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벨벳/음반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2집 《Perfect Velvet》: 피카부 링크 추가)
편집 요약 없음
410번째 줄: 410번째 줄:
<br />
<br />
레드벨벳의 첫 벨벳 컨셉 곡. 동명의 [[S.E.S]]의 곡을 리메이크한 곡인데, 사실 이 곡은 [[아이린]]과 슬기가 SM 루키즈 였던 시절에 SM에서 공개한 곡이다. 정식 발매한 레드벨벳 버전도 [[태용]]의 랩 피처링 말고는 다른 점이 없어 레드벨벳 음반 중에선 평이 가장 좋지 않다.
레드벨벳의 첫 벨벳 컨셉 곡. 동명의 [[S.E.S]]의 곡을 리메이크한 곡인데, 사실 이 곡은 [[아이린]]과 슬기가 SM 루키즈 였던 시절에 SM에서 공개한 곡이다. 정식 발매한 레드벨벳 버전도 [[태용]]의 랩 피처링 말고는 다른 점이 없어 레드벨벳 음반 중에선 평이 가장 좋지 않다.
= 리패키지 =
== 정규 2집 리패키지 《The Perfect Red Velvet》 ==
* 발매일: [[2018년]] [[1월 29일]]
{{곡 목록
|작사표시 = 예
|작곡표시 = 예
|편곡표시 = 예
|제목1 = '''Bad Boy'''
|작사1 =
|작곡1 =
|편곡1 =
|재생시간1 =
|제목2 = All Right
|작사2 =
|작곡2 =
|편곡2 =
|재생시간2 =
|제목3 = [[피카부 (Peek-A-Boo)]]
|작사3 = Kenzie
|작곡3 = 문샤인, Cazzi Opeia,<br />Ellen Berg Tollbom
|편곡3 = 문샤인
|재생시간3 = 3:09
|제목4 = 봐 (Look)
|작사4 = 진보, SUMIN
|작곡4 = Charli Taft,<br />Daniel "Obi" Klein,<br />진보, SUMIN
|편곡4 = Daniel "Obi" Klein
|재생시간4 = 4:05
|제목5 = I Just
|작사5 = 김부민
|작곡5 = Hitchhiker, 김부민,<br />Aventurina King,<br />John Fulford
|편곡5 = Hitchhiker
|재생시간5 = 3:08
|제목6 = Kingdom Come
|작사6 = 이스란
|작곡6 = The Stereotypes,<br />디즈, Ylva Dimberg
|편곡6 = The Stereotypes
|재생시간6 = 3:30
|제목7 = Time To Love
|작사7 =
|작곡7 =
|편곡7 =
|재생시간7 =
|제목8 = 두 번째 데이트 (My Second Date)
|작사8 = 전간디
|작곡8 = James Wong, Sidnie Tipton,<br />Sophie Stern
|편곡8 = Gladius
|재생시간8 = 3:14
|제목9 = Attaboy
|작사9 = Kenzie
|작곡9 = Kenzie, The Stereotypes,<br />Ylva Dimberg
|편곡9 = The Stereotypes
|재생시간9 = 3:16
|제목10 = Perfect 10
|작사10 = 조윤경
|작곡10 = Daniel "Obi" Klein,<br />Charli Taft, 디즈
|편곡10 = Daniel "Obi" Klein, 디즈
|재생시간10 = 3:29
|제목11 = About Love
|작사11 = 1월 8일
|작곡11 = RE:ONE, Davey Nate
|편곡11 = RE:ONE
|재생시간11 = 3:26
|제목12 = 달빛 소리 (Moonlight Melody)
|작사12 = 이주형<small>(MonoTree)</small>
|작곡12 = 이주형<small>(MonoTree)</small>, 권덕근
|편곡12 = 권덕근
|재생시간12 = 3:40
|총재생시간 = 30:56 + α
}}
<br />
{{YouTube|cC7Fjm80opI|||center|Bad Boy}}
<br />
[[레드벨벳]]의 정규 2집 《Perfect Velvet》의 리패키지 음반으로, [[레드벨벳]]의 첫 리패키지 앨범이기도 하다. 전작의 공포 영화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 스페셜 음반 =
= 스페셜 음반 =

