자. 특히 고령의 부모님이 백신 추가접종(3차접종)까지 받지 않았다면 위중증 예방을 위해 만나뵈러 가는 것을 더더욱 자제해야 한다.

사적모임은 백신 접종 여부, 지역에 상관없이 6인까지만 허용된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추석/2021년과 똑같이 서울 대중교통의 막차 연장을 하지 않고 고속도로 통행료가 유료로 유지되고 고속도로 휴게소의 실내 취식이 금지되고 기차표는 창가 좌석만 발매한다.

2021년 추석과 달라진 점[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