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산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이름    = 까치산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서울교통공사
|역명    = 까치산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234-3|수도권|2}} · {{역번호/한국|518|수도권|5}}
|그림설명 =
|역코드  = 251 <small>(AFC · 2호선)</small><br/>2519 <small>(AFC · 5호선)</small>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강서구]] 강서로 지하54
|주소    = [[서울특별시]] [[서울 강서구|강서구]] 강서로 지하54
|번호    = {{역번호/한국|234-3|수도권|2}} {{역번호/한국|518|수도권|5}}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small>8.9 km</small><br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small>6.0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96년]] [[3월 20일]]
|개업일  = [[1996년]] [[3월 20일]]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서울교통공사]] [[화곡역|화곡서비스안전센터]]
|코드     = 251 <small>(AFC · 2호선)</small><br />2519 <small>(AFC · 5호선)</small>
|승강장  = 2면 3선
|승강장  = 2면 3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nowiki />
|참고     =  
* [[서울 지하철 5호선]] <small>8.9 km</small>
|비고    =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small>6.0 km</small>
|하위 틀  =
}}
}}
{{+1|까치산역}}<br />까치山驛 / Kkachisan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울 강서구|강서구]] [[화곡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명의 유래는 근처에 위치한 산인 [[까치산]]이며, [[신정지선]]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간의 인입선이 있다.
== 역사 ==
* [[1996년]] [[3월 20일]]: 2호선 [[신정네거리역|신정네거리]]~까치산 구간 및 5호선 [[방화역|방화]]~까치산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1996년 8월 12일: 5호선 까치산~[[여의도역|여의도]] 구간 개통
 
초창기 개통 당시만 하더라도 5호선 서측 수요와 [[김포공항]] 이용 수요를 책임지는 역이었다. 당시 대중교통이 전무한 강서구의 통근을 담당하여 [[신도림역]]의 [[헬게이트]]에 기여하였다.


== 역 구조 ==
== 시설 ==
승강장은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간의 인입선이 있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정네거리역|신정네거리]]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정네거리역|신정네거리]]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2호선''' [[신정네거리역|신정네거리]] · [[양천구청역|양천구청]] · [[신도림역|신도림]]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2호선''' [[신정네거리역|신정네거리]] · [[양천구청역|양천구청]] · [[신도림역|신도림]]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5호선'''  [[여의도역|여의도]] · [[광화문역|광화문]] ·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 [[마천역|마천]]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5호선'''  [[여의도역|여의도]] · [[광화문역|광화문]] ·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 [[마천역|마천]]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5호선]] [[신정역|신정]]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5호선]] [[신정역|신정]]  
38번째 줄: 43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5호선]] [[화곡역|화곡]]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5호선]] [[화곡역|화곡]]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5호선''' [[발산역|발산]]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방화역|방화]]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5호선''' [[발산역|발산]]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방화역|방화]] 방면
}}
}}
}}
}}
82번째 줄: 87번째 줄:


=== 엘리베이터 ===
=== 엘리베이터 ===
지상↔지하1층 엘리베이터는 보도 폭 문제 때문에 지금까지도 설치되지 않았다.
지상↔지하1층 엘리베이터는 보도 폭 문제 때문에 없었다가 현재 2번출구에 짓고 있다.


