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엠.엔터테인먼트 S.M. Entertainment |
|
---|---|
법인 정보 | |
종류 | 주식회사 |
산업분야 | 음반 및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 |
창립 |
이수만 1989년 2월 14일 (SM 기획) 1995년 2월 14일 (SM 엔터테인먼트) |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23 |
핵심인물 |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 김영민 (Group Cooperation 실장) 이성수[1] (CEO) 탁영준 (CMO) 유영진 (비등기 이사) 권보아 (비등기 이사) 안칠현 (비등기 이사) |
종목코드 | 코스닥: 041510 |
주요주주 |
HYBE (14.08%) 카카오 (9.05%) 국민연금 (6.16%) KB자산운용 (5.13%) 이수만 (3.66%) |
종업원 | 321명 (2015년 12월) |
웹사이트 |
http://www.smtown.com/ http://www.smentertainment.com/ |
대한민국 아이돌 산업의 시초이자, 현재도 3대 기획사 중 하나에 속할 만큼 엄청난 규모를 가진 연예 기획사이다. 가수로 활동했던 이수만이 설립했으며, 회사명도 이니셜에서 따왔다. 근데 성공하면서 점점 Star Museum 또는 Success Museum이란 의미도 추가하고 있다. 팬들은 스엠 또는 슴이라고 부른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89년에 설립해서 처음으로 발굴해낸 가수는 현진영이었다. 당시 현진영과 와와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켰는데, 현진영의 춤 실력으로 주목받았다. 이 때 백댄서로 활동한 와와 멤버가 나중에 클론, 듀스가 되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현진영이 1991년, 1994년 두 차례 마약 투약으로 체포되면서 나락으로 떨어졌다. 이후로 이수만이 연습생을 뽑을 때 인성을 가장 중요시하게 되었다는 풍문이 있다.
1996년에 한국 아이돌 그룹의 원형이 된 H.O.T.를 데뷔시키면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끈다. 멤버별로 메인보컬, 댄서, 래퍼 등 포지션을 부여하고, 리더, 비주얼, 막내 등 캐릭터성을 부여해 밸런스를 맞춘 그룹이었다. 이런 그룹이 나온 적이 없었던데다 대박을 쳤기 때문에 기획사들도 H.O.T.의 영향을 받아 아이돌 그룹을 배출해내기도 했다.[2] 그렇게 현재와 같은 아이돌 산업이 시작되었다.
보이그룹은 H.O.T.를 시작으로 신화,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샤이니, EXO, NCT로 이어졌다. 뿐만 아니라 걸그룹도 S.E.S.를 시작으로 천상지희, 소녀시대, 에프엑스, 레드벨벳을 성공시키며 인기를 끌고 있다. 뭔가 그룹들 하나하나를 살펴보면 다 다른 컨셉에 다른 멤버들인데 서로 뭔가 닮은 점도 있다.
소속 그룹은 생각보다 많은 편이지만, 사실상 레드벨벳, NCT, 슈퍼엠 등의 활동만 활발한 편이고 나머지 그룹들은 소식이 뜸한 편이다. 간간히 멤버들의 솔로가 나오는 편이지만, 그렇게 팬덤이 두터운 엑소도 활동을 자주 안하는 편이다. 그나마 정식 그룹인 슈퍼엠이나 EXO-SC 같은 새로운 유닛, 백현 같은 솔로로 엑소 활동은 이어지는 편이지만, 나머지 그룹들은 소식이 좀 뜸하다. 오히려 한창 군 입대 문제가 있는 엑소가 활동이 활발한 편. 다만 2020년 10월에 아이린의 인성 논란, 찬열의 문어발식 연애 논란이 연이어 터지면서 어마어마한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그룹 완전체 활동 예정이었던 레드벨벳뿐만 아니라 엑소 활동에도 차질이 생긴 상황. 문제는 논란 발생하고 나서 신인 걸그룹 에스파를 데뷔시킨다고 발표해 논란이 가중됐다. 하지만 에스파의 과거사 논란에도 불구하고 《Next Level》, 《Savage》 등의 히트곡을 발매해 승승장구하고 있었다.
멀티 제작 센터[편집 | 원본 편집]
SM 엔터테인먼트가 SM 3.0으로 들어서면서 JYP 엔터테인먼트처럼 제작 센터를 나눠서 담당하기로 했다. 그래서 센터마다 각자 Production & Management Director가 나뉘어 있다.
