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분당선]]과 [[경강선]]의 환승역. 분당선 역의 부역명은 '''성남아트센터'''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분당선]]과 [[경강선]]의 환승역. 분당선 역의 부역명은 '''성남아트센터'''이다.


== 역사 ==
처음 [[분당선]]이 개통되었을 당시 이매역은 건설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야탑역]]과 [[서현역]]의 역 간 거리가 3.1km 정도이기 때문에 주민들은 그 사이에 새로운 역의 건설을 요구하였다. 이에 이매역 건설에 대한 계획이 짜여지기 시작하였고,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1996년#10월|1996년 10월]] 이매역 역사위치를 선정하였다. 당초 [[1997년#11월|1997년 11월]]부터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ref>분당선 이매驛 [[11월]]착공, 《동아일보》, [[1997년]] [[3월 9일]]</ref>연기되어 [[2000년#3월|2000년 3월]]에 착공하였다. 이매역은 {{날짜/출력|2004-1-16}}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41555 분당선 이매역 오늘 개통]《한겨레》[[2004년]] [[1월 16일]]</ref> 한편, 경강선은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추석 연휴기간 동안 무료로 임시 운행했으며,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 연혁 ===
* [[2000년#3월|2000년 3월]] : 착공
* [[2004년]] [[1월 16일]] : 영업 개시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4.8km로 변경<ref>[http://gwanbo.moi.go.kr/gwanbo/jsp/drm/ezPDFView.jsp?ebookSeq=00000000000000001347843066455000&keyword=&sPage=27&tocSeq=00000000000000001347843094699000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2012년 9월 18일.</ref>
* [[2016년]] [[4월 29일]] : 경강선 철도거리표 고시<ref>[http://www.molit.go.kr/LCMS/DWN.jsp?fold=/N01_B/&fileName=%EA%B3%A0%EC%8B%9C%EB%AC%B8%28%EA%B5%AD%ED%86%A0%EA%B5%90%ED%86%B5%EB%B6%80_%EA%B3%A0%EC%8B%9C_%EC%A0%9C2016-___%ED%98%B8%29%EA%B2%BD%EA%B0%95%EC%84%A0.hwp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 2016년 4월 29일.</ref>
* [[2016년]] [[9월 13일]] ~ [[9월 18일]] : 추석 연휴기간 동안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전철 무료 임시운행<ref>[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view.jsp?boardId=9863273&mcategoryId=&id=www_040500000000&boardSeq=14473979 추석연휴기간 경강선(판교~여주) 전동열차 무료 임시운행 알림], 코레일 공지사항, 2016년 9월 12일.</ref><ref>[http://news.korail.com/main/php/search_view.php?idx=41607 코레일, 추석연휴 기간 경강선(판교∼여주) 무료 임시운행], 코레일뉴스, 2016년 9월 12일 작성.</ref>
* [[2016년]] [[9월 24일]] :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역 구조 ==
== 역 구조 ==
개표하지 않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는 횡단 불가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에 따라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었다.
개표하지 않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는 횡단 불가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에 따라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분당선 ===
=== 분당선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다. 현재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div>
<div>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51번째 줄: 42번째 줄:


=== 경강선 ===
=== 경강선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다.
<div>
<div>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65번째 줄: 55번째 줄:
|}
|}
</div>
</div>
=== 환승 정보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colspan="7" |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
! colspan="3" rowspan="3" |
! colspan="4" | 목적지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color: white;" | 분당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color: white;" | 경강선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color: white;" | 왕십리<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color: white;" | 수원<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color: white;" | 판교<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color: white;" | 여주<br />방면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color: white;" | 분당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color: white;" | 왕십리 방면
|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6-4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color: white;" | 수원 방면
| 1-1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1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color: white;" | 경강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color: white;" | 판교 방면
| 2-3
| 4-4
| -
| 2-3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color: white;" | 여주 방면
| 3-2
| colspan="2" | 1-1
| -
|-
|}
== 역사 ==
처음 [[분당선]]이 개통되었을 당시 이매역은 건설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야탑역]]과 [[서현역]]의 역 간 거리가 3.1km 정도이기 때문에 주민들은 그 사이에 새로운 역의 건설을 요구하였다. 이에 이매역 건설에 대한 계획이 짜여지기 시작하였고,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1996년#10월|1996년 10월]] 이매역 역사위치를 선정하였다. 당초 [[1997년#11월|1997년 11월]]부터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ref>분당선 이매驛 [[11월]]착공, 《동아일보》, [[1997년]] [[3월 9일]]</ref>연기되어 [[2000년#3월|2000년 3월]]에 착공하였다. 이매역은 {{날짜/출력|2004-1-16}}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41555 분당선 이매역 오늘 개통]《한겨레》[[2004년]] [[1월 16일]]</ref> 한편, 경강선은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추석 연휴기간 동안 무료로 임시 운행했으며,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 연혁 ===
* [[2000년#3월|2000년 3월]] : 착공
* [[2004년]] [[1월 16일]] : 영업 개시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24.8km로 변경<ref>[http://gwanbo.moi.go.kr/gwanbo/jsp/drm/ezPDFView.jsp?ebookSeq=00000000000000001347843066455000&keyword=&sPage=27&tocSeq=00000000000000001347843094699000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2012년 9월 18일.</ref>
* [[2016년]] [[4월 29일]] : 경강선 철도거리표 고시<ref>[http://www.molit.go.kr/LCMS/DWN.jsp?fold=/N01_B/&fileName=%EA%B3%A0%EC%8B%9C%EB%AC%B8%28%EA%B5%AD%ED%86%A0%EA%B5%90%ED%86%B5%EB%B6%80_%EA%B3%A0%EC%8B%9C_%EC%A0%9C2016-___%ED%98%B8%29%EA%B2%BD%EA%B0%95%EC%84%A0.hwp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 2016년 4월 29일.</ref>
* [[2016년]] [[9월 13일]] ~ [[9월 18일]] : 추석 연휴기간 동안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전철 무료 임시운행<ref>[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view.jsp?boardId=9863273&mcategoryId=&id=www_040500000000&boardSeq=14473979 추석연휴기간 경강선(판교~여주) 전동열차 무료 임시운행 알림], 코레일 공지사항, 2016년 9월 12일.</ref><ref>[http://news.korail.com/main/php/search_view.php?idx=41607 코레일, 추석연휴 기간 경강선(판교∼여주) 무료 임시운행], 코레일뉴스, 2016년 9월 12일 작성.</ref>
* [[2016년]] [[9월 24일]] :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74번째 줄: 115번째 줄:
* [[태원고등학교]]
* [[태원고등학교]]
* [[돌마고등학교]]
* [[돌마고등학교]]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6em;}}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6em;}}

2017년 5월 21일 (일) 13:22 판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지하 738
노선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업일 2004년 1월 16일
승강장 분당선 : 2면 2선
경강선 : 2면 2선

이매역
二梅驛 / Imae Station

개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분당선경강선의 환승역. 분당선 역의 부역명은 성남아트센터이다.

역 구조

개표하지 않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없는 횡단 불가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에 따라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되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분당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죽전 · 기흥 · 수원 방면 | 1번 승강장
분당선 서현 방면 →
분당선 야탑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2번 승강장 | 왕십리 · 선릉 · 수서 방면

경강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상행 승강장 | 판교 방면
경강본선 판교 방면 →
경강본선 삼동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경기광주 · 이천 · 여주 방면 | 하행 승강장

환승 정보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분당선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경강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왕십리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수원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판교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여주
방면
출발지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분당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왕십리 방면 - 6-4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수원 방면 1-1 - 1-1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경강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판교 방면 2-3 4-4 - 2-3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여주 방면 3-2 1-1 -

역사

처음 분당선이 개통되었을 당시 이매역은 건설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야탑역서현역의 역 간 거리가 3.1km 정도이기 때문에 주민들은 그 사이에 새로운 역의 건설을 요구하였다. 이에 이매역 건설에 대한 계획이 짜여지기 시작하였고,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1996년 10월 이매역 역사위치를 선정하였다. 당초 1997년 11월부터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1]연기되어 2000년 3월에 착공하였다. 이매역은 틀:날짜/출력부터 영업을 개시하였다.[2] 한편, 경강선은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추석 연휴기간 동안 무료로 임시 운행했으며, 9월 24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연혁

주변 정보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olspan="4"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한국철도공사 (KORAIL)
class="tp_link" style="width: 8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304 분당선
(24.8 km)
왕십리 방면
야탑 1.7 km
이매 수원 방면
서현 1.4 km
class="tp_link" style="width: 8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8 경강본선
(2.0 km)
판교 방면
판교 1.5 km
이매 여주 방면
삼동 6.9 km

수도권 전철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black; "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왕십리 방면
 K226  야탑
 K227  이매
급행 · 완행
수원 방면
 K228  서현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 방면
 K410  판교
 K411  이매 여주 방면
 K412  삼동

사건·사고

  • 2015년 9월 29일 오후 10시 30분경. 20대 남성이 선로에 내려와 걷다가 전동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7]
  • 2016년 6월 25일 오후 2시경, 90대 노인이 왕십리 방면으로 가는 전동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8]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