2018년 1월 28일 (일) 02:05 판

음반 목록

레드벨벳음반 목록
종류 제목 발매일 타이틀 곡 비고
디지털 싱글 행복 (Happiness) 2014년 8월 4일 행복 (Happiness)
디지털 싱글 Be Natural 2014년 10월 13일 Be Natural
(Feat. SR14B TAEYONG)
미니 1집 Ice Cream Cake 2015년 3월 17일 Ice Cream Cake
Automatic
정규 1집 The Red 2015년 9월 9일 Dumb Dumb
미니 2집 The Velvet 2016년 3월 17일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미니 3집 Russian Roulette 2016년 9월 7일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미니 4집 Rookie 2017년 2월 1일 Rookie
여름 스페셜 The Red Summer 2017년 7월 9일 빨간 맛 (Red Flavor)
정규 2집 Perfect Velvet 2017년 11월 17일 피카부 (Peek-A-Boo)
정규 2집
리패키지
The Perfect Red Velvet 2018년 1월 29일 Bad Boy
여름 스페셜 Summer Magic 2018년 8월 6일 Power Up
미니 5집 RBB 2018년 11월 30일 RBB (Really Bad Boy)
미니 6집 'The ReVe Festival' Day 1 2019년 6월 19일 짐살라빔 (Zimzalabim)
미니 7집 'The ReVe Festival' Day 2 2019년 8월 20일 음파음파 (Umpah Umpah)

정규

1집 《The Red》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Dumb Dumb


레드벨벳의 첫 정규 앨범으로 세번째 레드 컨셉 곡이다. 중독성이 강한 후크송으로, 좋아하는 사람 앞에만 있으면 바보처럼 어색하게 행동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중과 평론가들에게 상당한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뮤직비디오는 롤링 스톤 지의 베스트 뮤직비디오에서 9위를 달성하는 기록을 보여주었다.

2집 《Perfect Velvet》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피카부 (Peek-A-Boo)


미니 음반

1집 《Ice Cream Cake》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Ice Cream Cake

Automatic


레드벨벳의 첫번째 미니 음반으로, "Ice Cream Cake"[1]과 "Automatic"이 더블 타이틀로 나온 음반이다. "Ice Cream Cake"은 음산하면서 몽환적인 인트로와 살짝 벨벳 끼가 섞인 레드 컨셉 곡이고, "Automatic"은 "Be Natural"의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따온 오리지널 벨벳 컨셉 곡이다.

이 음반으로 레드벨벳의 인지도가 본격적으로 상승하게 되었고, 특히 활동곡이었던 "Ice Cream Cake"의 성적이 좋은 편이었고 이 곡으로 첫 1위를 달성했다. 다만 벨벳 컨셉인 "Automatic"은 평가는 좋았으나 SM이 밀지 않아서 "Ice Cream Cake"에 비해 인지도가 딸리는 편이다.

2집 《The Velvet》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7월 7일 (One Of These Nights)


《The Red》에 이어 나온 《The Velvet》으로 레드벨벳의 두번째 미니 음반이다. 지금까지의 벨벳 컨셉 곡이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팝이었다면, 이번엔 아예 발라드를 타이틀 곡으로 삼았다.

이 곡 역시 호평을 받았으나, 노래를 통해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해온 SM이었던 만큼, 이 곡 역시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노래가 아니냐는 설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세월호 사건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이라고 밝힌 f(x)의 "Red Light"의 발매일이 7월 7일이었고, 그걸 제목으로 삼은 게 아니냐는 주장이다. 뮤비와 가사에도 세월호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여러 군데 포착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SM에서 공식적인 입장이 나오지 않았다. 그러니 섣부른 판단은 자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3집 《Russian Roulette》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


레드벨벳의 3번째 미니 음반으로, 타이틀 곡은 레드와 벨벳 컨셉이 합쳐진 "러시안 룰렛 (Russian Roulette)"이다. 그래서 이전 레드 컨셉 곡보다 훨씬 부드러운 분위기의 곡. 뮤비 내용이 꽤 잔인한 것으로 유명하며, 유혈이나 고어 묘사는 없지만, 멤버들끼리 서로 죽고 죽이는 내용이 꺼림칙하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공식적으로는 한 남자를 차지하기 위해 멤버들끼리 서로 장난을 치는 내용이라고 한다. 여튼 공개된 지 6일 만에 1000만 뷰를 기록했다.

여담으로 수록곡 Bad Dracula에 나오는 "하하하 예예예" 소리의 주인공은 바로 조이.