센터 | 디렉터 | 담당 아티스트 | |||||||||
ONE 프로덕션 | 조우철, 최성우 | 강타 | 보아 | 소녀시대 | 에스파 | ||||||
PRISM 프로덕션 | 김욱, 최진 | 샤이니 | WayV | Raiden | LUCAS | SM 신인 걸그룹 | |||||
RED 프로덕션 | 권윤정, 김주영 | 동방신기 | 레드벨벳 | ||||||||
NEO 프로덕션 | 채정희, 강병준 | NCT | |||||||||
WIZARD 프로덕션 | 이상민, 김형국 | 슈퍼주니어 | EXO | RIIZE | |||||||
Virtual IP 프로덕션 | 박준영 | naevis |
현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가수[편집 | 원본 편집]
솔로[편집 | 원본 편집]
SM SOLO ARTISTS | |||||
강타 | 보아 | 루카스 | 승한[3] | 크리스[4] | 타오[5] |
그룹[편집 | 원본 편집]
SM IDOL GROUPS | |||||||
동방신기 | 슈퍼주니어 | 샤이니 | EXO | NCT | WayV | SuperM[6] | RIIZE |
천상지희[7] | 소녀시대[8] | f(x)[9] | 레드벨벳 | 에스파 |
배우[편집 | 원본 편집]
SM ACTORS | |||
강인[10] | 김지우 | 라미 | 유호정 |
이철우 | 조준영 | 최종윤 |
엔터테이너[편집 | 원본 편집]
SM ENTERTAINERS | |
김경식 | 이동우 |
과거 소속[편집 | 원본 편집]
연습생[편집 | 원본 편집]
2013년부터 SM 루키즈라는 공개 연습생 시스템을 통해 연습생을 차차 공개하고 있으며, 현재는 2명의 남자 연습생들이 공개된 상태이다. 그외 비공개인 프로젝트들이 있으며, 증권가에서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
현재 소속[편집 | 원본 편집]
- Dear Alice - 영국의 엔터테인먼트 제작사인 Moon&Back과 공동으로 제작한 그룹으로, 데뷔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5인조 멤버들의 이름과 모습은 현재 공개된 상태이다.
- 신인 걸그룹 - 2025년 1분기에 론칭할 예정인 SM엔터테인먼트 신인 걸그룹으로, 에스파의 직속후배 걸그룹이다. 다만 데뷔 확정된 멤버나 팀명 모두 철저히 비밀에 부쳐놓은 상태. 2023년 2분기에 데뷔한다는 얘기도 있었으나 결국 내부 사정으로 미뤄진 것으로 추정되며, 그동안 RIIZE, naevis, NCT WISH가 데뷔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어썸하은으로 알려진 유튜버 나하은이 이 그룹으로 데뷔한다는 설이 있었으나, 2024년 7월에 퇴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계열사[편집 | 원본 편집]
자회사[편집 | 원본 편집]
관계사[편집 | 원본 편집]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SM 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편집 | 원본 편집]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SM은 전통적으로 초반에 관리를 잘하다가 나중에는 관리를 못하는 편이다. 특히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스템을 기획하면 나중에 제대로 안 굴러가는 모습을 보인다.
- SM 루키즈를 예시로 들 수 있는데, 2013년에 시작한 공개 연습생 인지도 높이기 프로젝트였다.남자 연생들은 NCT 데뷔했고 유닛 결성해서 활동을 하는 편이나, 여자 연생들은 깜깜무소식에 퇴사한 연생이 수두룩이다. 심지어 2020년 전까지 새 걸그룹은 떡밥조차 없었다. 루키즈 SNS 계정도 거의 NCT, WayV 새 멤버 업데이트용이 되었고, 사실 SNS 말곤 활동도 없는데다 여자 연생은 공개도 안 되고 사실상 버려졌다.
- NCT도 관리가 잘 되는 편도 아니다. 여기서 비롯된 그룹만 NCT U, NCT 127, NCT DREAM, WayV, NCT 2018, SuperM까지 총 6팀인데, 데뷔만 잘 시키고 활동은 미약한 편이다. 특히 NCT DREAM에서 성인이 되면 졸업하는 시스템에 팬들의 불만이 많은데, 일단 마크 탈퇴 이후 6인조가 되었으나 곧 성인이 되거나 될 예정인 멤버들이 대부분이다. 시스템에 따라 졸업을 한다면 로테이션이 돌아서 영입이 되어야 하는데 그것도 아니고, 팬들이 고정을 원한다고 졸업을 안 시키냐면 그것도 아니다. 가장 심각한 케이스가 윈윈인데, 윈윈은 NCT 127로 데뷔했는데 WayV로 급작스럽게 넘어가면서 127 활동을 전면 중단했다. 근데 굿즈에 윈윈을 계속 넣어놓는 등 애매하게 남겨두고 있다.