유일하게 있는 엘리베이터는 처음 개통할 때부터 설치된 내부 엘리베이터인데 이해할 수 없는 설계로 유명하다. [[고자|지하 1층에서 지하 5층 승강장까지 이어지지 않고 지하 4층에 끊기게 잘못 설계되어 있다.]] 처음 지을 때 비상계단 또는 환기실의 위치가 달랐더라면 지하 5층까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을 텐데... 휠체어를 타거나 유모차를 끌고 이 역에 온다면 이런 설계가 누구 머리에서 나온 건지 궁금해질 것이다. 덕분에 엘리베이터가 아예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역으로 꼽힌다.
유일하게 있는 엘리베이터는 처음 개통할 때부터 설치된 내부 엘리베이터인데 이해할 수 없는 설계로 유명하다. [[고자|지하 1층에서 지하 5층 승강장까지 이어지지 않고 지하 4층에 끊기게 잘못 설계되어 있다.]] 처음 지을 때 비상계단 또는 환기실의 위치가 달랐더라면 지하 5층까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을 텐데... 휠체어를 타거나 유모차를 끌고 이 역에 온다면 이런 설계가 누구 머리에서 나온 건지 궁금해질 것이다. 덕분에 엘리베이터가 아예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역으로 꼽힌다.
== 역사 ==
[[1996년]] [[3월 20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의 마지막 구간과 [[서울 지하철 5호선]]의 방화-까치산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잠시 5호선의 시종착역의 기능을 담당했으나, [[8월 12일]] [[여의도역]] 연장구간이 완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초창기 개통 당시만 하더라도 5호선 서측 수요와 [[김포공항]] 이용 수요를 책임지는 역이었다. 당시 대중교통이 전무한 강서구의 통근을 담당하여 [[신도림역]]의 [[헬게이트]]에 기여하였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KT]] 강서지사, 까치산시장, [[화곡동|화곡8동]] 주민센터 등이 근처에 있다.
[[KT]] 강서지사, 까치산시장, [[화곡동|화곡8동]] 주민센터 등이 근처에 있다.
과거에 이지투 3기 시리즈를 제작한 스퀘어 픽셀즈 본사와 게임빌리지 까치산점(구 까치산 오신 오락실)이라는 오락실이 존재했었지만
과거에 [[EZ2AC 시리즈|이지투]] 3기 시리즈를 제작한 [[스퀘어 픽셀즈]] 본사와 [[게임빌리지]] 까치산점(구 까치산 오신 [[오락실]])이라는 [[오락실]]이 존재했었지만
스퀘어 픽셀즈 본사가 2018년~2019년 사이에 철수하고 게임빌리지 까치산점마저 2020년 1월말에 폐업하게 되면서 주변이 한산해졌다.
[[스퀘어 픽셀즈]] 본사가 2018년~2019년 사이에 철수하고 [[게임빌리지]] 까치산점마저 2020년 1월말에 폐업하게 되면서 주변이 한산해졌다.
그외 우리은행 까치산역점이 구 게임빌리지 까치산점 건너편에 존재한다.
그외 [[우리은행]] 까치산역점이 구 [[게임빌리지]] 까치산점 건너편에 존재한다.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111번째 줄: 111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신정지선]][[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2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5호선]]
[[분류:서울 강서구의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화곡서비스안전센터]]

2024년 1월 18일 (목) 18:49 기준 최신판

까치산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지하54
번호  234-3   518 
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8.9 km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6.0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96년 3월 20일
코드 251 (AFC · 2호선)
2519 (AFC · 5호선)
승강장 2면 3선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초창기 개통 당시만 하더라도 5호선 서측 수요와 김포공항 이용 수요를 책임지는 역이었다. 당시 대중교통이 전무한 강서구의 통근을 담당하여 신도림역헬게이트에 기여하였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은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간의 인입선이 있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2호선 5호선
신도림
방면
방화
방면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출발지 2호선 신도림 방면 - 1-1 모든 문
5호선 방화 방면 1-1 - 7-4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모든 문 7-4 -

5호선 상일동행 방면과 2호선 신도림역 방면으로는 초특급 개념환승의 반열에 든다. 왜냐하면 이 역 승강장의 구조 때문인데... (상단 참조) 이러다 보니 5호선 상일동행(마천) 열차를 타고 이 역에서 내리면 바로 옆으로 가서 신정지선열차를 탈 수 있는 것이다! 방화행 승강장에서는 계단을 조금 오르내리락 해야 하지만 나름 환승 자체는 무난한 경로.

엘리베이터[편집 | 원본 편집]

지상↔지하1층 엘리베이터는 보도 폭 문제 때문에 없었다가 현재 2번출구에 짓고 있다.

유일하게 있는 엘리베이터는 처음 개통할 때부터 설치된 내부 엘리베이터인데 이해할 수 없는 설계로 유명하다. 지하 1층에서 지하 5층 승강장까지 이어지지 않고 지하 4층에 끊기게 잘못 설계되어 있다. 처음 지을 때 비상계단 또는 환기실의 위치가 달랐더라면 지하 5층까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을 텐데... 휠체어를 타거나 유모차를 끌고 이 역에 온다면 이런 설계가 누구 머리에서 나온 건지 궁금해질 것이다. 덕분에 엘리베이터가 아예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역으로 꼽힌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KT 강서지사, 까치산시장, 화곡8동 주민센터 등이 근처에 있다. 과거에 이지투 3기 시리즈를 제작한 스퀘어 픽셀즈 본사와 게임빌리지 까치산점(구 까치산 오신 오락실)이라는 오락실이 존재했었지만 스퀘어 픽셀즈 본사가 2018년~2019년 사이에 철수하고 게임빌리지 까치산점마저 2020년 1월말에 폐업하게 되면서 주변이 한산해졌다. 그외 우리은행 까치산역점이 구 게임빌리지 까치산점 건너편에 존재한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5호선
방화 방면
 517  화곡
 518  까치산 하남검단산 · 마천 방면
 519  신정
2호선
신도림 방면
 234-3  신정네거리
 234-4  까치산 (시·종착)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