4집 《Rookie》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Rookie


레드벨벳의 4번째 미니 음반으로, 타이틀 곡은 다시 레드 컨셉인 Rookie이다. 이전에 나온 Dumb Dumb보다 BPM이 더 빨라졌으며, 그래서 안 그래도 레드벨벳 안무가 빡센 걸로 유명한데 이번 곡은 역대급으로 빡세다고 멤버들이 밝혔다. 다만 초반에는 평가가 좋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루키루키"하는 후렴이 중독성 있다는 평이 많았다. 여담으로 "Super"가 X팔로 들린다는 반응이 많다.

팬들은 이후에는 벨벳 컨셉 곡이 나올 거라고 예측했으나, 조이가 인터뷰에서 더이상 컨셉을 나누지 않겠다고 말한 바가 있다. 그래서 SM이 "레드"와 "벨벳" 두 컨셉으로 나눠서 활동하겠다는 초기 계획을 어떻게 바꿀 건지 지켜보고 있는 상태.

디지털 싱글

《행복 (Happiness)》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행복 (Happiness)


레드벨벳의 첫 레드 컨셉 곡. 아프리카를 연상시키는 드럼 비트와 다채로운 구성이 인상적인 곡. 이 때 당시만 해도 예리가 합류하지 않았으나, 합류 이후로 5인조 버전이 생겼다.

《Be Natural》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Be Natural


레드벨벳의 첫 벨벳 컨셉 곡. 동명의 S.E.S의 곡을 리메이크한 곡인데, 사실 이 곡은 아이린과 슬기가 SM 루키즈 였던 시절에 SM에서 공개한 곡이다. 정식 발매한 레드벨벳 버전도 태용의 랩 피처링 말고는 다른 점이 없어 레드벨벳 음반 중에선 평이 가장 좋지 않다.

리패키지

정규 2집 리패키지 《The Perfect Red Velvet》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Bad Boy


레드벨벳의 정규 2집 《Perfect Velvet》의 리패키지 음반으로, 레드벨벳의 첫 리패키지 앨범이기도 하다. 전작의 공포 영화 분위기를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스페셜 음반

《The Red Summer》

# 제목 및 정보 재생시간
총 재생시간:  00:00



레드벨벳의 여름 스페셜 음반이자 5번째 미니 음반이다. 타이틀 곡은 빨간 맛 (Red Flavor)으로 여름과 잘 어울리는 댄스 곡이다. 컨셉이 애매모호한 감이 있었던 Rookie와는 달리 이제는 완전히 레드 컨셉으로 돌아왔다. 곡 자체는 열대 지방의 페스티벌이 연상되는 에너지 넘치는 곡이다. 7월 8일에 있었던 SMTOWN 콘서트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7월 9일에는 음원 공개와 동시에 인기가요에서 무대를 가졌다. 그리고 뮤직비디오는 같은 날 오후 1시에 공개됐는데, 공개된 지 3시간 만에 80만 뷰를 돌파했고, 10시간만에 280만 뷰를 돌파하여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멤버마다 멤버를 상징하는 과일을 하나씩 부여했다. 아이린수박, 슬기는 파인애플, 웬디는 오렌지,[2] 조이키위, 예리는 포도. 뮤비 내용도 약간 고민상담쇼 같은 프로그램에서 각자가 맡은 과일에게서 고민 상담을 받는 내용인데, 과일들이 자신들의 특징에 어울리는 말을 한다는 게 은근 재밌다.[3]

Rookie에선 아이린의 랩으로 시작했다면, 이번엔 조이가 스타트를 끊었다.

여담으로 이번 곡에서 아이린이 자신의 랩 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이제까지는 약간 챈트(chant)에 가까워서 따라하기 쉬운 랩이었다면, 이번에는 잔박자를 많이 끊어 정말 랩다운 랩을 보여준다. 아이린의 랩을 예리가 이어받는데, 예리 역시 랩 실력이 만만치 않다. 특히 예리는 특유의 음색 때문에 진한 인상을 준다.

각주

  1. 줄여서 아스케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오렌지긴 오렌지인데 뮤비에 나오는 오렌지는 속이 파랗다. 공식색 맞추려고 그랬는 듯.
  3. 예를 들어 뮤직비디오 맨 처음에 나오는 "어릴 때부터 그렇게 달콤하진 않았어요. 크면서 속도 좀 차고..." 부분. 처음에 열매가 맺혔을 때는 맛이 없었으나, 점점 열매가 익어가면서 달콤해졌다는 것. "어렸을 때는 철이 없어서 막무가내로 행동하곤 했으나, 점점 철이 들기 시작하면서 자신만의 매력을 찾아내기 시작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