- 데뷔한 그룹도 연차가 쌓이면 세대교체 식으로 새 그룹만 밀어주고 죽어라 활동시키고 오래된 그룹은 그룹 활동을 잘 안 시킨다. 이런 케이스 중 최악의 케이스가 f(x). 특히 2018년, 2019년은 레드벨벳만 거의 활동하는 바람에 멤버들 몸 상태가 안 좋아서 팬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기도 했었다. 세대 교체라고 하는 면도 있으나 기존 그룹의 인기를 생각하면 시기상조다.
- 2017년 故종현, 2019년 故설리의 사망 사건으로 인해 소속 그룹 멤버들의 정신건강 케어 문제가 대두되기도 했다.
-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 중에서도 스엠상이란 말이 있다. 이유인즉슨 SM에서 데뷔한 아이돌들은 특유의 얼굴상이 있고, 심지어 닮은꼴도 있을 정도로 SM 취향이 있기 때문. 오죽하면 다른 기획사에서 데뷔했는데 스엠상이면 수박상이라고도 부른다. 수만이가 박수칠 상.
- 노예계약 꼬리표가 H.O.T. 시절부터 계속 따라다니고 있다. 토니 안, 이재원, 장우혁이 회사를 나가고, 특히 JYJ 멤버들 나갔을 때 가장 크게 터졌었다. 결국 공정위에서 경고 및 시정조치를 내리기도.
- 원래 이수만의 계획은 NCT를 계속 확장할 예정이었으며, 실제로 NCT-Hollywood라는 기획을 실행하려고 했으나 이수만이 SM엔터테인먼트의 지분을 팔고 대주주 자리에서 내려오면서 백지화되었다.
- NCT 체제 발표 이후 정규 보이그룹은 전부 7인조로 기획하고 있다. 데뷔 이후에 멤버 변동이 있을지라도 데뷔 때는 전부 7인조로 기획하고 있으며, NCT 127, NCT DREAM, SuperM, WayV, RIIZE, NCT WISH까지 전부 7인조로 데뷔했거나, 7인조로 데뷔할 예정이었던 그룹이다. 특이한 점은 NCT 이전만 해도 7인조로 기획되던 그룹이 없었다는 것이다.[11] 하지만 7인조로 기획되던 그룹 역시 현재까지 7인조를 유지하고 있는 팀은 NCT DREAM이 유일하다.[12]
- SM 3.0 발표에서 1년 주기로 신인을 발표하겠다는 선언을 해온 바가 있기 때문에, SM엔터테인먼트에서 신인 아티스트를 발표하는 주기가 상당히 짧아졌다. 실제로 SM 경영권 분쟁이 있던 2023년 이후로 데뷔한 아이돌 그룹이 RIIZE, NCT WISH로 데뷔 주기가 1년밖에 차이나지 않는데다, 솔로 아티스트로 넓히면 naevis, 루카스도 2024년에 데뷔했다. 그리고 2025년에는 RIIZE 출신 승한과 aespa 이후 5년만에 나오는 신인 걸그룹 론칭도 앞두고 있으니 신인 발굴에 힘을 많이 쏟고 있는 것이다. 원래 SM에선 동방신기,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샤이니로 이어지던 2세대 시절에나 연습생 시절 친분이 생기곤 했다. 그 이후로는 선후배 그룹 사이에 연습생 기간이 겹치지 않을 정도로 데뷔 텀이 길었던 걸 생각하면 상당히 파격적인 변화인 셈이다.[13]
연도별 배출 아티스트[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 배출 아티스트 | |||||||||
연도 | 아티스트 | 형태 | 구성원 | 데뷔 | 공식색 | 팬덤 | 리더 | 전 멤버 | 해체 |
1996 | H.O.T. | 보이그룹 | 강타ᆞ토니 안ᆞ문희준 장우혁ᆞ이재원 |
1996 | 하얀색 | 클럽 에이치오티 (Club H.O.T.) |
문희준 | 2001년 | |
1997 | S.E.S. | 걸그룹 | 바다ᆞ유진ᆞ슈 | 1997 | 펄 보라 | 친구 HANA |
