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지방도 (제|)(\d+)호선 +\2번 지방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국도]]
*[[국도]]
**[[국도 제5호선]]
**[[5번 국도]]
**[[국도 제56호선]]
**[[56번 국도]]
**[[국도 제75호선]]
**[[75번 국도]]
*[[지방도]]
*[[지방도]]
**[[지방도 제391호선]] : [[경기도]] [[가평군]]에서 넘어오는 지방도이다.
**[[391번 지방도]] : [[경기도]] [[가평군]]에서 넘어오는 지방도이다.
**[[지방도 제403호선]]
**[[403번 지방도]]
**[[지방도 제407호선]]
**[[407번 지방도]]
**[[지방도 제460호선]]
**[[460번 지방도]]
**[[지방도 제461호선]]
**[[461번 지방도]]
**[[지방도 제463호선]]
**[[463번 지방도]]


==행정구역==
==행정구역==

2022년 4월 20일 (수) 17:46 기준 최신판

행복한 마음, 신나는 삶, 밝은 화천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철원군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조선시대 낭천군이라 하였음
  • 1902년 : 지명을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화천군이 됨
  • 1944년 : 화천댐(화천수력발전소) 완공
  • 1945년 : 해방 후 38도선 이북으로 편입
  • 1953년 : 휴전협정 후 군 전체 완전수복
  • 1954년 :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성군으로부터 넘겨받음
  •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

교통[편집 | 원본 편집]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화천군의 행정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사실 군사분계선은 화천군 북쪽의 철원군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걸쳐있지만 해당 지역은 본래 철원군이 아닌 김화군 남쪽에 해당하며 민간인은 사실상 살지 않는 지역인데다 거리상 철원보다는 화천이 더 가까운 관계로 해당 지역 군부대들의 본부나 지원시설이 죄다 화천쪽에 몰려있는 것.

각주