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당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도시철도}}
|이름    = 반월당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DTRO
|역명    = 반월당역
|부역명  = 에필성형외과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130|대구|1}} · {{역번호/한국|230|대구|2}}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중구]] [[달구벌대로]] 지하2100
|주소    = [[대구광역시]] [[대구 중구|중구]] [[달구벌대로]] 지하2100
|번호    = {{역번호/한국|130|대구|1}} {{역번호/한국|230|대구|2}}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small>10.6 km</small><br />[[대구 도시철도 2호선]] <small>16.1 km</small>
|관할    =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대구도시철도공사]]<br >1고객센터 [[중앙로역 (대구)|중앙로관리역]] <small>([[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small><br/>3고객센터 [[용산역 (대구)|용산관리역]]<small>([[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small>
|코드     =  
|승강장  = 2면 2선 (1호선)<br />1면 2선 (2호선)
|승강장  = 2면 2선 (1호선)<br />1면 2선 (2호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nowiki />
|참고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small>10.6 km</small>
|비고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small>16.1 km</small>
|하위 틀  =
}}
}}


{{+1|반월당역}}<br />半月堂驛 / Banwoldang Staion
[[대구광역시]] [[대구 중구|중구]]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이다.
== 개요 ==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중구]]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이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이전까지는 대구 도시철도 유일의 환승역이었다. 양쪽 모두 역번호가 30번이라는 것이 특징. 이 전통을 이어 [[청라언덕역]]도 1호선-3호선의 역 번호가 29번으로 동일하다. [[명덕역]]은 역번호를 맞추지 않았는데, 명덕역의 역번도 맞추려면 1호선의 역 번호를 죄다 갈아엎어야 해서 그런 듯하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이전까지는 대구 도시철도 유일의 환승역이었다. 양쪽 모두 역번호가 30번이라는 것이 특징. 이 전통을 이어 [[청라언덕역]]도 1호선-3호선의 역 번호가 29번으로 동일하다. [[명덕역]]은 역번호를 맞추지 않았는데, 명덕역의 역번도 맞추려면 1호선의 역 번호를 죄다 갈아엎어야 해서 그런 듯하다.


== 역 구조 ==
== 역사 ==
* 1997년 11월 26일: 1호선 [[진천역|진천]]~[[중앙로역 (대구)|중앙로]]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2003년]] [[2월 19일]]: [[대구 지하철 참사]]로 10월 20일까지 운행 중단
* [[2005년]] [[10월 18일]]: 2호선 [[문양역|문양]]~[[사월역|사월]] 구간 개통
 
== 시설 ==
=== 1호선 ===
=== 1호선 ===
2면 2선의 평범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횡단하려면 2호선 승강장을 거치거나 방향별 삼발이 출입구를 통해 대합실을 거치면 된다. [[스크린도어]] 가동 중.
2면 2선의 평범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횡단하려면 2호선 승강장을 거치거나 방향별 삼발이 출입구를 통해 대합실을 거치면 된다. [[스크린도어]] 가동 중.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승강장 번호=상행
  |승강장 정보='''1호선''' [[명덕역|명덕]] · [[대곡역 (대구)|대곡]] 방면
  |승강장 정보='''1호선''' [[명덕역|명덕]] · [[대곡역 (대구)|대곡]] 방면
}}
}}
36번째 줄: 41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대구)|중앙로]]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대구)|중앙로]]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승강장 번호=하행
  |승강장 정보='''1호선''' [[동대구역|동대구역]] · [[안심역|안심]] 방면
  |승강장 정보='''1호선''' [[동대구역|동대구역]] · [[안심역|안심]] 방면
}}
}}
46번째 줄: 51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청라언덕]]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청라언덕]]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문양역|문양]] · [[반고개역|반고개]] · [[두류역|두류]] · [[용산역 (대구)|용산]]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2호선''' [[문양역|문양]] · [[반고개역|반고개]] · [[두류역|두류]] · [[용산역 (대구)|용산]]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범어역|범어]] · [[대공원역 (대구)|대공원]] · [[신매역|신매]] · [[영남대역|영남대]]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2호선''' [[범어역|범어]] · [[대공원역 (대구)|대공원]] · [[신매역|신매]] · [[영남대역|영남대]]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대병원역|경대병원]]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대병원역|경대병원]] →
95번째 줄: 100번째 줄:


도시철도 분실물 센터와 지하철경찰대가 있다. 지하상가 메트로 시티와 연결된다.
도시철도 분실물 센터와 지하철경찰대가 있다. 지하상가 메트로 시티와 연결된다.
== 승하차량 ==
=== 일평균 환승객 ===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철도통계연보
<div style="overflow:auto;">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330px"
|-
| colspan="7"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도시철도}};" | '''반월당역'''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rowspan="2" |전체
!colspan=2  | 노선별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 1 -> 2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 2 -> 1
|-
|2019
|59,356
|27,953
|31,403
|-
|2018
|58,811
|27,685
|31,126
|-
|2017
|59,247
|27,888
|31,359
|-
|2016
|59,916
|28,193
|31,724
|}
</div>
==== 버스 ====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철도통계연보
<div style="overflow:auto;">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330px"
|-
| colspan="7"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도시철도}};" | '''반월당역'''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rowspan="2" |전체
!colspan=2  | 1호선
!colspan=2  | 2호선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 1 -> 버스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 버스 -> 1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 2 -> 버스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 버스 -> 2
|-
|2019
| 3,243
| 389
| 432
| 1,249
| 1,173
|-
|2018
|
|
|
|
|
|-
|2017
|
|
|
|
|
|-
|2016
|3,582 
|417
|449
|1,348
|1,368
|-
|}
*전철 승하차량 수가 많기 때문에 버스 환승객 수도 많은 편이다. 다만 버스환승객 비중은 오히려 타 역에 비해 낮은 편이다. 동성로 상권을 이용하기 위해 하차하는 사람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1호선과 2호선 개찰구 접근성이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전철 승하차량 격차가 크다. 이는 버스 승하차량에서 더욱 큰 격차로 나타난다. 1호선 개찰구를 통과한 승객은 버스 환승을 거의 하지 않는다. 동성로 상권에 직접 가기 위한 목적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보인다. 버스 환승 수요는 2호선 승하차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195번째 줄: 115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 [[분류:중앙로관리역]][[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 [[분류:용산관리역 (DTRO)]]
[[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
[[분류:대구 중구의 철도역]]
[[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
[[분류:대구광역시에 있는 철도시설]]

2024년 1월 19일 (금) 12:24 기준 최신판

반월당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지하2100
번호  130   230 
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0.6 km
대구 도시철도 2호선 16.1 km
관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1997년 11월 26일
승강장 2면 2선 (1호선)
1면 2선 (2호선)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의 환승역이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이전까지는 대구 도시철도 유일의 환승역이었다. 양쪽 모두 역번호가 30번이라는 것이 특징. 이 전통을 이어 청라언덕역도 1호선-3호선의 역 번호가 29번으로 동일하다. 명덕역은 역번호를 맞추지 않았는데, 명덕역의 역번도 맞추려면 1호선의 역 번호를 죄다 갈아엎어야 해서 그런 듯하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평범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횡단하려면 2호선 승강장을 거치거나 방향별 삼발이 출입구를 통해 대합실을 거치면 된다. 스크린도어 가동 중.

2호선[편집 | 원본 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양쪽 끝에 1호선 환승 통로가 위치한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대구 도시철도 환승 정보
탑승
1호선 2호선
설화명곡
방면
안심
방면
문양
방면
영남대
방면
하차 1호선 설화명곡 방면 - 6-4
안심 방면 1-1 - 1-1
2호선 문양 방면 2-4 6-4 -
영남대 방면

환승통로가 긴 편인데, 바닥에 박힌 환승띠만 잘 따라가면 어렵지 않게 환승이 가능하기 때문에 막장환승인가 아닌가는 의견이 분분하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대구역 ~ 중앙로역 ~ 명덕역으로 이어지는 번화가의 중심으로, 유동인구 이동과 도심이 일치하여 대구가 부도심 없이 성장하는 데 일조했다. 동아백화점, 대구백화점이 붙어 있어 쇼핑을 위해 방문하는 승객도 많고, 달구벌대로에서 버스로 갈아타려고 승하차하는 승객도 많다. 다만 1호선 역이 남문시장쪽으로 크게 치우쳐 있어서, 1호선을 타고 동성로로 가려는 사람들은 중앙로역에서 내리는 경우가 많다.

도시철도 분실물 센터와 지하철경찰대가 있다. 지하상가 메트로 시티와 연결된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 방면
 129  명덕
 130  반월당 안심 방면
 131  중앙로
2호선
문양 방면
 229  청라언덕
 230  반월당 영남대 방면
 231  경대병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