바다 | 2002년 | |
1998 | 신화 | 보이그룹 | 에릭ᆞ이민우ᆞ김동완 신혜성ᆞ전진ᆞ앤디 |
1998 | 주황색 | 신화창조 (神話創造) |
에릭 | ||
1999 | 플라이 투 더 스카이 |
보이그룹 | 환희ᆞ브라이언 | 1999 | 플라이 하이 (Fly High) |
20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00년대 배출 아티스트 | |||||||||
연도 | 아티스트 | 형태 | 구성원 | 데뷔 | 공식색 | 팬덤 | 리더 | 전 멤버 | 해체 |
2000 | 보아 | 솔로 | 2000 | 펄 옐로우 | 점핑보아 (Jumping BoA) |
||||
2001 | 강타 | 솔로 | 1996 | 클럽 케이아이티 (Club K.I.T.) |
|||||
다나 | 솔로 | 2001 | |||||||
문희준 | 솔로 | 1996 | 하얀색 | 주니스트[14] (Junist) |
|||||
M.I.L.K. | 걸그룹 | 박희본ᆞ김보미 배유미ᆞ서현진 |
2001 | 핑크 | 밀키웨이 (Milky Way) |
2003년 | |||
2002 | 블랙비트 | 보이그룹 | 이소민ᆞ황상훈ᆞ정지훈 심재원ᆞ장진영 |
2002 | 블랙 | 소울블랙 (SOULBLACK) |
이소민 | 2007년 | |
신비 | 걸그룹 | 유수진ᆞ오상은ᆞ유나 | 2002 | 유수진 | 2003년 | ||||
이삭 N 지연 | 걸그룹 | 이삭ᆞ지연 | 2002 | 엔 (N) |
2004년 | ||||
2004 | 동방신기 | 보이그룹 | 유노윤호ᆞ최강창민 | 2004 | 펄 레드 | 카시오페아 (Cassiopeia) |
유노윤호 |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 |
|
TraxX | EDM 밴드 | 제이ᆞ김정모ᆞ긴조 | 2004 | 노민우 강정우 |
2019년 | ||||
2005 | 천상지희 The Grace |
걸그룹 | 다나ᆞ린아 선데이ᆞ스테파니 |
2005 | 펄 핑크 | 샤플리 (SHAPLEY) |
[15] | ||
슈퍼주니어 | 보이그룹 | 이특ᆞ희철ᆞ예성ᆞ신동ᆞ은혁 시원ᆞ동해ᆞ려욱ᆞ규현ᆞ |
2005 | 펄 사파이어 블루 |
엘프 (E.L.F.) |
이특 | 한경 기범 강인 |
||
2006 | 장리인 | 솔로 | 2006 | ||||||
2007 | 슈퍼주니어-T | 보이그룹 유닛 |
이특ᆞ희철ᆞ신동ᆞ은혁ᆞ |
2005 | 펄 사파이어 블루 |
엘프 (E.L.F.) |
강인 | ||
소녀시대 | 걸그룹 | 태연ᆞ써니ᆞ티파니ᆞ효연 유리ᆞ수영ᆞ윤아ᆞ서현 |
2007 | 파스텔 로즈 | 소원 (S♡NE) |
태연 | 제시카 | ||
제이민 | 솔로 | 2007 | |||||||
2008 | 슈퍼주니어-M | 보이그룹 유닛 |
은혁ᆞ시원ᆞ조미ᆞ동해 려욱ᆞ규현ᆞ |
2005 | 펄 사파이어 블루 |
엘프 (E.L.F.) |
한경 헨리 |
||
샤이니 | 보이그룹 | 온유ᆞ종현†ᆞKey 민호ᆞ태민 |
2008 | 펄 아쿠아 그린 |
샤이니 월드 (SHINee WORLD) |
온유 | |||
슈퍼주니어- Happy |
보이그룹 유닛 |
이특ᆞ예성ᆞ신동ᆞ은혁ᆞ |
2005 | 펄 사파이어 블루 |
엘프 (E.L.F.) |
강인 | |||
2009 | 에프엑스 | 걸그룹 | 빅토리아ᆞ엠버 루나ᆞ크리스탈 |
2009 | 펄 라이트 페리윙클 |
미유 (me(you)) |
빅토리아 | 설리† |
201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10년대 배출 아티스트 | |||||||||
