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7명의 중간 판 64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인터넷 밈]]
'''인터넷 밈'''(Internet meme)은 영미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신조어다. 이는 일종의 인터넷 문화로 네트워크 공간에서 모방의 형태로 사람 사이에 퍼져나가는 어떤 생각, 스타일, 행동 등을 의미한다.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제창한 [[밈]](meme)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밈은 [[유행어]]일 수도 있고, 특정한 화상이나 [[동영상]]일 수도 있고, [[음악]]이나 노래의 형태일 수도 있다. <del>하지만 대부분은 [[짤방]]이다</del>
Internet meme
==개요==
일종의 인터넷 문화로 인터넷 공간에서 모방의 형태로 사람 사이에 퍼져나가는 어떤 생각, 스타일, 행동 등을 의미한다. [[리처드 도킨스]]가 제창한 [[밈]](meme)에서 유래한다 {{ㅊ|메메가 아니다}}. [[유행어]]일 수도 있고, 특정한 화상이나 [[동영상]]일 수도 있고, [[음악]]이나 노래의 형태일 수도 있다. <del>하지만 대부분은 [[짤방]]이다</del>


국내에서 이와 유사한 대표적인 개념을 들자면 [[디시인사이드]]의 [[필수요소]]가 대표적인 것일 것이며 [[2000년대]] 초반에 유행했던 '''"[[아햏햏]]"'''이나 '''"[[하오체]]"''' '''"[[스타쉬피스]]"''' '''"[[뷁]]'''" 같은 것들도 여기에 들어갈 있을 것이다.
== 예시 ==
{{참조|분류:인터넷 밈}}
[[대한민국]]에서 이와 유사한 대표적인 개념을 들자면 [[디시인사이드]]의 [[필수요소]]가 대표적일 것이며 [[2000년대]] 초반에 유행했던 '''"[[아햏햏]]"'''이나 '''"[[하오체]]"''' '''"[[스타쉬피스]]"''' '''"[[뷁]]'''" 등도 포함된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게임]]등에 등장하는 유명 캐릭터들의 대사, 행동에 개그 속성을 부여하는 것과 [[리그베다 위키]]에서 시작된 [[취소선]], [[암묵의 룰]] 같은 관습 또한 밈이라고 볼 있다.


이 곳 [[리브레 위키]]에서는 [[취소선]]을 사용하는 것이나 [[암묵의 룰]] 같은 것을 일종의 밈으로 볼 여지가 있다.
== 인터넷 방송인의 밈 ==
인터넷 방송인들의 흑역사나 유명한 사건, 신체적 특징(...) 때문에 만들어진 밈들이 엄청 많다. 인터넷 방송인이 직접 자학개그를 하면서 퍼트리거나 시청자가 밈을 발굴한다.


* 혹시 인터넷 밈과 관련된 문서를 만들 경우 꼭 해당 문서에 <nowiki>[[분류:인터넷 밈]]을</nowiki> [[추가바람]]
신체적 특징이 밈이 된 경우는 [[케인 (스트리머)|케인]]의 코밈과 [[뽀구미]]의 목주름 드립이 있다.


==[[캐릭터]] 밈==
내수용 밈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스트리머 같은 [[인터넷 방송인]] 자체를 소재로 한 밈, 다른 방송이나 유튜브 영상에 밈 관련 댓글을 달지 않는 암묵적 규칙이 있는 밈을 말한다. 이 내수용 밈을 다른 방송에서 도네이션으로 보내는 것을 수출이라고 한다. 이 내수용 밈으로 유명한 인터넷 방송인으로는 [[케인 (스트리머)|케인]]있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게임]]등에 등장하는 유명 캐릭터들을 이용한 밈이 있다.  어떤 캐릭터의 대사, 행동 등을 놓치지 않고 여기에 의미를 부여하여 개그 속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몇가지 예를 들자면...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의 [[세이버(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세이버]]
== 관련 문서 ==
시로 : 페이트는 어떤 음식을 제일 좋아해?
* [[2차 창작]]
페이트 : 저는 뭐든지 가리지 않고 잘 먹습니다.
* [[짤방]]
=> 위의 대사 하나로 대식가 확정. 덕분에 세이밥, 밥순이 등으로 불린다...
* [[필수요소]]
 
* [[합성]]
*[[엘더스크롤 5:스카이림]]의 [[리디아(엘더스크롤 5:스카이림)|리디아]]
{{각주}}
리디아 : 무거운 물건이 있으면 제가 들어 드리겠습니다.
[[분류:인터넷 밈| ]]
=> 살아 움직이는 창고(...)로 불린다.
 
*[[나는 친구가 적다]]의 [[카시와자키 세나]]
세나의 작중에서의 별명이 [[고기]]인데, 이는 세나의 [[가슴|특정 부위]]에 [[거유|고기]]가 많기 때문이다.
덕분에 밈으로 [[검열삭제|고기먹고싶다]], 고기의 여신 등등으로 불린다...
 
*[[사커스피리츠]]의 쥬리
쥬리의 대사중에 "밥만 주면 뭐든지 해줄게!" 라는 대사가 있는데, 노출도 높은 복장과 이 대사 때문에 쥬리에게 밥을 주면 쥬리와 [[검열삭제]]를 할 수 있다(...)는 밈이 있다.
 
==관련 문서==
*[[필수요소]]
*[[짤방]]
 
== 주석 ==
<references/>
 
== [[리브레 위키]]에 문서가 개설된 인터넷 밈 ==
{{#categorytree:인터넷 밈|mode=pages}}

2024년 4월 25일 (목) 12:32 기준 최신판

인터넷 밈(Internet meme)은 영미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신조어다. 이는 일종의 인터넷 문화로 네트워크 공간에서 모방의 형태로 사람 사이에 퍼져나가는 어떤 생각, 스타일, 행동 등을 의미한다.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제창한 (meme)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밈은 유행어일 수도 있고, 특정한 화상이나 동영상일 수도 있고, 음악이나 노래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짤방이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에서 이와 유사한 대표적인 개념을 들자면 디시인사이드필수요소가 대표적일 것이며 2000년대 초반에 유행했던 "아햏햏"이나 "하오체" "스타쉬피스" "" 등도 포함된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게임등에 등장하는 유명 캐릭터들의 대사, 행동에 개그 속성을 부여하는 것과 리그베다 위키에서 시작된 취소선, 암묵의 룰 같은 관습 또한 밈이라고 볼 수 있다.

인터넷 방송인의 밈[편집 | 원본 편집]

인터넷 방송인들의 흑역사나 유명한 사건, 신체적 특징(...) 때문에 만들어진 밈들이 엄청 많다. 인터넷 방송인이 직접 자학개그를 하면서 퍼트리거나 시청자가 밈을 발굴한다.

신체적 특징이 밈이 된 경우는 케인의 코밈과 뽀구미의 목주름 드립이 있다.

내수용 밈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스트리머 같은 인터넷 방송인 자체를 소재로 한 밈, 다른 방송이나 유튜브 영상에 밈 관련 댓글을 달지 않는 암묵적 규칙이 있는 밈을 말한다. 이 내수용 밈을 다른 방송에서 도네이션으로 보내는 것을 수출이라고 한다. 이 내수용 밈으로 유명한 인터넷 방송인으로는 케인이 있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