연도 | 아티스트 | 형태 | 구성원 | 데뷔 | 공식색 | 팬덤 | 리더 | 전 멤버 | 해체 |
2011 | 슈퍼주니어- D&E |
보이그룹 유닛 |
동해ᆞ은혁 | 2005 | 펄 사파이어 블루 |
애니 (&) |
|||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
걸그룹 유닛 |
다나ᆞ선데이 | 2005 | 펄 핑크 | 샤플리 (SHAPLEY) |
||||
2012 | EXO | 보이그룹 | 수호ᆞ시우민ᆞ백현ᆞ첸 찬열ᆞD.O.ᆞ카이ᆞ세훈 |
2012 | 없음 | 엑소엘 (EXO-L) |
수호 | 크리스ᆞ루한 타오ᆞ레이 |
|
소녀시대- 태티서 |
걸그룹 유닛 |
태연ᆞ티파니ᆞ서현 | 2007 | 파스텔 로즈 | 소원 (S♡NE) |
서현 | |||
2014 | 레드벨벳 | 걸그룹 | 아이린ᆞ슬기ᆞ웬디 조이ᆞ예리 |
2014 | 파스텔 코랄 | 레베럽 (ReVeluv) |
아이린 | ||
2016 | NCT U | 보이그룹 유닛 |
멤버 변동 많음 | 2016 | 펄 네오 샴페인 | 엔시티즌 (NCTzen) |
루카스ᆞ쇼타로 성찬ᆞ태일 |
||
NCT 127 | 보이그룹 서브유닛 |
쟈니ᆞ태용ᆞ유타ᆞ도영 재현ᆞ |
2016 | 펄 네오 샴페인 | 엔시티즌 127 (NCTzen 127) |
태용 | 태일 | ||
NCT DREAM | 보이그룹 서브유닛 |
마크ᆞ런쥔ᆞ해찬ᆞ재민 제노ᆞ천러ᆞ지성 |
2016 | 펄 네오 샴페인 | 엔시티즌 드림 (NCTzen DREAM) |
마크 | |||
EXO-CBX | 보이그룹 유닛 |
시우민ᆞ백현ᆞ첸 | 2012 | 없음 | 엑소엘 (EXO-L) |
||||
2018 | 소녀시대- Oh!GG |
걸그룹 유닛 |
태연ᆞ써니ᆞ효연 유리ᆞ윤아 |
2007 | 파스텔 로즈 | 소원 (S♡NE) |
윤아 | ||
2019 | WayV | 보이그룹 서브유닛 |
쿤ᆞ텐ᆞ윈윈 샤오쥔ᆞ헨드리ᆞ양양 |
2019 | 펄 네오 샴페인 | 웨이즈니 (WayZenNi) |
쿤 | 루카스 | |
EXO-SC | 보이그룹 유닛 |
찬열ᆞ세훈 | 2012 | 없음 | 엑소엘 (EXO-L) |
||||
SuperM | 보이그룹 | 백현ᆞ태민ᆞ카이 태용ᆞ텐ᆞ마크 |
2019 | 없음 | 슈퍼엠 서포터즈 (SuperM SUPPORTERS) |
백현 | 루카스 | [16] |
20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20년대 배출 아티스트 | |||||||||
연도 | 아티스트 | 형태 | 구성원 | 데뷔 | 공식색 | 팬덤 | 리더 | 전 멤버 | 해체 |
2020 | 레드벨벳- 아이린&슬기 |
걸그룹 유닛 |
아이린ᆞ슬기 | 2014 | 파스텔 코랄 | 레베럽 (ReVeluv) |
|||
에스파 | 걸그룹 | 카리나ᆞ지젤ᆞ윈터ᆞ닝닝 | 2020 | 오로라[17] | 마이 (MY) |
카리나 | |||
2023 | RIIZE | 보이그룹 | 쇼타로ᆞ은석ᆞ성찬 원빈ᆞ소희ᆞ앤톤 |
2023 | [18] | 브리즈 (BRIIZE) |
승한 | ||
2024 | NCT WISH | 보이그룹 서브유닛 |
시온ᆞ리쿠ᆞ유우시 재희ᆞ료ᆞ사쿠야 |
2024 | 펄 네오 샴페인 | 엔시티즌 위시 (NCTzen WISH) |
시온 | ||
루카스 | 솔로 | 2018 | |||||||
naevis | AI 가수 | 2024 | |||||||
2025 | 승한 | 솔로 | 2023 | ||||||
신인 걸그룹 | 걸그룹 | 2025 | |||||||
Dear Alice | 보이그룹 | 제임스 샤프ᆞ덱스터 그린우드 올리버 퀸ᆞ리스 카터ᆞ블레이즈 눈 |
2025 |
각주
- ↑ 이수만의 처조카이다.
- ↑ 이렇게 데뷔한 그룹으로 젝스키스, 베이비복스가 있다.
- ↑ 데뷔 전 사생활 논란이 터지자 2023년 11월 22일부로 RIIZE 활동을 무기한 중단하여 2024년 10월 13일부로 RIIZE 탈퇴가 공식화되었다. 이후 RIIZE는 완전히 6인 체재로 정비되었고, 승한의 전속계약은 아직 유지하고 있다. 이후 2025년에 솔로로 데뷔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 ↑ 루한과 마찬가지로 2022년까지만 SM엔터테인먼트와의 전속계약이 유지될 예정이었으나, 2021년 미성년자 성폭행 혐의로 체포되어 징역을 사는 바람에 출소된 이후에야 SM과의 계약이 끝나게 된다.
- ↑ 크리스, 루한과 함께 전속계약 해지 소송을 걸어 패소하여 2022년까지만 전속계약이 유지될 예정이었으나, 2024년 현재까지도 SM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사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 ↑ 이수만의 퇴출, 백현 및 태민의 소속사 이적, 루카스의 탈퇴, 다른 멤버들의 전속계약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서 2023년 이후로 SuperM의 활동은 사실상 막을 내린 상황이다.
- ↑ 2023년 현재 린아를 제외한 멤버들이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만료되어 팀 활동이 멈춘 상황이다.
- ↑ 2023년 현재 태연, 효연, 유리, 윤아를 제외한 멤버들이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만료되었고, 현재는 솔로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 ↑ 2023년 현재 멤버들 모두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만료되어 팀 활동이 멈춘 상황이다.
- ↑ 정준영 게이트 논란으로 인해 팀 탈퇴했지만, 계약 기간이 남아있어서 아직 SM에 잔류하고 있다.
- ↑ H.O.T.(5인조), 신화(6인조), 블랙비트(5인조), 동방신기(5인조), 슈퍼주니어(12인조), 샤이니(5인조), EXO(12인조)까지 7인조로 구성되던 그룹은 없었다.
- ↑ NCT 127은 무한확장이라는 체제 아래 멤버 수 변동이 많았으며, 가장 많을 때는 10인조까지 갔었다가 현재 활동 멤버는 8인조다. 또한 SuperM과 WayV에선 루카스, RIIZE에선 승한이 탈퇴했다. SuperM의 공식 활동은 사실상 종료되었고 마지막 멤버는 6명이 되었으며, WayV, RIIZE는 6인조 체제를 유지하며 활동하고 있다. NCT WISH는 원래 7인조 구성으로 정민이라는 멤버가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건강 문제로 무산되어 NCT WISH는 6인조로 데뷔했다.
- ↑ NCT는 같은 그룹 사이에서도 연차가 나뉠 정도로 방대한 프로젝트라 NCT 멤버랑 레드벨벳 정도가 연습생 기간이 겹친다. 하지만 그 외에는 별달리 접점이 나오지 않는 편. 그나마 에스파의 닝닝과 WayV 멤버들이 연습생 기간이 겹치는 편이다.
- ↑ SM 소속 당시 팬덤명은 클럽 에이치아이티(Club H.I.T.).
- ↑ 2024년 현재 완전체로서의 활동은 중단된 상태이다.
- ↑ 멤버들의 전속계약 문제와 스케줄, 그리고 이수만 퇴출 등의 다양한 사유로 인해 SuperM의 활동은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보는 팬들이 많다. 한 때 루카스의 탈퇴 이후 동방신기로 활동하던 유노윤호를 영입한다는 설이 돌기도 했으나, 소문으로만 남게 되었다.
- ↑ 색상 코드가 정해지지 않았다.
- ↑ 응원봉 등 굿즈에서 오렌지색을 공식색처럼 사용하나, 현재까지 아무것도 발표된 바가 없다. 하지만 NCT처럼 처음에도 연두색을 사용하다가 정확한 색상명과 색상코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가수 | |
---|---|
배우 | |
엔터테이너 | |
프로듀서 |
|
SM C&C | |
AIKM |
|
관련 회사 | |
프로젝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